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의 진짜 주인공이 되는 시간 정여울

 

한 선배가 이런 이야기를 해주었다. “대학시절 너에 대해 다른 아이들이 하는 이야기를 듣고 기분 나빴던 적이 있어. ‘뭔가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여울이한테 물어봐여울이라면 다 들어줄 거야’, 이런 식으로 이야기하더라고.” 사람들이 나를 그런 식으로 생각하는지그때는 꿈에도 몰랐다나는 고분고분한 사람호락호락한 사람으로 비친 것일까. “여울이에게 이야기해봐” “여울이라면 다 들어줄 거야.” 남들이 뒤에서 나에 대해 그런 뒷말을 나누리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다그 시절 나는 누가 뭐래도 남의 부탁을 잘 들어주는 예스맨이었던 것이다어쩌면 나는 그저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는 착한 사람이 아니라타인이 곤란한 상황에 처했을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라는 만족감을 얻고 있었던 것이 아닐까사실 거절하는 마음의 불편함을 참아내는 것이 어려울 뿐이었다나 스스로가 내 삶의 엑스트라가 되어버리는 순간이었다.

나는 이제 안다. ‘허락이 나다움을 만들어주는 순간보다 거절이 나다움을 만들어주는 순간이 훨씬 많다는 것을마뜩잖은 부탁을 처음으로 거절하는 순간나는 진정한 나 자신이 되었다친구가 자신의 과제를 나에게 대신 써달라고 부탁할 때 나는 안 되겠다고 대답했다그 아이는 나에게 다시는 말을 걸지 않았다그런 관계라면 처음부터 진정한 친구가 아니었던 것이다타인의 부탁을 들어줄 때 나는 아무런 대가를 바란 적도 없고 그냥 누군가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이 좋았지만그 다음부터는 그런 소극적인 만족감을 삶의 울타리 바깥으로저 멀리 밀어내기 시작했다정신차리는 계기가 되었다내 삶의 주체성을 내가 찾지 않는 한 누구도 내 삶을 대신해줄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우리는 언제 내 인생의 진짜 주인공이 되는가내가 진심으로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때로는 나를 사랑하는 사람들과도 기꺼이 싸울 수 있을 때우리는 진짜 나 자신이 되는 것이 아닐까단지 힘들었다는 건 싸움의 증거가 되지 않는다그것이 누구의 싸움이냐누구를 위한 싸움이었느냐가 중요하다공부를 잘한다든지 칭찬을 받는다는 것은 내 안의 진짜 욕망이 아니다내가 무언가를 열심히 해냈더라도그 동기부여의 주체가 누구였느냐를 생각하면내 안에서 싹터 내 삶의 자양분으로부터 잉태된 욕망의 싹이 아닌 경우가 많았다조지프 캠벨의 신화의 힘을 읽으며 나는 내가 한 번도 내 안의 용즉 너는 안 될거야라는 두려움과 제대로 결투를 해본 적이 없다는 것을 알았다내 안에서 변명의 목소리가 들려왔다너도 충분히 힘들었잖아너는 고생했잖아마음고생은 누구보다도 심했잖아.

하지만 변명의 소리앓는 소리를 하는 내 안의 또 다른 나에게 나는 잠시 조용히 하라고내 자신의 그림자와의 만남을 제발 방해하지 말라고 소리쳤다생각해 보니 정말 새로운 도전을 해본 적이 없었다부모가 둘러준 울타리 바깥을 나간 적 없었던 나한 번도 새로운 삶에 도전해보지 않은 나를 발견했다마침내 작가가 되는 길을 선택할 때내 안의 부모의 시선이라는 용과 싸워야 했다부모님이 좋아하시지 않는 길을 걸어본 적이 없는 나에게는부모님이 그토록 반대하시는 일을 끝까지 해낼 용기가 없었다하지만 나는 내 안의 용과 싸워 이기고 싶었다내 안의 숨쉬는 작가의 가능성과 만나는 것은 곧 부모라는 용초자아(Superego)라는 내면의 감시자와 싸워 이겨야만 가능한 일이었다그것은 매번 새로운 글을 씀으로서 조금씩 내 안의 또 다른 나와 만나는 모험의 과정이었다글을 쓸 때마다새로운 책을 낼 때마다 나는 내 안의 용과 싸운다그럼으로써 더 나은 나 자신더 깊고 지혜로운 또 하나의 나와 만나려고 분투한다.

개성화란 내 안의 더 큰 나와 만나는 것내 안에 숨겨진 나만의 신화를 살아내는 것이다내 삶의 주인공이 된다는 것그것은 내 인생의 주도권을 누구에게도 넘겨주지 않는 강인한 뚝심을 기르는 것이다내 삶의 주인공이 된다는 것은 내가 원하는 삶을내가 원하는 방식으로내가 원하는 사람들과 함께 만들어갈 수 있는 용기를 한 순간도 잃지 않는 것이다.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