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한옥은 외갓집이다 신달자 

 

한옥에서 한옥으로그 외에는 ‘이라는 개념이 사라져 버렸다초등학교에서 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한옥에 살면서 그것이 사람의 집이라고 생각한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었다그리고 칠순이 넘어 다시 한옥으로 짐을 풀면서 이상하게도 그 중간의 집이 사라지고 한옥에서 계속 살았다는 생각이 자리 잡았다.

 

딱 복숭아씨만 한 집이지만 이곳이 고향이고 이곳에 들어서서 “엄마!” 하고 부르면 엄마가 문을 열 것 같고 “배고프지?” 하며 내 입에 재빠르게 삶은 알밤 하나를 넣어 줄 것 같은 집이모가 보이고 나와 줄넘기를 하자고 달려올 것만 같다그렇다한옥은 모성적 집이다모든 시름도 안아 감싸줄 것 같은 엄마의 품속 같은 집이 한옥인 것이다이곳이 아름다움에 관한 모든 것을 상상하게 되고잘못해 살짝 찢어진 한지창의 구멍이 어린 날의 추억을 한꺼번에 내 앞에 풀어 놓기도 한다.

 

 한옥은 더도 말고 외갓집 같다솜이불처럼 따스하고 편안하다외할머니가 넘어진 날 일으키며 “아이고 우리 새끼” 하시며 “아픈 데는 없냐?” 하면 갑자기 울어젖히던 내 손을 잡고 “호오호오” 하며 불어주시던 외할머니가 한옥 자체라고 나는 말한다그렇게 정이 배어나고 웅숭깊다내가 사는 한옥의 툇마루는 과장 없이 꽈배기 하나만 한데도 거기 정이 쌓여 있고 정겨운 목소리가 고여 있다미운털이 조금도 없는 순하고 예쁜 추억들이 아기 손바닥만 한 마당에 왔다 갔다 하는 것이 보인다.

 

 나무 향이 말동무를 해주기도 한다늦은 밤 내 속울음을 침묵으로 누르는 것을 나무향이 달래주기도 한다내가 나무에 스미고 나무가 내 안으로 들면 그것이 한 조각의 자연이 되는 순간을 나는 경험한다자연 한 폭을 내 집으로 가졌다는 보람은 내게 있어 큰 위로이다순수한 자연의 공감이며 내밀한 벗을 지닌 작지만 큰 풍요가 있다친하다는 것은 내면의 왕래를 의미한다한옥은 나무로 대화하고 순한 한지창의 아슴한 그림자로 사람의 상처까지 쓰다듬는다그것이 치유이고 회복이 아니겠는가.

 

 나무 기둥에 그림 하나를 걸기 위해 못 하나를 치면서 “미안해라고 말해 본 경험도 처음이다. “아프다라고 말하는 것이 들리는 것을 보면 나무도 내 말을 알아들을 것이다그렇게 집이 되어 가는 것이 한옥이다.

 

 한옥은 그렇게 내게 집이 되어 가고 그 집은 내게 심성에 대해 가르친다한복 치마처럼 넉넉하게 마음을 가지라고 말한다이상하다내가 사는 한옥은 할아버지 노방저고리 단추만 한데도 그 목소리는 굵고 당차다한옥은 품성을 가르친다나이가 들면서 속이 좁쌀처럼 좁아지고 잘 비뚤어지는 내 심성에게 넉넉하라고그리고 부드러워지라고그리고 욕심을 내지 말라고 이른다한옥에 사는 일은 또 하나의 스승을 가지는 일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