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 김창식

 

 

앞만 보며 사는 도시에서는 하늘을 쳐다볼 일이 없다. 그날은 무슨 일로 고개를 들었던 것일까? 새 떼가 가위의 날처럼 저녁 하늘을 가르고 있었다. 무리에서 떨어져 나온 새 한 마리가 황급히 대열에 합류한다. 새 떼는 몇 개의 점으로 변하는가 싶더니 아스라이 사라져갔다. 언뜻 시 구절이 생각났다.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갈피를 잡을 수 없는 유현한 상실감이 마음을 채웠다.

오늘 아침 산책길에서는 새의 주검을 보았다. 참새나 솔새, 직박구리, 아니면 다른 새인지도 모르겠다. 작은 몸체가 으스러졌다. 부리는 반쯤 열렸고 눈은 꼭 감은 채다. 주위에는 깃털이 흩어져 있다. 고등학교 때 읽은 안톤 슈낙의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에 나오는 문구가 떠오른다. ‘정원 한쪽 구석에서 발견된 작은 새의 사체 위에 초추初秋의 양광陽光이 떨어져 있을 때. 대체로 가을은 우리를 슬프게 한다.’

밤사이에 도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일까? 로맹 가리의 소설을 보면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는다’던데, 이 새는 어떤 횡액을 당했기에 하필 도시 외곽 작은 동네 호젓한 길에서 생을 마감한 것인가? 이 새에게도 둥지가 있고 식구가 있을 것이다. 경쾌한 음표처럼 뛰어다니며 먹이를 쪼거나, 이 나무 저 나무로 날아다니며 숨바꼭질하거나, 때로 허공을 향해 솟구쳐야 할 새가 왜 이처럼 후미진 곳에 누워 있는 것일까.

어렸을 적 동네에 ‘하늘배기’라고 불린 장애 어른이 있었다. 목발을 짚었고 고개는 옆으로 기운 채 얼굴을 받치고 있어서 비스듬히 허공을 바라보는 모양새였다. 그가 절뚝거리며 나타나면 우리는 뒤를 따르며 “하늘배기야, 하늘배기야 뭘 보냐?” 놀려댔다. 그러면 그는 “으으… 새… 새를 본다”라고 대답하곤 했다. 한번은 우리도 하늘배기의 눈을 따라 하늘을 올려다보았다. 거짓말처럼 새 한 마리가 날아가고 있었다. 우리는 하늘배기를 놀리는 것도 잊은 채 빈 하늘을 쳐다보았다. 새가 점이 되어 멀어진 후에도 한참동안.

노래 <작은 새>의 가사는 사람의 마음을 헤집는다. ‘작은 새 한 마리/바람결에 태어나 하늘 높이 날아서/사람의 눈길이 닿지 않네/새가 땅에 내려올 때는 오직 한번/그건 죽으려 할 때.’ 노래를 부른 팝가수(마리안느 페이스풀)의 삶은 술, 마약, 구금, 동거, 이혼 같은 범상치 않은 일들로 얼룩졌다. 팜 파탈로 잘못 알려졌지만 실은 자신을 어둠의 늪 속으로 몰아넣은 불우한 여인이었다. 작은 새가 상징하는 것은 상처 입은 영혼이다. 숏 컷 머리에 터틀넥 스웨터를 입은채 웅크리고 있는 앨범 사진을 보면 그녀 자신이 추위에 떠는 작은새처럼 여겨진다.

어린 갈매기 조나탄 리빙스턴의 홀로서기 성장담인 리처드 바크가 쓴 우화 형식의 소설 《갈매기의 꿈》을 보면 ‘가장 높이 나는 새가 가장 멀리 본다’라는 구절이 있다. 왕따 갈매기 조나단은 다만 먹기 위해서 날지 않는다는 이유로 무리로부터 따돌림을 당하고 끝내 추방당한다. 갈매기의 존엄성을 파괴하였다는 것이다. 그래도 조나단은 더욱 높이, 더 멀리 날아오르고, 빈 하늘을 사선으로 가로지르는 일을 멈추지 않는다. 그것이 오롯이 삶의 존재이유인 양. 하늘 끝에는 또 다른 하늘이 있을 뿐 다른 아무 것도 없음을 알면서도.

마음속 새가 날갯짓하더니 날아오른다. 새의 비행과 궤적을 따라가 본다. 허공을 가로지른 새는 점으로 변했다가 SF영화의 한 장면처럼 다른 시공간으로 스며든다. 도시의 하늘은 좁고 답답하다. 삐죽하게 솟은 높은 건물과 고가高架 크레인 같은 시설물로 막혀있다. 그래서 새는 다른 곳으로 가려한 것인지도 모른다. 새는 하늘을 격해 하늘 밖 하늘, 또 다른 하늘 속 어디로 사라진 것일까?

새는 어렵사리 세상 밖으로 날아가려 했지만 탈출에 성공하지 못했다. 그렇다고 해서 누구도 새를 온전히 소유할 수는 없었다. 새를 나름 사랑한다고 믿는 사람들은 그럴듯한 꾀를 내었다. 새를 잡아 창살 없는 네모난 손바닥 감옥에 가두어 시도 때도 없이 울게 만든 것이다. 트윗 트윗 트윗, 카톡 카톡 카톡….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