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을 쓰는 젊은이들에게 /정호경 

                                                      

   수필이 문학이라고 한다면, 문학의 장르에는 수필 외에도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우리는 우선 그것부터 알아야 할 것입니다. 먼저 시와 소설을 비롯하여 수필, 평론, 희곡, 아동문학 등을 들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이들을 다시 운문문학과 산문문학으로 구분해본다면, 시, 시조, 동시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산문문학입니다. 운문으로 된 작품, 즉 시나 시조, 동시를 ‘노래’라고 한다면, 산문문학으로서의 소설이나 수필, 희곡 등은 모두 ‘말’이나 ‘이야기’라고 할 것입니다. 문학의 장르와 말에 운율의 유무에 따라 운문문학과 산문문학으로 구분하는, 이런 정도는 중학교 3학년생이면 벌써 다 알고 있는 문학에 관한 기본 상식인데도 구태여 내가 이 글 첫머리에서부터 말하고 있는 것은 교육활동에 있어서 반복학습反復學習을 통한 확인학습確認學習의 중요성을 다 함께 상기하고자 함에 그 의미가 있습니다.

 

   우리는 문단 주변에서 ‘수필도 문학인가?’ 하는 말을 아직도 심심찮게 듣고 있습니다. 그런데 나는 문예지에서 시 같지도 않은 그리고 소설 같지도 않은 글을 가끔 읽고는 앞에서 말한 ‘수필도 문학인가?’ 하는 말에 대해 불쾌감이기보다는 오히려 야릇한 웃음을 머금게 합니다. 왜냐 하면 이런 시, 이런 소설도 다 문학작품이라고 버젓이 문예지에 게재하고 있는데, 왜 하필 수필에 대해서만 돼지방귀 소리 같은 나팔인가 싶어 피장파장의 실소를 금하지 못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자기 얼굴에 묻은 검정은 안 보이게 마련입니다. 시나 소설에 비해 연천한 문학으로서의 수필에 대한 이들 기득권자들의 텃세인가요. 오늘날의 세련된 선진 문화인에게 ‘텃세’란 정말 전근대적인 ‘촌티’라는 사실을 우리는 알아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다시 생각해보면, 남 탓을 하기 전에 수필을 쓰는 우리 자신의 깊은 반성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합니다.


   나는 여기서 지금 시작하는 젊은 수필가들의 작품에서 우선 참신한 문장을 비롯한 제반 사항에서의 신선감에 놀라기도 하지만, 이는 소수에 불과하고, 아직도 많은 신진 수필가들이 문학의 기본정신을 망각하고 수필을 바둑이나 등산, 낚시 등의 취미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어 언짢게 생각하고 있던 차에, 마침 모 수필지에서 ‘젊은 수필가들에게 하고 싶은 말’에 대한 요청이 있어서 그 자리에서 미흡하나마 이미 말한 적이 있습니다. 지금 내가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바를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글의 일부를 인용함으로써 대신하고자 합니다.


   ― 젊은 수필가들에게 하고 싶은 말은, 수필은 시나 소설을 쓰다가 안 되니까 수필이나 한번 써보자고 철없이 덤벼들어도 되는, 그런 만만한 글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젊은 작가들뿐만이 아니라 사회의 이런저런 분야에서 직장생활을 하다가 정년퇴직을 한, 사회적 품위(?)를 가진 인사들이 무료한 시간을 때우기 위한, 한 방편이 될 수도 없고, 되어서도 안 되는 것이 문학으로서의 수필입니다. 문학에 대한 기초지식도 없이 덮어놓고 덤벼들어 독자들에게 근엄한 표정으로 인생을 강론한다고 읽어줄 사람은 없을 것이며, ≪논어≫를 말하고, 혹은 칸트나 헤겔을 들어 그들의 고매한 인생철학을 장황하게 늘어놓는다 하더라도 그것은 혹 칼럼이나 논설문은 될지 몰라도 문학으로서의 수필작품은 될 수 없을 것입니다.


   수필은 시, 소설, 희곡 등과 같은 문학의 한 장르입니다. 시나 소설이나 희곡 등을 쓰고자 하는 사람이 할 일이 없어서 소일거리로 시작한 사람을 본 적이 있습니까. 수필도 당당한 문학의 한 장르임에 틀림없다면, 누가 됐건 문학정신에 입각한 기본자세가 되어 있어야 할 것입니다. 문학은 어느 장르이건 제 나름의 형식이나 성격을 지니고 있는 것이지만, 산문으로서 분량이 짧은 글인 수필에 있어서는 무엇보다 문장이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그렇다면 시나 소설과는 다른 수필문학으로서의 기본인 문장수련부터 시작해야 함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일 것입니다. 예컨대 하나의 문장이 너무 길어져서 주어와 서술어의 호응이 제대로 안 되어 필자가 무엇을 말하려고 했는지 알 수도 없는 비문非文을 우리는 흔히 만나게 됩니다.

 

 그리고 문장과 문장, 문단과 문단과의 접속 관계가 분명치 않아 문맥이 통하지 않는, 다시 말해 문맥의 단절로 인한 글의 난맥상 또한 흔히 겪는 일입니다. 한 편의 수필이 가지는 수필작품으로서의 문학성 여부는 그 다음의 문제입니다. 이는 비단 수필에서 끝날 문제가 아니라 시나 소설에서도 마찬가지일 것입니다. “수필은 자신의 체험을 통한, 진솔한 고백문학”이라는 말도 오랫동안의 문장수련을 거친 다음의 문제일 것입니다. 수필은 사물에 대한 설명문도 아니고, 자신이 겪은 체험이나 들은 바 이야기를 말하는 체험담이나 보고문도 아닙니다. 수필은 자신이 겪은 체험적 사실과 상상력이 어우러져 문학적으로 승화된 하나의 작품을 두고 하는 말입니다. ―


   역사나 사회, 지리, 과학 등의 지식은 우리의 두뇌에 호소하여 ‘이해理解’하게 하는 것이라면, 시·소설·수필 등 문학작품은 우리의 가슴에 부딪쳐 무엇인가를 느끼게 함으로써 ‘감동感動’을 안겨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좋은 수필에 대한 내 평소의 주장은 성현이 남긴, 근사한 문구를 인용한다거나 혹은 온갖 미사여구를 동원해 문장을 아름답게만 꾸미려고 하기보다는 진실한 이야기를 쉽고 재미있게 씀으로써 독자에게 감동을 안겨주는 글이라야 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문학은 인생이나 자연에 대한 단순한 ‘이해’가 아니라, 작가의 상상력을 통해 전달되는 ‘감동’임을 우리는 알아야 할 것입니다. 수필문학에 대한 인식을 좀 더 새롭게 하고, 나아가서는 우리 ≪수필과비평≫ 작가들의 수준 높은 문학수필 작품을 기대해 봅니다.

 

 

정호경  ---------------------------------------------
   ≪수필과비평≫, ≪에세이스트≫ 편집고문. 수필집: ≪폐선≫, ≪현대의 섬≫, ≪낭패기≫, ≪오늘도 걷는다마는≫ 등. 현대수필문학상, 한길문학상, 신곡문학상 대상 등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