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의 어원(語源)  / 일만 성철용

새해의 첫날을 설이라고 하는데 그 어원은 무엇일까?
설을 신일(愼日)이라 함은 한자 뜻 그대로 삼가고 조심해야 하는 날이란 말이다.
설날을 다른 말로 원일(元日), 세수(歲首), 연두(年頭),연시(年始)라고 하는 말도 한자 그대로 모두 한 해의 첫날이란 말이다.
따라서 설이란 묵은 해를 떨쳐 버리고 맞는 날로 이 날은 삼가하고 조심해야 할 낯선 날이다. 그래서 '낯설다'에서 '설'이 되었다고 말하기도 한다. 근신한다는 뜻인 '사리다'의 '살'에서 비롯되었다는 말도 있다.
설을 맞으면 한 살을 먹는다. 설과 나이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언어학에 모음교체(母音交替,ablaut)란 말이 있다. 상반된 두 모음이 서로 바뀌어 의미 분화를 주는 낱말들이 있다.
'갓'이 '겉', '맛'이 '멋'으로 모음 'ㅏ'가 'ㅓ'로 바뀌어 뜻을 분화하는 것처럼 한 살 더 먹는 '살'에서 '설'이 유래 되었다고 말할 수도 있다.
영덕 지방 사람들은 나이가 한 살 더 먹는 것이 서러웠던가 '섧다'에서 설이 나왔다고 하는 옛 기록도 보인다.
혹자는 신정, 구정으로 나누는데 설을 구정(舊正)이라고 하는 말은 쓰지 않았으면 좋겠다. 일제 강점기 우리들의 설을 비하하기 위해서 우리 민족의 설을 구정(舊正)이라 하였기 때문이다.

*.왜 1월 1일 설날은 길일(吉日)일까.
우리나라 명절로는 설, 대보름, 한식, 초파일, 단오, 유두, 백중, 추석 ,동지 등이 있었다. 이 명절은 보름마다 한번씩 있는 절기와 구별되는 날들이다.
그러나 오늘날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오면서 설, 대보름, 추석 정도를 제외하면 나머지는 명절로서의 의미를 상실하고 말았다.
거기에다가 서구의 바렌타이데이, 부활절, 추수감사절, 크리스마스와 같은 새로운 날들이 명절처럼 자리 잡게 되었다.
그 명절날을 음양(陰陽)으로 풀어보면 그래 그랬었구나 하고 머리를 끄덕이게 된다.
숫자에서 홀수는 양(陽)이요, 짝수는 음(陰)이다.
홀수(3=1+2, 5=1+4,/3+2, 7= 1+6/2+5/ 9=1+8/2+7/3+4 등)인 양(陽)은 음양(陰陽)이 조화되는 숫자라 하여 좋아하였으나 짝수.(2=1+1 양양, 4=1+3/2+2, 6=1+5/2+4/3+3 등)는 어떤 경우에도 음양(陰陽)이 조화되지 않기 때문이었다.
옛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날은 어떤 날이었을까.
달의 홀수와 날의 홀수가 같은 날로 그날은 최고의 길일로 쳤다.
1월 1일이 설이고, 3월 3일이 삼짇날이요, 5월 5일이 단오, 7월 7일이 칠석, 9월 9일이 중양절이다.

* 설날에 왜 떡국을 먹는가.
'동국세시기'에는 떡국은 정조(正朝) 차례와 세찬에 없어서는 안 될 음식으로 기록되어 있다.
설날은 천지만물이 새로 시작되는 날로 엄숙하고 청결해야 한다는 원시 종교적 사상에서, 깨끗한 흰 떡으로 끓인 떡국을 먹게 된 것이라고 육당 최남선 선생은 '조선상식'에서 밝히고 있다.
우리 민족이 광명사상의 백의민족임이 흰떡과 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떡국이 둥근 것도 태양이 둥글기 때문이란 이야기다.

