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
글쓰기 합평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합평을 위해 우리가 준비할 것은 무엇일까요?
|
정조앤 |
Nov 20, 2022 |
12975 |
Notice |
글쓰기의 조언 / 이해인
|
이현숙 |
May 29, 2022 |
15142 |
Notice |
문학은 진실된 체험을 담는 그릇/유안진
1
|
정조앤 |
May 09, 2022 |
727 |
Notice |
수필의 여섯 가지 등급
1
|
정조앤 |
Feb 02, 2021 |
1263 |
Notice |
깔끔하게 글 쓰는 방법
|
이현숙 |
Jan 04, 2018 |
1697 |
94 |
진정한 문객(文客)이 되라 / 박양근
|
이현숙 |
Apr 20, 2021 |
295 |
진정한 문객(文客)이 되라 / 박양근 -명검(名劍)은 장인이 만들지만 명필(名筆)은 문사가 만든다- “학자의 잉크는 순교자의 피만큼 순결하다.” -이슬람의 속담 잉크를 순교자의 피에 비유한 이슬람의 명언처럼 검의 무뢰한 힘보다 글의 숭고한 진...
|
93 |
소재의 의미화에 대하여 / 이정림 (李正林)
1
|
이현숙 |
Apr 15, 2021 |
340 |
소재의 의미화에 대하여 / 이정림 (李正林) 수필의 소재는 허구가 아닌 실재(實在)로서, 작가가 직·간접적으로 체험한 신변의 일들 중에서 취택한다. 그러나 글감이 되는 이야기를 여과 없이 옮겨 놓는다고 해서 수필이 되는 것은 아니다. 체험한 이야...
|
92 |
먼지가 책이다 / 유병근
1
|
이현숙 |
Apr 04, 2021 |
276 |
먼지가 책이다 / 유병근 책을 읽어도 눈에 잘 들어오지 않는다. 이런 때는 방안에 번듯이 누워 눈만 멀뚱거린다. 움직이는 무엇이 있으면 그나마 방안에 생기가 돌겠다는 어쭙잖은 생각에 끌린다. 어쩌다 움직이는 것이 있기는 하다. 먼지가 그것이다. 나는 ...
|
91 |
수필의 문을 여는 몇 가지 열쇠
|
정조앤 |
Mar 28, 2021 |
406 |
<수필의 문을 여는 몇 가지 열쇠> - 2021년 3월 28일 / 재미수필문학가협회 줌강의 -강사 정찬열 수필가 < #1 > 문학이란 무엇인가 <#2> 문학은 독자에 의해 완성된다. 분노나 놀람, 슬픔 같은 감정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감정 자체로 글 속에 드러나서...
|
90 |
 |
수필과 시방(十方)의 상상력 / 정순진 교수
1
|
정조앤 |
Mar 01, 2021 |
296 |
|
89 |
수필을 쓰는 젊은이들에게 /정호경
1
|
이현숙 |
Feb 22, 2021 |
405 |
수필을 쓰는 젊은이들에게 /정호경 수필이 문학이라고 한다면, 문학의 장르에는 수필 외에도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우리는 우선 그것부터 알아야 할 것입니다. 먼저 시와 소설을 비롯하여 수필, 평론, 희곡, 아동문학 등을 들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
|
88 |
짧은 수필/신재기
|
이현숙 |
Feb 16, 2021 |
1029 |
짧은 수필/신재기 짧은 수필은 ‘15장’이란 일반 기준보다 두드러지게 짧은 수필을 말한다. 단수필, 장수필(掌隨筆), 5매수필, 미니 수필, 손바닥 수필, 아포리즘 수필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다. 한국 현대수필이 20세기 초창기 근대 저널리즘의...
|
87 |
 |
왜 간결체인가?/ 김창식
|
정조앤 |
Feb 09, 2021 |
403 |
|
86 |
나의 글로 세상을 1밀리미터라도 바꿀 수 있다면/ 메리 파이퍼
|
이현숙 |
Jan 21, 2021 |
210 |
나의 글로 세상을 1밀리미터라도 바꿀 수 있다면/ 메리 파이퍼 글쓰기는 너무 많은 에너지와 집중력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라 나 자신에게 중요하지 않은 주제를 다룬다는 건 상상할 수도 없다. 글을 쓰라고 부채질하는 감정이 없다면 어디서 그 에너지가 나...
|
85 |
 |
글의 참모습/윤재천
|
이현숙 |
Jan 18, 2021 |
232 |
글의 참모습/윤재천 수필은 술이부작述而不作 - 적기만 하고 짓지 않는 사실적 기록이 아니다. 본 일을 그대로 옮겨 적는 르포기사가 아니라, 같은 것을 봐도 자신만의 심안心眼으로 보고 마음의 움직임을 진솔하게 따라가는 글이다. 사실적 기록은 생생한 현...
