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억의   크림빵

삼립 크림빵’. 큰언니가 입가에 함박웃음을 머금고 내민 봉투에서 나온 것이다. 보름달을 연상시키는 둥그런 얼굴에 작은 구멍이 셀 수가 없다. 어릴 때가 생각나지 않느냐는 언니의 말에 반갑게 한 입 베어 물었다.

아니지 그렇게 먹는 게 아니야.”

언니의 지적에 머릿속을 번쩍 스치는 것이 있다.

빵을 살짝 여니 가운데에 하얀 크림이 뭉쳐 있었다. 양손에 빵을 나눠 들고 마주 대며 비볐다. 손힘에 못 이겨 크림이 빵 전체로 퍼졌다. 그때는 간식거리가 흔하지 않던 때라 금방 먹는 것이 아까워 크림을 혀로 핥으며 음미한 후에 한 입씩 베어 먹었는데 이제는 나이가 있으니 그냥 점잖게 먹었다. 맛있다는 감탄사에 보고 있던 형부는 그게 어디 맛으로 먹는 건가, 요즘은 맛있는 것도 많은데 추억으로 먹으니까 느낌상 맛이 있는 거지하셨다. 정말 그럴지도 몰라.

우리의 추억 속에 깃든 먹거리가 어디 그뿐인가. 껌을 씹으면 버리기 아까워 잠들기 전에 벽이나 장에 붙여 놓았다가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다시 입에 넣어 침으로 적당히 녹녹하게 만든 후 오물거리곤 했었다. 큰언니가 자주 해주던 찐빵도 그중의 하나였다. 밀가루 반죽에 이스트를 넣어 하룻밤을 재운 후 팥을 넣어 쪄낸 빵, 갓 나온 쑥으로 만든 개떡, 그리고 밀가루에 달걀을 넣어 동그랗게 튀겨주던 도넛. 그 가운데에 손가락을 넣어 돌리며 동네 아이들에게 자랑했고, 입가에 잔뜩 묻은 설탕 가루를 혀로 핥으면 왜 그리도 달았던지.

조그만 수저에 설탕과 소다를 녹여 그 위에 여러 모양을 찍은 것을 그대로 떼어내면 하나를 공짜로 얻을 수 있기에 손가락이나 옷핀에 침을 묻혀 정성을 들이던 달고나, 안에 든 설탕이나 팥에 혀를 데이면서도 호호 불며 먹던 호떡과 붕어빵, 길가의 신문지 위에 놓인 칡뿌리는 껌 대용이었고, 삼각뿔대 모양의 신문지에 담아 주던 번데기와 소라는 그 국물 맛이 일품이었다.

오랜만에 언니와 형부로 인해 추억을 산책하는 즐거운 시간을 가졌다. 지나온 시간은 다시 갈 수가 없기에 아쉬운 것일까, 어린 시절의 느낌과 감성을 되새길 수 있어서 그리운 것일까, 세상의 풍파에 시달리다 시름을 잠시 내려놓고 근심걱정 없던 순수로 돌아가고 싶어서일까, 먹거리 안에 담겨진 그 시절의 추억이 군침을 돌게 한다.

요즘 온갖 기호식품에 맛을 들인 아이들에게 이런 간식을 내민다면 아마도 맛이 없다고 혀를 내두르며 먹으려 하지 않을 것이다. 번데기만 해도 고단백의 영양식인데 벌레를 먹는다며 기절을 할 것이다. 풍요로운 환경과 세계 각국의 음식을 접할 수 있고, 온갖 향신료와 조미료로 길들여진 그들 입맛에 담백하지만 투박하고, 흔한 재료를 이용한 우리네의 간식들이 맛이 없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음식은 그 시절의 풍속과 흐름, 시대상을 말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리라. 인스턴트 식품에 길들여진 이 시대는 무엇이든 즉석에서 해결되고 더욱 강한 맛, 색다른 것 자극적인 것을 원한다. 우리의 어릴 적 자연에서 그 재료를 구하고 찌고 삶는 과정을 거치는 인내와 기다림, 귀하기에 아낄 줄 알고 콩 한 쪽도 나눠 먹는 인심, 정이 있었다.

 

삼립 크림빵 세 쪽이 그 얼굴에 찍힌 구멍만큼이나 많은 생각을 불러왔다. 작은 사건 하나에도 이렇게 즐거울 수가 있는 것을. 입가에 묻은 크림을 혀로 살짝 핥아 본다. 역시 맛있다

.

           빵.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