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번호 257번 / 칡뫼 김구
멋모르고 저지른 죄였다. 가슴이 답답할 때 글을 썼다. 그냥 가지고 있어야할 글을 이 동네 저 동네 뿌린 게 화근이었다. 결국 나는 스스로 체포되어 글 감옥에 갇히고 말았다. 맞춤법을 어기고 띄어쓰기를 제대로 하지 않은 죄. 거기에 수준 낮은 사유와 자기 자랑 투의 어법, 세상고민은 혼자 다 한 듯한 넋두리 등. 죄목이 수두룩했다. 현행범이라 영장도 없었다.
이상한 감옥이었다. 육체적 구속은 물론 정해진 형량도 없었다. 자율이란 크고 높은 벽이 둘러져 있을 뿐. 수감자들은 대부분 스스로 잡혀온 사람들이었다. 그래선지 감옥 생활을 즐긴다고나 할까. 행복해보였다. 그런데도 누구나 출소를 염원했다. 출소란 글로 세상을 주유하는 것이었다. 결국 어느 수준의 글 실력이 필요했는데 타인의 혹독한 평가와 냉정한 자기검열이 따랐다. 들어오긴 쉬어도 나가기 어려운 곳이었다.
감옥생활은 생각보다 자유로웠다. 사회적응을 위해 글을 써내는 과제가 주어졌는데 안한다고 뭐라는 사람은 없었다. 살아 온 이야기를 반성문처럼 쓰거나 주변의 일을 적당히 기록하며 지냈다. 실은 그게 문제였다. 세상 일이 그러하듯 대충하다 보니 글 실력이 늘지 않았다. 그만큼 형기가 늘어났는데 이것이 무서운 벌이었다.
빠른 출소를 위해 수감자들은 일주일 혹은 한두 달에 한 번 모여 그동안 쓴 글을 서로 평가했다. 글 기본이 되어있지 않으면 면박을 받거나 싸늘한 시선을 감내해야했다. 미소 띤 얼굴에 예의를 갖춰 점잖게 지적하지만 평가는 냉혹했다.
고치고 또 고쳐 썼다. 구성을 바꾸기도 하고 수식어, 조사, 부사, 맞춤법에 띄어쓰기까지. 200번은 넘지 싶었다. 그 덕인지 그리 나쁜 평가를 받진 않았다. 몇 차례나 고쳤냐는 말에 언 듯 257번이란 말이 튀어나왔다. 그 일로 나는 ‘이오칠’이란 별명을 얻었다. 별명은 '열심'이라는 의미로 다가왔고 싫지가 않았다. 그날 이후 나는 스스로 257번 수인이 되었다.
글 감옥은 거대해서 다른 곳에도 수감자들이 많았다. 우리 ‘수필’동 근처에 ‘시’동이 있는데 그곳 수감자와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었다. 긴 수염에 꽁지머리를 한 그는 주로 독방에 갇혀 있었는데 대화나 소통에는 관심이 없는지 그의 시는 선문답처럼 어려웠다. 우리 뒤쪽에 있는 ‘소설’동에는 주로 어설픈 거짓말 때문에 갇힌 사람들로 항상 붐볐다.
모든 것이 자율이었지만 글을 심사하는 곳이 있었다. 공개심사를 통과하면 감옥에서 출간하는 정기간행물에 글이 실리곤 했다. 하지만 출소를 보장받는 것은 아니었다. 공개강좌도 여러 군데 있었는데 험난한 글 세상에서 살아남는 방법을 가르쳤다. 선생님은 대부분 글로 자기세계를 구축한 분들로 선망의 대상이었다.
가끔 자신의 글이 주례사 같은 평론이나 인사성 칭찬을 들으면 들떠서 출소를 기다리느니 탈옥을 하겠다는 사람도 있었다. 하지만 며칠이 지나면 다시 잠잠해졌다. 그 정도 실력으론 나간다 해도 인정받고 살 길이 막막했기 때문이었다.
답답했다. 이곳을 나가기가 이리도 어렵단 말인가. 방법이 있긴 있었다. 글을 쓰지 않으면 되었다. 하지만 이는 나에게 밥만 먹고 살라는 것과 같았다. 그렇다면 실력이라도 뛰어나야 할 텐데 그도 어려운 일이었다.
어느 날 출소한 분이 면회를 왔다. 출소한 사실만으로도 존경받는 그분이 내게 말씀하셨다.
“밖은 더 큰 감옥이야. 날개 없인 살기 힘든 곳이지.”
“날개라니요?”
“생각에 날개를 달 수 있어야해.”
점점 어려운 말씀을 하셨다. 짧은 시간에 쫒긴 나는 단도직입적으로 물었다.
“그렇다면 날개는 어떻게 달죠?”
“많이 읽고 많이 써야지. 끝없이 사색하고. 자신만의 세상 보는 눈을 키워야 해. 그 다음 갈고 닦은 글 솜씨로 날개를 다는 거야.”
난 그날 이후 글이 칭찬받는 날이면 꿈결처럼 몸이 둥둥 떠올랐다. 겨드랑이에 날개가 솟아 하늘을 나는 느낌이었다. 속 비치는 날개를 달고 바람처럼 나는 잠자리나 고운 꽃가루를 묻히고 화려한 날갯짓을 하는 나비가 이런 기분일까. 튼튼한 날개에 예리한 눈을 가지고 높이 나는 독수리야말로 이런 기분일거야. 그래, 날개를 달고 훨훨 높은 담장을 넘어 더 넓은 세상으로 날아가는 거야.
책상 위에는 밤새도록 쓰고 지운 A4용지가 여러 장 쌓여 있었다. 이중 삼중으로 고치고 써넣은 빨간 글씨. 검정 펜으로 다시 덧 댄 메모. 볼펜. 어질러진 안경과 커피 잔. 프린터에는 인쇄된 종이가 매 맞은 개구리 혓바닥처럼 나와 있었다. 잠에서 깬 나는 마우스를 클릭했다. 잠자던 모니터가 환해지더니 ‘오전 02:10’란 글자가 눈에 들어왔다. 화면에는 애벌레처럼 누워있는 글자들 사이에 죽비처럼 생긴 막대커서가 가쁜 숨을 몰아쉬고 있었다. 졸린 눈을 부비고 본 마지막 문장은 이렇게 쓰여 있었다.
‘ 257번 수인은 오늘도 탈옥을 꿈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