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이 되면

 

성민희

 

 뒷마당이 소란스럽다. 구름을 뚫고 내려온 바람이 야자수 잎파리를 낚아채고는 나직이 엎드린 파피꽃까지 흔들어대는 소리다. 수영장은 바람과 공모라도 한 듯 잎파리를 넙죽 넙죽 받아 안고 아기 어르듯 둥둥 흔들어댄다. 이러다 산불이 나면 어쩌지. 혼잣말로 중얼거리며 블라인드에 리모콘을 갖다 댄다. 베이지색의 두꺼운 천과 바깥 풍경이 보이는 투명한 천이 교대로 창 위쪽으로 올라간다. 한국에서 온 새로운 제품이다. 두터운 나무 블라인드만 보다가 산뜻하고 가벼운 것을 보는 마음이 상쾌하다.

 

 두 달 전이었다. 커텐을 블라인드로 바꾸려고 회사를 물색하던 중 페이스북에서 선전 영상을 보았다. 여인의 속치마 레이스같이 부드러운 질감이 사르륵거리며 오르내리는 모습이라니. 세련된 인테리어에 홀딱 반해서 전화를 했다. 바로 다음날로 신속한 스케쥴이 잡히더니 놀랍게도 한국 청년 둘이서 문을 두드렸다. 안녕하세요? 고개를 숙이며 들어서는 모습이 마치 먼 곳에서 가족이 찾아온 양 반가웠다. 처음 본 얼굴이 낯설지 않았다. 한국 청년이 어쩌면 이런 사업까지? 가상했다. 커피를 주랴? 쥬스를 주랴? 반기던 그 마음도 잠시. 곤색 작업복이 마치 고등학교 신입생 교복처럼 깨끗한 게 조금 수상하다. 대학을 갓 졸업한 듯 풋풋한 모습이, 친구 몇 명이 의기투합하여 방금 시작한 회사인 것만 같다. 주거니받거니 속삭이며 약간은 흥분한 모습에 어쩌면 내가 이 회사의 첫손님인지도 모르겠다는 아찔한 느낌이 들었다. 견적만 받고 그만 두어야하나 고민이 밀려왔다. 얄팍한 동족의식에 약해져서 후회할 짓 하지 말자는 생각도 들었다. 갈팡질팡 하는 마음으로 그들을 바라보고 있자니 사닥다리를 오르내리는 상기된 얼굴 위로 난데없이 아들 라빈의 얼굴이 겹쳐졌다. 미국에서 태어난 놈이 다니던 직장도 팽개치고 AI 벤처기업을 창업한답시고 한국으로 뛰어나간 지도 벌써 몇 년이 되었다. 처음에는 고생만 실컷 하다가 들어오겠지 했는데. 아직도 돌아오지 않고 고군분투하고 있는 녀석의 땀방울도 느껴졌다. 라빈도 투자를 받기 위해 서투른 한국말로 누군가를 설득시키려 애를 쓰겠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늦은 밤까지 컴퓨터와 씨름을 하겠지. 나는 어느새 두 청년의 엄마가 되어 꽤 거금이 드는 공사인데도 불구하고 덜컥 사인을 했다. 무슨 가당찮은 아량인지 다른 회사와 비교도 하지 않고 달라는 금액을 다 지불하기로 했다. 공사비의 20%만 주면 되는 선금도 50%를 주었다. 재료값이 필요하다는 말에 그래그래 밑천도 얼마 없이 시작했을 텐데 이 돈으로 재료를 사거라. 기특한 녀석들. 했다.

 

 두 주일이 지난 후 제품이 완성되었다며 그들은 기술자를 둘이나 더 데리고 나타났다. 집안에 한국 청년이 득실대니 내 마음 속에서는 경쾌한 빗방울이 두두두둑 떨어졌다. 이제는 오히려 내가 흥분했다. 작업을 모두 끝내고 나면 뭘 좀 먹일까. 냉장고 문을 여닫는 내 귀에 당황하는 소리가 들렸다. “왜 이렇게 작지?” “어디서부터 재기 시작했어?” 나의 걱정은 적중했다. 블라인드는 창문보다 훨씬 작은 사이즈로 제작되어왔다. 치수를 잘못 재었다는 거다. 황당해진 그들은 서로 전화 연락을 하고 곧 이어 사장이라는 청년도, 부장이라는 청년도 뛰어왔다. 졸지에 우리 집은 전 직원 긴급 회의장이 되었다. 한참이 지나자 사장이 죄송하다고 했다. 다시 고쳐서 오겠단다. 한숨이 나왔다. 며칠 뒤면 한국에서 시댁 조카가 백신을 맞으러 온다는데. 멋지게 집을 꾸며 폼을 좀 잡으려고 했는데 물거품이 되었다. 심란하고 짜증이 났지만 천천히 하라며 억지로 웃어주었다.

 

 일을 잘 마무리해주려나. 돈만 떼이고 골탕을 먹는 건 아닐까 조마조마한 마음이 거품을 일으키며 자꾸 번져갔지만 인내하며 한 달을 기다려주었다. 몇 번이나 전화를 걸어 보고 싶었으나 꾹 참았더니 드디어 완성된 제품을 가져왔다. 의심했던 내가 부끄러울 만치 꼼꼼하고 완벽하게 작업을 했다. 회사의 손해를 감수하며 나를 만족시켜 주려고 안간 애를 쓴 모양이 보였다. 아무소리 안하고 마음 누르기를 너무 잘했다. 젊은 아이들을 상대로 너그러운 어른이 된 것 같아 스스로가 흡족했다.

 

 어른이 되면 너그러워진다더니 달리 너그러워지는 게 아니구나 하는 생각을 한다. 어른이 되고나면 마음속에 내 아이들도 있고 손자 손녀도 함께 있기 때문일까. 내 핏줄의 감정이 이입되기 때문일까. 찰스 디킨스의 소설 올리브 트위스트에서도 수용소를 탈출하여 런던으로 도망을 가던 올리브에게 자비를 베푼 사람은 단 한 사람 할머니였다. 그녀는 먼 바다에서 배가 난파되어 어디를 떠돌아다닐지도 모를 손자를 떠올리며 꼬질한 올리브 손에 돈을 쥐어주었다. 사람들의 천대를 받는 불쌍한 소년에게서 손자를 본 것이리라. 어른이 되면 마음은 햇살이 된다. 상대의 감정에다 내가 살아낸 세월 구석구석에서 견딘 감정을 비춰주는 아량이 생긴다. 누군가가 던진 돌멩이로 마음 곳곳에 창이 뚫려 정서적인 환기도 쉽게 한다. 애달픔도 희열도 탈색(脫色)이 빠르다.

 

 뒤늦게 마음이 불편해진 내가 전화를 했다. 손해 본 액수를 도와주겠으니 들리라고 했는데도 일주일이 지나도록 오지 않는다. 젊은이답게 자존심을 지키는 모습도 보기 좋다. 문득 이들은 얼마나 더 시행착오를 거쳐야 어엿한 사업체로 자리 잡을 수 있을까 염려가 된다. 나도 이민의 삶을 처음에는 자신 있게 발을 푹푹 디디며 앞으로 나갈 수 없었다. 많은 두려움과 낙공(落空)과 후회가 있었지만 모든 것이 세월과 함께 사라지고 이제는 연륜에 맞는 안정과 풍요를 누린다. 이 청년들도 그런 날이 오리라 믿어본다. 그 기간이 길지 않으면 좋겠다. (한국산문  2021. 11월호/ 한솔문학 202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