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고의 길 / 박 유니스


 

가난한 음악가 부부가 있었다. 단칸방에 세 들어 살던 이들은 어느 날 밤, 부인이 한 쪽 팔로 침대 바로 곁에 있는 피아노 건반을 잠결에 건드렸다. 굉음이 났다. 잠들었다가 이 불협화음을 들은 남편은 부시시 일어나서 두 손으로 건반 위에 멋진 하모니의 음을 한 번 누르고 다시 잠자리에 들었다고 한다 퇴고에 관한 글을 쓰려면 항상 생각나는 이야기다. 글을 다듬는 일은 음을 골라서 화음을 이루는 것과 같은 일이 아닐까.  

 

가까이 지내는 선배가 글 두 편을 내밀었다. 하나는 본인이 쓴 신앙 간증문이고 다른 하나는 교회지 편집을 맡은 전도사가 그의 글을 퇴고한 것이다. 선배는 나이 든 사람이 심혈을 기울여 쓴 간증문을 젊은 전도사가 이렇듯 몽땅 고쳐도 되느냐고 사뭇 분개했다. 평소에 지나치게 새치름한 그 교회 여전도사가 별로 마음에 들지 않던 터였다. 그렇다면 그거야 그 사람 글이지 본인 글이 아니지요 대충 대꾸해 가며 원문과 수정문을 훑어보다 슬그머니 맞장구 전선을 뒤로 물렸다. 선배의 글보다 전도사의 수정문이 훨씬 좋았기 때문이다. 

 

원문엔 BC(Before Christ)와 AC(After Christ), 즉 믿음을 갖기 이전의 세속적인 삶과 신앙을 받아들인 이후의 변화된 삶이 세세히 적혀 있었다. 절절한 사연들에도 불구하고 절제 없는 내용 전개와 중복된 소재 인용으로 글의 주제가 선명하게 전달되지 않았다. 뜨거운 신앙 체험들은 본인 자신만의 것일 뿐 직접 경험하지 못한 독자에게는 큰 감동은 주지 못했다. 전도사의 글은 이런 부분들이 절도 있는 표현으로 바뀌어 있었고 문장과 맞춤법도 잘 다듬어져 있었다. 

 

퇴고라는 것을 원고를 마무리하는 간단한 손질 정도로 알고 있었다. 그 뜻이 당나라 시인 가도와 대문호 한유의 고사에서 비롯된 유서 깊은 말인 것을 나중에 알게 되었다. 가도는 자신의 오언시를 마무리하며 마지막 연에서 중이 문을 밀고 들어간다는 퇴(推)로 쓸지, 문을 두드리고 들어간다는 고(敲)를 쓸지 망설였다. 그러던 중에 존경하던 한유를 만났고 그의 권유를 받아들여 ‘문을 두드리고 들어간다’(僧敲月下門)로 마무리했다. 여기서 유래되어 ‘퇴’ 자와 ‘고’ 자는 문장을 다듬는다는 뜻이 전혀 없는데도 그런 뜻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퇴고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낯선 문을 두드려(고) 탁발을 계속할지, 절 집 문을 슬그머니 밀고(퇴) 들어가 발 씻고 잠자리에 들어 버릴지, 그날 밤 가도의 고뇌가 내 것이 된 지 오래다. 톨스토이는 <부활>을 쓰며 수십 번 다듬었고 헤밍웨이는 <노인과 바다>를 400번 이상 고쳐 썼다고 한다.

 

수필을 한 편 쓰면 그때부터 퇴고의 긴 여정이 시작된다. 처음 몇 번은 내용에 초점을 맞추어 보충, 첨가, 가필한다. 다음으로 문장을 압축하고 간결한 표현을 고른다. ‘-적’, ‘-의’, ‘-것’ 등의 문구를 삭제한다. 번역 작품을 많이 읽은 탓에 자주 쓰는 수동형의 표현을 찾아내 능동형으로 바꾼다. 말하려던 주제나 흐름이 흐트러지지 않으면 분신 같은 한 문단 전체도 과감히 버린다. 더 알맞은 어휘가 떠오르면 어느 음악가처럼 자다가도 벌떡 일어나 고친다. 글은 하루에 쓰고 퇴고는 한 달가량 계속해도 뭔가 미진하다. 퇴고할 글이 없는 날은 허전하고 해야 할 일을 미루고 있는 듯한 느낌을 떨쳐버릴 수 없다. 이런 날 식탁 위의 에스프레소 머신과 내 빈한한 사유의 실꾸리는 계속되는 혹사에 비명을 지른다. 

 

퇴고에는 왕도가 없음을 새삼 깨닫는다. 퇴고의 길을 들메끈을 고쳐 매며 여전히 걷는다. 그 길 위에서 나의 삶 또한 조금 더 온전해지고 다듬어지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