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퇴고한다, 고로 존재한다 /엄현옥

 

 

 

 

  신도림역 지하철교 아래를 지날 때였다. 젊은이들이 스프레이로 벽화를 그리고 있었다. 독한 냄새로 잠시 구경하기도 어려웠으나 마스크를 쓴 그들의 행동은 자못 진지해 보였다. 그래피티(graffiti)였다. 불법이라지만 언제부턴가 자신의 흔적을 남기는 문화로 자리 잡았다. 타인의 작품에 덧칠하는 일은 그들만의 묵계인 듯 그 곳을 지날 때면 바뀐 그림을 만나곤 했다. 자신의 작업에 대한 자부심일까.

 

  수필에서도 그런 일이 허용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누군가의 글에 더 나은 작품으로 덧칠하는 일이 벌어진다면 수필계의 지각변동은 짐작하기 어렵겠다. 이런 점에서 수필은 마냥 무풍지대다. 이야말로 수필의 함정이 아닌가. 내 글이 부족하다해도 정색하며 비난받은 적 없으니 부끄러움을 잊은 채 습관처럼 지면을 확보해 나간다.

 

 내 글쓰기는 의식에 고였던 것들의 소멸에 대한 집착이다. 거기에 더해 존재 인식의 소리없는 아우성이다. 내 의식의 감지기는 하늘 아래 없다는 새롭고 참신한 것을 찾기 위해 두리번거린다. 오래전부터 이미 존재해왔던 대상일지라도 처음 만난 것처럼 내가 먼저 말을 건넨다. 가끔은 대상이 내게 말을 건넨 적도 있다. 바람이 있다면 내가 그 소재를 원한 것이 아니라 그 소재가 나를 강렬히 원했던 것으로 여길만한 그런 글을 쓰고 싶다.

 

 글감을 만나면 카피 한 줄에 매달리는 카피라이터나 신상품 기획자의 치열함 대신 저잣거리를 느리게 어슬렁거린다. 억새 즐비한 산책로를 마냥 걷기도 한다. 심상의 더듬이를 작동한 채 걷다보면 가끔은 어제 보이지 않았던 것들이 촉수에 걸리는 전율을 느낀다. 한 가지 화두의 안테나에 그것과 연관된 전파가 선별되어 잡히기도 한다. 은밀한 즐거움이다.

 

 우리는 타인의 생에 대해서 평가의 잣대를 들이대지 않는다. 시연없는 무대이기 때문이다. 시행착오를 수정할 기회가 없는 일회성은 삶의 속성이 아닌가.

 

 수필이 삶과 다른 점은 첨삭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한 편의 글을 위해 작가는 반추하고 자문한다. 사유의 수혈을 받고자 안간힘을 기울이기도 한다. 모니터 앞에 앉아 골몰하지만 의도대로 글이 풀리지 않거나 잡초가 보이지 않을 때면 가끔 문우에게 글을 보낸다. 이 과정에서 많은 것을 솎아내지만 버릴 것과 취할 것에 대한 최종 결정자는 자신이다. 수필이 중의(衆意)를 수렴하는 일은 아니기에 어차피 홀로 서야한다.

 

 문학의 모든 장르는 언어를 도구로 사용한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해온 언어는 닳고 닳아 지나치게 상투적이다. 때론 단단한 껍질에 둘러싸인 개념덩어리만 잡힌다. 드러내고 싶은 이미지들은 도리어 언어에 훼손 당한다. 내가 표현하려는 것과 언어와의 거리는 또 얼마나 먼가.

 

  언어의 훼방을 극복하기 위한 필수 과정은 퇴고다. 퇴고를 통한 수많은 시행착오를 나는 기꺼워한다. 내가 표현하고자 했던 것이 언어에 의해 매장당하지 않았는지 살핀다. 그것들을 들추어 생명을 불어넣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솔직하고 쉽게 표현될 부분을 미화했거나 과장되게 부풀린 대목이 불거진다. 추상적이거나 논리성이 결여된 대목도 추려낸다. 무엇보다 일시적인 감정이나 순간적인 느낌에 치우치지 않았는지 냉정해지려고 작정한다. 상투적인 표현이나 군더더기를 덜어내고 습관적인 오류는 사유의 거름종이에 여과시킨다. 신변적인 소재에서 시작했을지라도 객관적 체험의 소재로 외연을 확장하는 것도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일이다.

 

 이제 나의 수필이 감나무의 풋감보다는 푸른 열매가 늦가을 풍상을 겪은 곶감이 되기까지 기다려야 한다. 곶감에 시설(柹雪)이 내려앉을 때까지 바람과 시간에 글을 맡긴다. 발효를 거쳐 시나브로 숙성되기를 기다린다. 그러나 충분한 시간이 주어져야 만이 가능한 일이다. 청탁에 겨우 맞추는 글이라면 그윽한 곶감의 맛이 아닌, 어설픈 떫은 맛이 나기 십상이다.

 

 오늘도 버릴 것을 찾기 위해 빨간 펜을 든다. 주제와 거리가 먼 문장일수록 버리기 아까울 때가 많다. 냉정해지지 않으면 군더더기만 쌓인다. 생각이 무르익고, 첨삭을 더해갈수록 글은 짧아지기 마련이다. 헤밍웨이는 한 작품의 마지막 페이지를 마흔 번 남짓 고쳐 썼다니 퇴고에 적정선이 있을 리 없다. 시간이 없어서 글이 길어졌다는 말은 새길만하다.

 

 나의 수필이 단순한 기록에서 머무르지 않기를 바란다. 밀란 쿤데라의 말처럼 쓰는 일이 ‘일시적인 것에 대한 연민이요, 소멸적인 것에 대한 구원만은 아니’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