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에 많은 격려가 될 글이라 퍼왔습니다.

많이 쓰는 사람이 좋은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해 주는 글입니다.

저희 협회의 동네방이 얼마나 글쓰기에 도움이 되는지 다시금 되새기게 됩니다.

 

http://m.blog.naver.com/ksc12545/220626517050

 

 

천재들조차 자신의 아이디어가
호응받을지 판단하는 데 서툴다

 

* 이 글은 '한국경제신문'에서 펴낸 애덤 그랜트(Adam Grant)의 《오리지널스》의 내용 일부를 요약, 재정리한 것을 퍼 왔습니다.  이 내용과 관련하여 보다 자세히 알고 싶으면 책을 참고바랍니다. (아래 책 표지 참조하세요)

 

당신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할 때는 비교 대상이 없는 독특한 상황에 처하기 때문에, 과거에 자신이 창안한 것에 대해 받았던 타인의 평가를 모두 무시하게 된다. 과거에 생각해냈던 것들이 완전히 실패로 끝났어도, 이번에는 다르리라고 생각한다.

기업가와 발명가는 자신의 아이디어가 성공할 확률을 어느 정도는 실제보다 높게 생각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그 아이디어를 추진할 동기부여가 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 대중의 실제 선호도를 알게 되고 나서도, 그들은 심리학자들이 말하는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에 빠진다. 즉 자기 아이디어의 장점만 들어오고, 한계나 단점은 무시하거나 과소평가하거나 변명으로 무마해버린다.

창의적 생산성을 평생 연구해온 심리학자 딘 사이먼튼(Dean Simonton)은 천재들조차 자신의 아이디어가 호응을 얻을지 판단하는 서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음악계에서 보면, 베토벤은 자기비판적인 사람으로 알려져 있지만, "자신이 작곡한 교향곡, 소나타, 4중주 가운데 베토벤 자신이 가장 아낀 작품들은 후세가 가장 자주 연주하고 녹음한 곡들이 아니었다"라고 사인먼튼은 말한다.

심리학자 애런 코즈벨트(Aaron Kozbelt)는 베토벤이 썼던 편지들을 샅샅이 분석했다. 그 편지들에는 베토벤이 당시 자신의 작품에 대한 전문가적인 의견들과 비교하면서 자신의 작품들에 대해 평가한 내용이 담겨 있다. 70 작품에 대한 평가에서 베토벤은 15개의 긍정 오류(크게 성공하리라 예상했지만 그렇지 못한 작품) 범했으며,  8개의 부정 오류(부정적으로 평가했지만 후세에 사랑을 받은 작품) 범했다. 베토벤은 작품들에 대해 청중의 의견을 들은 후에 평가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오류를 범한 비율이 33% 이른 것이다.
 

왕자를 찾을 때까지
개구리에게 입맞춤하라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내는 사람들이 자신의 아이디어에 대해 제대로 평가를 내리는 데 소질이 없다면, 걸작을 창조할 확률을 어떻게 극대화할 수 있을까?  결론적으로, 수많은 아이디어를 대량으로 창출하면 된다.

딘 사이먼튼은 평균적으로 볼때, 창의적인 천재들이 같은 분야의 동료 집단보다 질적으로 우월하지 않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들은 단순히 훨씬 많은 양의 아이디어를 낼 뿐이었다. 다양한 아이디어를 내다 보면 독창성을 달성할 확률이 높아진다. 사이먼튼은 " 영향을 미치거나 성공적인 아이디어를 생산해낼 확률은 창출해낸 아이디어의 총수가 많을수록 높아진다"라고 지적한다.

어느 분야든 가장 창의력이 뛰어난 사람들조차 별로 흠잡을 데는 없지만 전문가와 일반 관객들이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는 작품을 아주 많이 생산한다. 런던교향악단이 선정한 세계 50대 고전음악의 목록에는 모차르트 곡 6개, 베토벤 곡 5개, 바흐 곡 3개가 올랐다. 손에 꼽을 정도의 소수의 걸작을 작곡한 모차르트는 35세에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600여 곡을 작곡했고, 베토벤은 평생 650곡, 바흐는 1,000곡 이상을 작곡했다. 15,000여 곡의 고전음악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5년이라는 일정한 기간 동안 작곡한 작품의 수가 많을수록 음악가가 걸작을 작곡할 확률이 높았다.

피카소의 작품 목록에는 유화 1,800점, 조각 1,200점, 도자가 2,800점, 드로잉 12,000점이 포함되고, 그 밖에도 판화, 양탄자, 태피스트리도 있다. 그렇지만 그중에 아주 극소수 작품들만이 찬사를 받았다. 시의 경우를 보자. 우리는 마야 안젤루(Maya Angelou)의 고전시 <그래도 나는 일어서리(Still I Rise)>를 읊을 때, 그녀가 165편의 시를 썼다는 사실을 잊곤 한다. 과학 분야를 살펴보자. 아인슈타인은 물리학에 일대 변혁을 일으킨 일반 상대성이론과 특수 상대선이론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지만, 그가 펴낸 248편의 논문들 대부분은 별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분야를 막론하고 최고의 독창성을 보여준 사람들은 아이디어를 가장 많이 창출해낸 사람들이고, 그들은 가장 많은 양의 아이디어를 기간에 가장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냈다. 에디슨은 30~35세 사이에 전구, 축음기, 탄소접점 방식을 이용한 전화기를 발명했다. 그러나 에디슨은 같은 기간 동안 100여 개의 특허를 출원했는데, 그중에는 스텐실 펜, 과일 저장법, 철광 채굴을 위한 자석 이용법, 게다가 오싹한 말하는 인형까지 포함되어 있었다. 사이먼튼은 "가장 별 볼일 없는 작품들이 생산된 바로 그 기간에 가장 중요한 작품들이 탄생하는 경향이 있다"라고 지적한다. 그는 "에디슨은 특허가 1,093개나 되지만 정말로 탁월한 창의적인 발명품의 수는 손에 꼽을 정도다"라고 말한다.

양과
질은 서로 상충 관계(trade-off)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념이다. 어떤 일을 잘하기를 원한다면, 결과물의 질을 높이려면 다른 일은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그것은 틀린 생각이다. 아이디어 창출에서는 양이 질을 예측하는 가장 정확한 지표다. "독창적인 생각을 하는 사람들은 이상하게 변형되거나, 더 이상 발전할 여지가 없거나, 완전히 실패작인 아이디어를 많이 생각해낸다. 하지만 이는 결코 헛수고가 아니다. 그만큼 재료로 삼을 아이디어,특히 참신한 아이디어를 많이 생각해내게 된다"하고 로버트 서튼(Robert Sutton) 스탠퍼드대학교 교수는 지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