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 / 윤모촌

 

 

 

조선조 말에 홍기섭(洪耆燮)이라는 이의 집에 도둑이 들었다. 그런데 훔쳐갈 것이라곤 눈을 씻고 봐도 없고, 먹을 것을 찾아 솥뚜껑을 열어보았으나 밥은 언제 해먹었는지조차 알 수 없었다. 도둑은 중얼거리기를, 이런 집구석이 다 있나 하고 가지고 있던 엽전 일곱 꾸러미를 솥에 넣고 달아났다.

홍기섭은 본시 집안이나 친척 또는 친구를 찾아보기를 좋아하였다. 도둑이 든 이튿날도 일찍 일어나 계집종에게 세숫물을 놓으라 하였다. 그리하여 부엌으로 나간 계집종이 솥안에 든 돈을 보고 소리쳐 말하기를, 하늘이 도와 돈이 생겼으니 쌀과 나무와 고기를 사서 배불리 먹자고 하였다. 그도 주인을 따라 굶주렸던 까닭이다. 그랬으나 홍기섭은 고개를 저었다. 하늘이 도왔을 리 없고, 누군가가 잘못 두고 간 것일 터이니 돌려줘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온종일 들어앉아 돈 임자가 찾아오기만을 기다렸다. 대문에는 돈을 찾아가라는 방()을 써 붙였다.

해가 저물자 뒷일이 궁금해진 도둑이 슬며시 찾아와 동정을 살폈다. 그런데 돈을 찾아가라는 방이 붙어있질 않는가. 도둑은 비록 도둑질로 살아가기는 하지만, 이런 사람이 다 있나 하고 종을 불러 주인을 물었다. 그리고 안내를 하라고 하였다. 도둑은 홍기섭 앞에 나가 무릎을 꿇고, 어젯밤 돈은 자신이 놓고 간 것이니 받아달라고 간청하였다. 그러면서 용서를 빌며 말하기를, 오늘 비로소 참된 양반을 뵙는다 하고, 홍기섭 밑에 있게 해 달라 하였다.

홍기섭은 후에 관직에 오르고 손녀가 헌종(憲宗) 왕비가 되어 지체가 높아졌다. 도둑의 성은 유()라고만 알려져 세상 사람들은 그를 유군자(劉君子)라 했다고 전한다. 이 일화(逸話)는 대동기문(大東奇聞)에 전해지는 얘기인데, 몇 번을 읽어도 읽고 싶은 얘기이다.

연전에 인물전을 TV드라마로 내보냈을 때, 그 때의 주인공이 한 말이 유행하였다. '민나 도로보'라고 한 말이 그것인데, 이 말은 '모두가 도둑'이라는 일본어이다. 드라마 작가는 이 말을 통해서 오늘의 부도덕한 사회상을 찌르고 싶었던 것으로 짐작이 간다. 오랫동안의 군사정권이 막을 내리고 민간정부가 들어서면서, 사정(司正)바람으로 드러나는 지도층 인사들의 모습이 날마다 TV에 비친다. 아닌 게 아니라 '민나 도로보'라는 말을 실감하게 한다. 드라마 속의 주인공은, 자신이 부도덕하고 간교한 방법으로 출세를 하면서, 그리고 재물을 모으면서도 남은 모두 도둑이라고 하였다. 이 말은 오늘에도 그런 상황임을 잘 풍자한다.

사람이 사는 곳이면 어느 나라 어느 시대고 도둑은 있어 온다. 앞으로도 있을 것이지만, 문민정부 시대가 열리면서 국민의 관심을 끈 것이, 이른바 지도급 인사들의 재산공개이다. 그 결과가 도둑질한 면을 드러내 보여서, 정직하게 사는 사람들을 허탈케 한다. 서민들의 평생을 건 소망이 내 집 한 칸을 마련하는 일인데, 그 꿈을 깨뜨린 것이 땅값 집값을 올려놓은 투기꾼들이다. 이런 바람을 일으킨 자들이 바로 지도급 인사로 드러나, 국민들은 제몫을 도둑맞은 것으로 생각한다.

도둑에는 큰 도둑이 있고 작은 도둑이 있다. 나라를 위한다느니 인민을 위한다느니 하면서, 권력으로 민권을 빼앗아 큰 도둑질을 한다. 그런데 사람들은 물질의 도둑은 맞지 않으려 하면서도, 정작 정신을 도둑맞는 일에는 느슨하다. 그런 일들로 사람의 마음에 병이 들어 신음 중이다. 존경받아야 할 부자가 떳떳하지 못한 세태, 도둑질을 하고도 부끄러워할 줄을 모르는 지도층……. 홍기섭과 같은 공직자, 유군자와 같은 도둑이 있다면 그런 세상은 그래도 살맛이 나는 세상이다.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