*. 세배는 어떻게 해야 옳은가
정월 초하룻날에 어른께 하는 첫인사로 세배를 하는데 정월 보름(15일)까지 하는 것이다.
우리는 절을 주고받은 다음에 서로 잘 되기를 빌어주는 덕담(德談)을 한다. 덕담은 축원해 주는 것이 아니라 이루어 진 것으로 단정하여 축하하여 주는 것이 원칙이라고 한다.
입시생에게 "00대학에 합격했다지?" 하는 식이다. 이런 세배는 경로사상이나 장유유서의 미풍양속으로 언어에서는 경어법을 발달시켰고, '절'을 중심으로 그것을 확인하는 우리 민족의 전통이요 자랑인 것이다.
절은 어떻게 하는 것이 원칙에 어긋나지 않을까?
몇 해 전이던가. 어느 높은 사람이 그 부모에게 절하고 받는 것이 TV에 방영된 일이 있는데 일반적 상식에 어긋나 많은 사람들의 빈축을 자아낸 일이 있었다. 공수하는 것이 잘못되었고 의자에 앉아 받는 부모의 자세가 잘못되어서다.
절하는 손이 고두배 하는 식이었다. 고두배란 두 손을 나란히 벌리고 하는 절로 두드릴 고(叩) 머리 두(頭) 신하가 왕에게 머리를 두드리며 간할 때 드리는 절이다.
공수(空手)란 두 손을 맞잡는 것을 말하는데 두 손의 손가락을 가지런히 붙여서 편 다음 앞으로 모아 포갠다. 엄지손가락은 엇갈려 깍지를 끼고 식지(食指) 이하 네 손가락은 포갠다.
엄지손가락을 깍지를 끼는 까닭은 손등을 덮은 소매 사이로 두 엄지만 내놓아 맞은 편 소매 끝을 눌러 흘러내리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또 옛날에 벼슬아치들이 들고 다니던 홀(笏)을 쥐기가 편리하기 때문이라 한다.
어른에게 술을 따를 때 오른 팔소매를 왼손으로 받치는 것이 음식에 도포가 닿지 않도록 하는 것데서 시작된 것이다.
왼손을 가슴에 대는 사람이 있는데 그것도 잘못된 것이다.
그런데 이때 주의 할 점은 평상(平常) 시와 흉사(凶事) 시의 오른 손 왼손의 위치가 다르다는 것이다.
평상시는 남자는 왼손이 위고, 여자는 오른 손이 위다. 좌는 양(陽)이요, 우는 음(陰)이기 때문이다. 혼동이 되거든 남녀 각기 자기가 입은 옷의 윗도리의 단추나 옷고름의 위치와 손의 위치를 같이 하면 된다.
흉사 시에는 그 반대로 해야 한다. 흉사(凶事) 시란 사람이 죽은 순간부터 약 백 일간(졸곡 전까지)이다.
제례에는 절사(節祀)와 기제(忌祭)가 있는데 모두 조상을 기억하는 기념일이지 흉사일이 아닌데 이를 혼동하는 사람이 의외로 많다.
이때 또 유념할 일은 큰절을 드릴 때는 거안제미(擧案齊眉)란 말처럼 맞잡은 손을 눈높이까지 할 것이다. 마주 잡은 손 높이는 상대에 대한 존경의 격을 표시하는 것이다.
병자가 누워 있을 때는 절하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는 행위다.
차례나 제사를 지낼 때는 왜 두 번이나 네 번 절해야 할까?
산 사람은 양(陽)이니 홀수인 한 번을, 죽은 사람은 음(陰)이니까 짝수로 2번 절하는 것이다. 집안에서 큰일이 있을 때는 평시의 2배라 하여 3배 4배를 하는 것이다.

*. 까치 설날

-까치까치 설날은 어저께고요.♩~♫♪
우리 우리 설날은 오늘이래요.♩~♫♪

까치의 설날을 왜 어저께라 했을까?
서양인의 눈으로 보면 까치는 농작물을 해치는 해조(害鳥)이지만, 우리의 조상들은 까치는 식물에 해로운 해충을 잡아먹는 익조(益鳥)라 하였고,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 하여 까치는 길조(吉鳥)로 대접 받아왔다. 오작교를 지어주는 착한 새라고 생각해 온 것이다.
농부들은 까치들이 높은 가지에다 집을 지으면 좋아하였고, 얕고 튼튼한 아래 나뭇가지에 집을 지으면 태풍이 온다고 걱정하였다.
까치는 이렇게 머리가 좋고, 날카로운 코가 있어 냄새 등으로 동구 밖 나뭇가지에 집을 짓고 그곳을 지나다니는 동네 사람을 알아본다.
그래서 낯선 사람이 오면 짖어댄다. 설날 하루 전에 고향을 찾아오는 자식들은 까치에게는 낯선 사람이기에 요란히 짖어 대는 것이다. 그래서 까치의 설날은 설날 하루 전이라 한 것이다.
그 까치설날이 며칠 앞으로 다가오고 있으니 지금은 세모(歲暮)다. 그런데 예년과 달리 한파마저 우리의 겨울을 꽁꽁 얼게 하는데 구제역으로 230마리의 죄없는 소 돼지를 생매장하고 있다는 우울한 세밑을 보내고 있다. 다시 소리 높여 애국가를 불러 보고 싶다.
"하느님이 보우하사 우리 나라 만세. .♩~♫♪"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