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위취가 엿들은 말 한경선

  

물낯이 맑아서 하늘이 앉았다바람도 피해 간 우물이 고요하다산속에 숨어 있어서 아직까지 남아 있는 우물이다얕은 우물은 속이 환히 보여서 편안하다.

주르륵 두레박줄이 손바닥을 타고 내 안의 우물 속으로 미끄러진다유물처럼 남아 있는 우물을 두레박이 깨우자 출렁하며 잠을 깬다손바닥에 열기가 짧게 스칠 때쯤 텅 하고 두레박이 물에 닿는다그 순간 긴장하고 있다가 손을 힘을 주어 기억의 줄 끝을 붙잡는다깊이를 알 수 없는 우물 안에서 아찔한 두려움이 훅 끼친다어렸을 때 우물을 들여다보는 일은 무서웠다깊이를 알 수 없는 어두운 우물 끝에 설핏 비치는 하늘 조각은 어지럼증을 일으켰다.

큰 정자나무 가지가 뻗은 곳쯤에 앞가르마 반듯하게 타서 쪽을 찐 큰고모가 살았다순해 보이지 않는 눈썹을 가진 고모고모 집 마당은 나무 그늘이 깊었다어머니는 무슨 일이 있으면 살갑지도 않은 큰고모를 찾았다어느 날 한쪽 눈이 빨갛게 충혈 되었을 때엄마는 큰고모에게 나를 데리고 갔다이른 아침이었다우물 가 장독대에 서서 떠오르는 해를 바라보라고 했다내 등 뒤에서 고모는 붉은 팥으로 감은 눈을 비비며 무슨 주문 같은 것을 중얼거렸다그 의식은 경건하기도 했지만 어린 내 눈에 큰고모가 마치 무당이나 되는 것처럼 이상하게 보였다.

사촌오빠가 달걀귀신 이야기를 해주던 마루 앞에 있던 우물이었다얼굴이 없다는 귀신의 모습을 상상하며 새파랗게 질리곤 했는데그럴수록 오빠는 목소리를 무겁게 깔고 얼굴을 일그러뜨리며 길게 이야기를 늘여 갔다그런 날 들여다본 우물은 더욱 깊었다축축한 우물 벽엔 푸른 소름이 돋은 이끼가 보였고돌 틈 바위취 잎이 은하수 너머 이야기를 귀를 기울이고 있었다.

방학이면 달려가곤 했던 고모 집시래기 지져서 차려 준 밥은 편해서 맛있었다고향엔 큰고모 말고도 작은집과 고모 집이 더 있었다사촌들과 어울려 노느라 정신없다가도 한 번쯤은 들러서 돌아가실 때까지 쪽진 머리를 그대로 하고 있언 큰고모를 뵀다아버지를 여의고 처음 맞은 방학 때깊은 마당을 들어서는 나를 부둥켜안고 고모가 울었다.

차는 서두르지 않고 날렵한 꼬리지느러미를 조용히 움직였다뿌연 물살이 잠깐씩 길을 열고 닫았다눈을 감았다설렌다는 말로 표현하기엔 좀 무겁고 아린 느낌이 들뜬 감정을 지그시 눌렀다.

태어난 강을 떠나 바다로 갔다가 다시 그 강으로 돌아오는 연어처럼 기억 깊은 곳에 넣어 둔 고향의 물맛과 냄새를 더듬으며 강을 찾아들었다눈도 채 뜨지 못했던 어린 시절에 떠난 고향을 둘러보며 '내 어머니의 강은 참 아름다운 곳이구나.' 비로소 편안한 숨을 내쉬었다.

오랫동안 세상 바다를 떠돌았다낯선 곳 구석에서 웅크리고 있기도 하고 용기를 내어 지느러미에 힘을 주고 헤엄쳐 보기도 했다부딪치고 상처를 입을수록 멀리서 고향을 바라보기만 할 뿐 다가서지 못했다그곳에 가면 상처가 아물 것 같기도 했지만 고향은 상처 난 모습으로 돌아가며 안 된다는 생각에 매몰차게 돌아서 있었다.

높은 다리를 놓아 산꼭대기를 이어 놓은 길을 따라갔다안개 속에서 하늘과 산머리만 흐릿하게 보이는 고개를 넘어 고향 냇물에 닿았다작은 웅덩이를 파서 땅 짚고 헤엄치던 냇물해 저물면 냇물가로 까맣게 모이던 다슬기물놀이 하다가 방천 둑을 오르면 우리 아름으로 몇 아름 되는 정자나무가 있었다나무는 속이 텅 비어 있어서 아이들의 또 다른 놀이터가 되었다나무는 해마다 속없이 푸른 입을 피워 그늘도 내주었다.

여기쯤이었지아마정자나무도큰고모 집도우물도 바위취 따라 은하수 너머로 갔다모두 사라진 넓은 길 위로 아무것도 모르는 차들만 오고갔다고향 냇물의 시원이야 따로 있겠지만 내 마음속 냇물을 따라 올라가면 정자나무 그늘이 앉던 곳고모 집 우물에 가 닿는다마음속 우물을 들여다보면 지워진 줄 알았던 기억의 조각들이 흐린 빛줄기를 타고 한 켜씩 일어난다우물 속에서 자라던 바위취가 내 가슴 벽에서 귀를 쫑긋 세운다.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