|
84 |
단수필에 대한 이론과 창작원리/박양근
|
정조앤 |
Jan 12, 2021 |
355 |
단수필에 대한 이론과 창작원리/박양근 단수필은 그림엽서다 1. 시대적 배경 새로운 세기의 문학적 양식인 밀레니엄의 글쓰기 양식의 특징은 "미니문학"이다. 미니문학이라는 글쓰기 양식은 월드 와이드 웹(WWW)과 디지털 문화의 소산이라고 볼 수 있다. 오늘...
|
83 |
낭송수필과 단수필의 이론과 실제 -박양근
|
정조앤 |
Jan 12, 2021 |
232 |
새로 쓰는 수필론 낭송수필과 단수필의 이론과 실제 박 양 근 들어가며 문학이란 작품을 통하여 작가와 독자 간의 정서적 지적 교감을 이루는 소통체계를 말한다. 하지만 인류의 정신적 문화를 집적하고 있는 예술 형태로 인정받아 온 문학의 위치가 흔들리고 ...
|
82 |
사유와 해석 그만의 심안과 혜안- 이은희의 수필들을 중심으로 -
|
정조앤 |
Dec 31, 2020 |
367 |
02010 수필미학 –문제작가 이은희-2020. 인간존재론적 사유와 해석 그만의 심안과 혜안 - 이은희의 수필들을 중심으로 - 최원현 1. 들어가며-수필가 이은희 참 답답한 날들이다. 2020년대가 열리면서 얼마나 큰 기대와 소망을 펼쳤던가. 한데 첫 한 달도 다 못...
|
81 |
 |
수필의 미래, 그리고 강적들< #1.2,3,4 르네상스 시대와 에세이> /박양근
|
정조앤 |
Dec 20, 2020 |
368 |
|
80 |
신발이 발에 맞으면/오쇼
|
이현숙 |
Dec 14, 2020 |
271 |
신발이 발에 맞으면/오쇼 장자는 꽃이다. 매우 드문 꽃이다. 붓다나 예수보다도 드문 꽃이다. 붓다나 예수는 노력을 강조하지만 장자는 그렇지 않다. 그는 오히려 노력 없음을 강조한다. 노력을 통해 많은 것을 이룰 수 있다. 하지만 노력 없음을 통해서는 더 ...
|
79 |
문학적 표현과 일상적 표현/ 백남오
|
이현숙 |
Dec 13, 2020 |
1931 |
문학적 표현과 일상적 표현/ 백남오 1. 문학은 일상생활과 늘 함께 어울린다. 문학은 우리 삶과 동떨어진 특별한 언어예술 행위가 아니다. 우리 삶의 일부분이 자연스럽게 녹아있다. 문학의 내용 그 자체가 우리 삶을 응축해 놓은 것이며 우리는 문학작품에 쓰...
|
78 |
아직도 못다 한 종소리의 숙제/유혜자
|
이현숙 |
Nov 29, 2020 |
300 |
아직도 못다 한 종소리의 숙제/유혜자 수필은 작가의 성장 과정과 삶의 도정에서 겪은 이야기와 꿈이 녹아 있거나 변용된 모습이 담긴다. 초등학교 때 나라 사랑과 훌륭한 사람이 되라는 선생님의 교훈적인 말씀을 많이 들었다. 그중 “종소리처럼 남의 가슴을 ...
|
77 |
절망 끝에 써내는 문장/매원 박연구
|
이현숙 |
Oct 21, 2020 |
232 |
절망 끝에 써내는 문장/매원 박연구 내가 경험한 사실이나 들은 이야기에서-“그것 수필감이군!”하는 생각이 들면, 대강 주제도 잡히게 되고 그것을 수필화(隨筆化)하기는 그리 어려운 문제가 아니다. 왜냐하면 그 소재를 가지고 좀더 극적인 이야기가 되었으면...
|
76 |
수필쓰기에서 주의 해야할 것
1
|
정조앤 |
Oct 04, 2020 |
823 |
수필쓰기에서 주의 해야할 것 1.까닭·원인·이유를 나타낼 때 '인'(因)에다 '-하다'를 붙여 '인하다'란 말을 만들고 앞말에 토씨 '로'를 붙여 '-로 인하여, -로 인해, -로 인한' 따위 이은말을 만들어 쓰고 있습니다. 제대로 활용이 안 되니 일종의 불구동사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