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동 어른 나오셨니껴?”
대폿집을 들어서는 이에게 누군가 인사를 해놓곤 킥킥거립니다. 어떤 어르신인가 싶었더니 우리 또랩니다.
“왜~라.”
어른 흉내를 낸 우스개로 천연스레 화답하니 불콰한 분위기가 왁자지껄 달아오릅니다. 듣자 하니 그 친구는 나이 서른이 채 되기 전에 이미 호를 받았답니다.
마을 어른들은 때가 되면 아랫세대들의 호를 지어주는 풍속을 이어왔다 합니다. 그런 어르신들이 세상을 뜨자 미풍양속도 사라져 갔다는데, 일찌감치 장가를 간 덕에 요행히 받은 호랍니다.
호는 별호, 아호, 택호, 당호나 군호, 시호, 심지어는 묘호까지 있다 하나, 내가 말하는 호는 벼슬이나 고향 따위를 붙여 부르는 택홉니다. 택호는 주로 여성에게 붙인댔으나 우리 고장은 남녀공용으로 쓰여 왔습니다. 남자는 '양반'이나 '어른'이요, 여자는 '댁'을 붙였습니다. 처가가 감계인 조부님은 감호셨고, 월촌인 부친은 월산이셨습니다. 광동·뉘실·용동·바호·북동·석실·서호·신안·신천어른 또한 그러실 겁니다. 한 동네에서 연을 맺으면 본동이라 하니 그것만으로도 어설픈 무당 노릇은 할 성싶습니다. 일세를 풍미한 선현들의 호를 암기하던 학창 시절이 있었지만, 내게 있어 이런 어른들이야말로 저절로 떠오르는 정답고도 그리운 분들입니다. 그 어른들과의 일화는 나만의 기억이기도 합니다마는, 살아생전 조모님의 북동 댁 사건은 잊을 수 없습니다.
“오늘은 북동풍이 몇 미터로 불고….”
라디오방송의 일기예보를 듣던 조모님이 되묻습니다.
“북동 띠가 뭐라 칸다꼬?”
점심을 잡수던 조부님 놋숟가락이 소반을 탁! 때립니다. 엄숙해야만 했던 식사 시간인지라, 우린 터지는 웃음보를 참느라 죽을 지경이었습니다.
내 택호는 석홉니다. 호를 갖게 된 곡절 한번 들어 보실래요? 근 사십 년 만에 귀향하니 이웃들은 말을 삼갔습니다. 뉘 집 손인지 아는 어르신들도 다를 바 없었습니다. 부르기가 애매모호한 때문이었지요. 나잇살이나 먹었으니 이름을 부를 수 있나, 자식들을 모르니 개똥이네, 소똥이네 할 수가 있나요. 급기야 원로 어르신이 나서서 호를 짓기에 이르렀는데, ‘원산’이라 하자십니다. 원사 출신이니 그러신 겁니다. 옛 동네 이웃집 머슴이 원상이었습니다. 사람들은 그를 원새이라 불렀으며, 우린 동요를 부를 때마다 그 사람을 떠올리곤 하였답니다. 원새이 똥구멍은 빨갛고~♬, 바로 그 이름입니다. 원숭이 꼬리처럼 착 감기는 이름이니 내가 그리 불릴 일은 시간문제로 여겨졌습니다. 아니 되옵나이다.
그러면 어찌해야 하나, 어르신은 생각을 거듭하신 가 봅니다. 이번엔 석호라 하자십니다. 처가가 산 너머 석탑이니 돌石에 이름 號입니다. 감사하옵나이다. 아내에게 고했더니 같잖다는 표정으로 말하였습니다.
“아 이 사람아, 하령 형부가 석호 아이가.”
아차, 큰 동서 처가도 석탑이었구나. 당연한 사실이 비로소 떠오르며, 망연해집니다. 유서由緖 있고 부르기 좋은 호를 놓친 어르신은 낭패한 표정으로 무릎을 치십니다.
어정쩡한 시간이 흘렀습니다. 깔깔한 이웃들은 여전히 말을 삼갔지만, 후한 어른들은 내키는 대로 나를 불렀습니다. 본이 같은 할머니는 ‘족친’이라 하고, 어떤 이웃은 ‘새집이’라고도 합니다. 또 다른 아주머니는 ‘충성이’라 합니다. 그런 분들도 때론 ‘보소~’ 라고도 하니, 그야말로 중구난방이었습니다. 미주알고주알 터놓고 지내는 형제들이라 호 사건을 처가 식구들이 얼추 알게 되었습니다.
이른 봄날에 큰 동서가 나를 불렀습니다.
“석산이로 바꿨으니 자네가 석호 하게.”
석호가 마음에 들지 않아서 돈 들여 호를 짓고, 동네엔 택호 턱으로 막걸리 말이나 이미 냈답니다. 버린 걸 주운 격이긴 하나 손윗동서가 그러니 얼떨결에 고맙게 받았습니다.
지인 중에 석호가 있긴 하지만, 호로 불릴 때는 사뭇 다르게 느껴집니다. 어른으로 대접받는 느낌, 함부로 대하지 않는 진중함이 배여 있어 좋습니다.
내로라하는 문사들은 대부분이 호를 가진 듯합니다. 마치 명함을 새기듯 작호를 하고 즐겨 쓰는 것 같은데, 나는 그러질 못하겠습니다. 호를 붙인 그만큼 내 글에 지워진 엄중함을 감당할 수 없어섭니다. 수필 배우는 야간학교에 다니는 요즘 들어선 더욱 그러합니다. 배울수록 부족함이 느껴지는 것입니다.
호를 바꾼 동서는 그로부터 1년도 못 살고 그만 세상을 뜨시고 말았습니다. 몸이 찌뿌둥해지자 호를 바꿔 본 것이리란 걸 입원하고서야 짐작할 수 있었습니다. 백세시대인 요즘 들어 일흔 하나에 그리됐으니 그 옛날 공자 연세에도 못 미쳐 안타깝기 그지없습니다. 고희古稀 잔치 땐 그리 탄탄하던 분이 속절없이 세상을 등질 때 나는 알게 되었습니다. 인명은 재천이란 걸요. 그러므로 나는 내 이웃들이 그저 내 택호를 인정스레 불러주기만 하면 좋겠습니다.
“석호 이 사람 술 한잔하세.”
호를 지어준 어른이 나를 즐겨 부르십니다. 불러 줄 때가 좋은 법이지요. 인생 뭐 있나요. 갑니다, 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