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의 어느 멋진 가을날에

 

 

 ‘눈이 부시게 푸르른 날은 /그리운 사람을 그리워하자

  저기 저기 저 가을 꽃자리 /초록이 지쳐 단풍드는데

 

 서정주 시에 송창식이 곡을 붙여 부른 푸르른 날에가 저절로 흥얼거려지는 전형적인 가을날이다. 느지막이 일어나 커피와 토스트로 창가에 앉자 아침을 먹는 일요일, ‘창밖에 앉은 바람 한 점에도 사랑은 가득한 걸’(시월의 어느 멋진 날에, 중에서) 오십 후반 나이에도 느낄 수 있다니 감사할 따름이다.

 밴(van)을 빌려 가 홈디퍼(Home Depot)에서 큼지막한 소국 화분 두 개를 사 왔다. 반쯤은 노랗게 피고 반쯤은 꽃봉오리가 맺혀 있는 꽃들이 얼마나 소담하고 예쁜지 하루 종일 설레었다. 횡재를 한 느낌이랄까, 수지맞은 기분이랄까, 도무지 마음이 들떠 진정이 되질 않았다. 내 인생에서 국화꽃과 함께 한 시간은 행복했기 때문일 거다.

 대개 고향과 유년 시절은 인간에겐 유토피아다. 세계와 내가 유일하게 갈등하지 않았던 공간이었기 때문이다. 성장하고 어른이 되고 고향을 떠나 세상과 갈등하면서 인간은 운명적으로 유토피아를 상실하게 된다.

 그 꿈같던 시절, 시골집 바깥마당 끝자락엔 소국 더미들이 있었고 가을이 깊어져 갈수록 향기 또한 깊어만 갔다. 철부지 악동조차 그 향기에 취해 어쩔 줄 몰라라 했다. 미당은 국화더러 누님같이 생긴 꽃이라 했지만, 나에겐 국화는 고향 꽃이다. 고향 집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국화와 뒤꼍의 대숲이기 때문이다.

 

 어려서 약골로 병치레를 많이 해 초··고 학창 시절 결석을 많이 했다. . 고생이 된 후론 학교를 못 가는 날은 오후에 천천히 뒷산 산책을 하고 나면 저녁때가 되곤 했다. 동구 밖 과수원 길을 지나면 오솔길이 나왔다. 솔 향기, 산새 소리, 들국화 향기, 거칠지 않은 바람결 아늑하고 아득했다.

 오솔길에 접어들면 우선 산 흙냄새가 진동했다. 그걸 욕심껏 호흡하고 천천히 걷는다. 산 흙냄새는 묵향 같기도 했다.

 특히 가을날 오솔길은 너무너무 좋았다. 양길 가엔 샛노란 들국화가 지천으로 피어서 그 향기만으로도 난 충분히 아프지 않았고, 그리곤 며칠간은 학교를 잘 나간다. 이 향기들은 아픈 내 몸에 활기를 불어넣어 주었다. 그 향기가 내 몸에서 다 빠져나가면 난 다시 아팠고……

 

 얼마나 견문이 좁고 무지한 촌사람인지 난 국화꽃이 커다란 것도 있다는 걸 고등학교 일 학년 때 처음 알았다. 고등학생이 되어서야 읍내로 나갈 수 있었던 나는 시내에 사는 같은 반 친구 집에 놀러 갔다. 작지 않은 이층 양옥이었는데 대문을 열고 들어가자 깜짝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집안에 들어서자마자 온통 만개한 대국 화분이 계단, 베란다는 물론 뜨락을 가득 메우고 있었다. 한 번도 상상하거나 꿈꿔보지 못한 풍경에 감탄조차 할 수 없었다. 아름답다는 감격보다 그저 당혹스러웠다. 그때까지만 해도 나는 국화는 아무 데서나 막 자라는 꽃이라 여겼기 때문이다. 즉 가꾸는 꽃이란 걸, 귀하디귀한 꽃이란 걸 그제야 알았다. 그 많은 화분 하나하나가 흠잡을 게 없을 정도로 대국은 탐스러웠고 우아했다. 무슨 품평회 나가기 일보 직전인 것처럼 자태를 한껏 뽐내고 있었다. 할아버지가 소일거리로 가꾸셨다지만 심혈을 기울인 게 역력했다. 장관도 그런 장관이 없었다. 당시 친구네는 부유한 집안이었지만 기품 있는 부잣집 같았다.

 

 꽃 중에 가장 좋아하는 꽃은 국화다. 내 유년의 꽃, 고향의 꽃, 지금은 오솔길 초입에 부모님 묘가 있고 산소 양옆으로 형님이 심어 놓은 소국이 무성하다.

 

 조국을 떠나 이국땅에서 사는 하루하루가 피곤하고 힘들기도 하지만 창밖에 앉은 바람 한 점에도 사랑은 가득한 걸보는 오늘이 바로, 결혼 축가로 많이 불린다는 시월의 어느 멋진 날에란 걸 난 안다. 사실 특정된 시월의 어느 멋진 날이란 없다. 전적으로 주관적이란 것이다.

 ‘시월의 어느 멋진 날은 특별한 날이 아니라, 지극히 평범한 일상이 최고의 축복이라고 깨닫는 순간, 그때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