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수필을 쓰는가 / 임춘희

 

 

오늘도 한 줄의 글을 쓴다.

언제부턴가 난 약을 먹게 되었다.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약 한 봉지를 뜯었다. 물 한 컵을 오른손에 들었다. 색깔별로 들어 있는 알약을 왼손바닥에 올려놓고 한참을 내려다보았다. 몇 초 후면 이 약의 성분으로 내 정신은 혼미해질 것이다. 빨강, 노랑, 파랑, 무지개 색깔로는 부족하지만 분명 화려한 빛깔이다. 내 현실도 약처럼 밝은색이라면 좋으련만 현실은 늘 흑백인 걸 어찌하면 좋을까. 도화지 위에 인생을 색칠해 보아도 검은색 외에는 아무것도 없다.

난 서른 즈음 우울증이 왔다. 생활의 무게에 짓눌려서 그랬을까. 신혼 재미가 한창일 시기, 햇살처럼 맑은 내 아가의 몸짓 발짓을 보고 행복에 젖어 있어야 하는데 머릿속은 늘 회색이다. 칠 남매의 맏며느리 자리란 것이 내겐 큰 산이 앞을 가린 듯 답답하고 무겁게 느껴졌다. 시어머니의 중병으로 있는 재산 병원비로 모조리 사라졌고, 당신이 하시던 집안일을 내가 28살 되던 해 맡게 되었다. 더군다나 홀로 된 시아버지의 병수발은 물론이고 어린 시동생들 뒷바라지에 어려운 살림살이는 나의 인내력을 거덜 나게 했다. 그 이유에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머릿속은 늘 흐려있었다.

내가 소띠여서일까. 호락호락하지 않았던 현실이 힘이 들 때마다 소의 삶을 생각했다. 종일 밭갈이하기 위해 쟁기질을 했던 소는 배가 얼마나 고팠을까. 움푹 들어간 배에 물 한 바가지 부어도 고여 있을 만큼이었다. 꺼진 배를 생각할 겨를도 없이 집으로 돌아올 땐 주인을 수레에 태워오지 않는가. 힘든 삶을 내색 한번 못하고 주인이 시키는 대로 자신의 본분에 묵묵히 임하는 우직한 동물이다. 나도 힘든 일을 겪을 때마다 소처럼 살아가야 한다고 스스로 어르고 달랬지만 뜻대로 되지 않았다. 웃음기 없는 얼굴, 집안이 어질러 있을 때마다 입에서는 날카로운 말들이 쏟아져 나왔다. 퇴근해 오는 남편을 맞이하는 태도는 소크라테스의 악처보다 더했을 것이다.

그뿐이랴. 꿈 많은 소녀 시절, 내 꿈은 어디엔가 숨기고 동생들 학비 때문에 직장 생활을 해야 한다는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늘 우울했다. 동생이 입은 하얀 카라가 달린 교복은 신데렐라가 입고 있는 드레스처럼 아름다웠고 한편으론 부러웠다. 빨간 영어사전은 유리관 안에 든 다이아몬드 같았다. 특히 야간근무 들어갈 때는 집집마다 바람 따라 풍겨 나오는 된장찌개 냄새가 나를 더욱 슬프게 만들었다. 온 가족이 두레반에 옹기종기 둘러앉아 맛있게 먹을 저녁 풍경, 남들이 누릴 수 있는 평범한 환경이었음에도 불고 하고, 나에겐 그 평범함을 누린다는 건 너무 멀고도 어려운일이기 때문이었다.

결혼하면 두 번 다시 직장 생활은 하지 않을 것이라고 다짐을 했다. 하지만 결혼 생활은 나를 편안하게 두지 않았다. 마흔이 다 되어 갈 무렵 내 의지와 상관없이 하나의 줄이 두 가닥으로 갈라졌다. 비록 갈라졌지만 굵고 튼튼한 줄이 되길 간절히 원했다. 하지만 바람이 불면 금방이라도 날려 버릴 것 같은 허술하고 약한 줄이 내 앞에 놓여있었다. 바람이 없는 날에도 무언가 알 수 없는 것들이 나를 마구 흔들어 버렸다.

