엇박자 / 최아란
소주 한 병을 잔에 따르면 딱 일곱 잔이 나온다던가. 둘이서든 셋이서든 공평하게 나눌 수가 없는 숫자다. 마지막으로 건배하고 일어서려 해도 누군가의 잔이 비었으니 또 한 병 시킬 수밖에. 이토록 술꾼들의 의리가 밤새 돈독해진다.
혼자 마시는 소주 반 병 맛을 아는 나도 이 딱 한 잔 때문에 감질 나는 마음 충분히 이해한다. 그렇다고 더 마셔버리면 다음 번의 즐거움이 모자라게 되고, 후일을 도모하는 설렘마저 줄어들게 되므로 아쉬울 때 멈추는 게 현명하다. 밀고 당기는 연애를 떠올려 보라. 내일 다시 만나자며 오늘 밤 헤어져 밤새 수화기를 놓지 못하는 게 연애다. 그렇다고 온종일 함께 붙어살면 세상을 물들이던 핑크빛과 귓가 새들의 노랫소리는 금세 사라지고 만다.
이 애 끓이는 감질 맛을 음악으로 구현한 것이 재즈라고, 나는 생각한다.
앞 박자에 힘주어 쿵짝쿵짝 박수를 쳐보자. 그러니까 '쿵'에 강세가 있어서 박수도 쿵에 친다. 쿵! 짝, 쿵! 짝. 첫 발을 힘차게 내딛고 다음 발이 자연스럽게 따라가는 모양새다. 패기 넘치는 군인들의 행진 같다. 씩씩하고 정연하여 군더더기가 없다. 이번에는 반대로 앞 부분에서 우물거리다가 뒷박자가 끝나기 전 힘을 실어 본다. 음~짝! 음~짝! 힘겹게 걸음을 떼었으나 비척비척 넘어지려는 찰나 다음 발을 디뎌 겨우 균형을 잡는다. 또 한 발 밀려갔다 다시 쓰러지지 않기 위해 뒷발이 무게를 받아내는 꼴이다.
재즈는 이런 엇박의 음악이다. 기세 좋게 전진해 가는 행진곡이나 여리여리한 세 걸음이 종종 달라붙는 왈츠곡과도 다르다. 어디로 가나, 어떻게 가나, 어쩔 수 없이 생에 놓여진 몸뚱이를 그러나 결코 쓰러지지 않고, 포기하지 않고 밀어 내는 음악. 기세 좋게 쓸고 가는 게 아니라 내 깡으로 한 발씩 디디며 가는 패기가 눈물겹다. 흐려지고 쓰러지는 그 찰나의 무너짐에 함께 마음 졸였다가 아슬아슬 다음 박자 사이에 기어코 한 박을 끼워 지탱하는 힘이 가슴을 벅차게 한다.
빈민가 흑인의 음악, 남루한 노동자의 음악이 기원인 탓에 이런 감상이 명백한 내 편견이라 하더라도 반박할 생각은 없다. 그들의 고단함 없이, 술 없인 잠들 수 없는 서러움 없이 과연 재즈가 이만큼이나 발전할 수 있었을까. 재즈의 아버지가 마일스 데이비스인지 찰리 파커인지는 모르겠지만 알카포네 없이는 여기까지 오지 못했다. 으슥한 골목 지하에서 싸구려 밀주를 팔지 않았더라면, 그리고 가난한 빅밴드 연주자들을 고용해 밥값을 쥐여 주지 않았더라면, 맨해튼 고급 칵테일 바부터 동네 문화센터 소극장에까지 재즈가 울려 퍼지는 일이 요원했을지도 모른다.
근사한 공연장에 앉아 아이와 재즈 즉흥 연주를 듣는다. 공연 티켓이 생길 때마다 오케스트라며 오페라며 데리고 다녔지만 이번처럼 신나 하는 모습은 처음이다. 뒷박 엇박의 개념을 몸으로 깨쳤는지 손뼉도 치고 허벅지도 두드리며 리듬을 탄다. 데이트 할 때 갔던 재즈바에서 맘껏 몸 흔들지 못했던 내 팔다리도 흥겹다. 넘어지지 않으려 다음 발을 아슬아슬 디디며 자라준 어여쁜 아이와 모든 애끓임을 그 박자에 맞춰 놓치지 않고 이어 붙여온 내가 함께 하는 협주다.
함께 한 모든 사람들이 음~짝! 음~짝! 놓치지 않는다. 쓰러지지 않는다. 무너질라 끊길라 애간장 쓰여 이어질 다음 단락이 무진장 궁금하다. 트럼펫 연주자의 날숨 따라 숨 참고 응원하게 된다. 허술하게 숭덩숭덩 비어진 박자 구멍에 꼿꼿하던 허리가 뭉개지고 어깨가 늘어진다. 새침한 모서리들이 얼크러져 울퉁불퉁 헐렁 덜렁 보기 좋게 엉긴다.
소주 반 병마냥 딱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