존재의 테이블 / 나희덕

나에게는 "존재의 테이블"이라는 남몰래 부름직한 앉은뱅이 탁자가 하나 있다. 노트 한권을 올려놓으면 꽉 차버리는 아주 작고 둥은 탁자인데, 나는 그걸 마루 한구석에 놓아두고 그 앞에 가 앉고는 한다.

모처럼 혼자 오붓하게 있는 날, 나는 무슨 의식이라도 준비하는 사람처럼 실내의 전등을 다 끄고 볕이 가장 잘 들어오는 창문 쪽을 향해 그 테이블을 가져다 놓는다. 그러고는 두 손을 깨끗이 씻고 차 한잔을 그 옆에 내려놓고 앉는다. 그렇게 테이블 위에서 책도 읽고 글도 쓰고 아니면 그저 얼하게 앉아 있노라면 마음의 사나운 기운도 어느 정도 수그러드는 것이다. 어쩌면 아주 드물게 찾아오는 그 순간을 위해 나머지 시간들을 소란스러움 속에서도 살아내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나는 그 테이블을 인도 여행 중 어느 토산품점에서 샀다. 직접 손으로 깎아서 만든 공예품들을 파는 집이었는데, 그 테이블을 보는 순간 나는 바슐라르의 존재의 테이블을 떠올렸다. 그는 추운 겨울날 불기 없는 방에서 겨울 코트를 포가 입고 책을 읽곤 하였는데, 그 즐거운 독서와 몽상이 이루어지던 테이블을 "작업용 테이블"이라고 하지 않고 "존재의 테이블"이라고 불렀다. 그 테이블에 앉는 순간만큼은 자기 존재와 세계에 대해 충일한 행복을 느낄 수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일 것이다.

사실 그의 생애 자체는 객관적인 기준에서는 그리 풍요롭거나 행복하지 못했다고 할 수 있다. 시골 우체국 임시 직원에서 출발하여 결혼한 지 6년 만에 아내를 잃고 혼자서 어린 딸을 키우면서 살림을 꾸려나가야 하는 입장이었다. 그러면서도 그는 꾸준히 독학을 해 마침내 교수 자격시험에 합격하고 세계적인 철학자가 되었다. 세상이 그를 받아주거나 기억해 주지 않던 시절에 가난과 외로움을 견디게 해준 것은 다름 아닌 그 "존재의 테이블" 이었다. ​

대학자가 된 이후에도 그가 끊임없이 꿈꿀 수 있었던 것 역시 그 테이블 위에서였다. 그는 책에서 얼마나 행복감을 느꼈던지, 매일 아침 책상 위에 쌓인 책 앞에서 일용할 배고픔을 달라고 기도를 올릴 정도였다고 한다. 또 파리의 아파트에서 밤늦게 책을 읽는데 옆집에서 못 박는 소리가 들려온다든가 할 때, 그는 자신을 귀찮게 하는 모든 것, 모든 소리에 관해 평정을 유지하는 방법을 잘 알고 있었다. 시끄러운 망치소리를 들으면서도 "저건 아카시아나무를 쪼고 있는 내 딱따구리란 말야"하고 중얼거릴 만큼 그는 그 소리들을 "자연화"시키는 비범한 재주를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내가 감히 존재의 테이블을 갖겠다고 생각한 것은 바슐라르를 흉내 내려는 치기에서가 아니다. 아마도 그가 이룬 업적이나 성공보다는 한 인간으로서 고통과 이로움을 이겨내는 방식에 대해 더 깊이 공감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내게도 그런 자리가 필요하다면 이렇게 자그마하고 나지막한 테이블일 거라고 생각하면서​

나는 그것을 샀다. 다리는 접었다 폈다 조립이 가능하고, 둥근 판위에는 작은 꽃문양을 새겨 넣은 테이블이었다. 그 테이블을 사는 순간 어찌나 행복했던지 그것만으로도 인도에 온 보람이 있다고 생각할 정도였다. 그러나 행복함은 차차 후회로 변해갔다. 여행 초기에 커다란 짐 하나가 생긴 셈이니 여행 내내 나는 그것을 끌고 다니느라 여간 고생을 한 게 아니었으니까. 존재의 자리를 낙타의 혹처럼 자기 등 뒤에 짊어지고 다니는 내 모습이라니! 그처럼 우매한 충동과 집착 또 어디 있을까 싶었다.

그 테이블을 사지 않고도, 이미 집에 있는 테이블로도 충분히 만들 수 있는 존재의 자리를 나는 왜 그 테이블이 아니면 안 될 것처럼 생각했던 것일까. 그것은 아마도 오랫동안 자기 존재의 자리를 잃어버린 채 생활에 휘둘러 살아가고 있다는 위기감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아무리 큰 집을 가졌다 해도 그 속에 정작 존재의 자르를 갖지 못한 사람보다는 덜 우매해지려는 욕심에서였을 것이다.

이런 씁쓸한 자부심이 그 테이블에는 깃들어 있다. 그런데 문제는 "존재의 테이블"을 인도에서 한국 땅까지 끌고 와서 집안에 들여놓은 후에도 그 앞에 앉을 시간을 그리 많이 갖지 못했다는 것이다.

아주 오래도록 거기에 앉지 못할 때도 있었다. 그럴 때는 바로 곁에 있는 그 테이블이 아주 멀리, 그것도 만들어진 인도보다도 멀리 이는 것처럼 느껴진다. 새겨진 꽃문양 사이사이로 먼지가 끼어가는 걸 보면서. 내 마음의 그 모습 같건 생각할 때도 많았다. 그토록 애착을 느꼈으면서도 또 어느 순간 잡동사니 속에 함부로 굴러다니며 삐걱거리게 된 그 테이블을 볼 때마다 나는 새삼 쓸쓸해지고는 한다.

매일 학교에 갔다가 부랴부랴 돌아와 밥하고 청소하고 빨래하고 아이들 챙겨서 재우고 나면 자정이 넘어버리는 일상 속에서 그 앞에 앉기란 사실 쉬운 일은 아니다. 행복하면 그 짧은 행복을 즐기느라, 고통스러우면 그 지루한 고통에 진절머리를 치느라 그 앞에 가 앉지 못했다. "존재의 테이블"을 장만한 뒤에도 존재의 자리는 쉬이 생기지 않았다.​

그러다가도 그 삐걱거리는 테이블을 잘 만져서 바로잡고 아주 공들여서 먼지를 닦는 날이 있다. 그러면 나는 내가 닦고 있는 것이 테이블이 아니라 실은 하나의 거울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내가 지금 어디에 어떻게 앉아 있는가를 가장 잘 비추어주는 거울, 그리고 힘든 일이 닥칠수록 그 테이블만큼 더 작아지고 고요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넌지시 일러주는 거울.

그렇게 잘 닦고 나면 다시 그 앞에 앉을 엄두도 나는 것이다. 볕이 잘 드는 창문 쪽으로 그 테이블을 가져다 놓고 두 손을 씻고…. 이렇게 누추한 생활에서 간신히 스스로를 건져올려 그 앞에 데려다 놓는다. ​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