나의 분신인 아이들과 이별해야 한다는 것에 정신적 지주를 잃어버린 것 같았다. 경제적 능력이 없다는 이유로 하루도 떨어져 살아본 적이 없는 아이들과 헤어져야 한다니. 그것은 심장을 칼로 도려내는 아픔보다 더욱 아프게 느껴졌다. 성공하면 꼭 함께 살 것이라며 아이들과 새끼손가락 걸었다. 어느 어미가 자식을 떼어 놓고 온전한 생각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겠는가. 기온이 조금만 내려가도 아이들 걱정에 안절부절못했다.

밤이 되면 더욱 아이들 생각에 잠을 이룰 수 없었다. 베갯잇을 적시는 내 눈물은 장마철 내리는 궂은비처럼 뚝뚝 떨어졌다. 한순간에 칠 남매 맏며느리, 그리고 아내와 두 아이의 엄마란 자리를 잃고 방황과 좌절 속에서 힘든 날을 보냈다. 자의든 타의든 거부할 수 없는 현실이었다. 들판에 홀로 선 허수아비의 옷자락처럼 바람 부는 대로 내 마음은 펄펄 날렸다. 거부할 수 없는 현실 속에서 내가 설 자리가 없다는 것에 더욱 슬픔의 나락으로 떨어졌다. 뒤죽박죽된 삶은 끝이 보이지 않았다.

어느 날 사랑하는 아이들과 한곳에서 지내게 되었다. 아들 둘 온전하게 키우기 위해 또는 생계를 책임지기 위해 밤낮으로 쫓아다녔다. 기업마다 건물마다 일거리 달라고 찾아다녔다. 거절을 스무 번도 더 당했던 건물 주인이 거래하겠다고 연락이 왔다. 일거리 만들려고 하루에 400킬로씩 운전하며 다녀도 피곤하지 않았다. 아이 둘과 함께 지낼 수 있다는 데서 그리고 편안하게 글을 쓸 수 있어서다.

 

무질서한 삶에 질서를 잡게 해준 것은 수필이었다. 수필을 왜 쓰는가. 묻는다면 내 인생을 정리정돈 하기 위해서라고. 수필은 돈이 되는 것도 그렇다고 나를 황홀의 주인공으로 데려가는 것은 더욱 아니다. 일상이 촘촘해서 시간적 여유가 없을 때는 ‘왜 하필 이 길을 택했을까.’ 자책도 하지만 글을 쓰지 않는다고 해서 그 시간이, 내 삶이 그리 편하지도 않다.

누가 뭐라고 하지 않아도 자신도 모르게 글을 쓰는 것에 길들여 있다. 그렇다고 유명한 작가들의 계열에 끼어서 쫙쫙 써 내려가는 것은 더욱 아니다. 머릿속에서 소금물이 배어나 올 정도로 쥐어짜도 글은 도통 나오지 않는다. 보통 여성들처럼 쇼핑 다니고 운동하면서 즐기는 삶이면 될 것을 왜 이러고 있나 싶을 때도 있다. 더군다나 사업을 하다 보니 스트레스가 만만치 않다. 하지만 성취감을 즐기는 편이라서 팍팍한 생활을 더욱 원하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오늘도 수필을 쓴다. 얽히고설킨 삶의 실타래를 풀어낸다.

이젠 혼미해진 내 정신을 맑게 해주는 것은 색깔이 든 알약이 아니라 힘들게 써 내려가는 수필이다. 울렁거리는 가슴도 차분해졌다. 우울의 늪 속에서도 빠져 나왔다. 늘 잿빛이던 마음속에 하늘은 청색으로 변했고, 약봉지는 벽장 안으로 들어갔다.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