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
글쓰기 합평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요?/합평을 위해 우리가 준비할 것은 무엇일까요?
|
정조앤 |
Nov 20, 2022 |
12975 |
Notice |
글쓰기의 조언 / 이해인
|
이현숙 |
May 29, 2022 |
15142 |
Notice |
문학은 진실된 체험을 담는 그릇/유안진
1
|
정조앤 |
May 09, 2022 |
727 |
Notice |
수필의 여섯 가지 등급
1
|
정조앤 |
Feb 02, 2021 |
1263 |
Notice |
깔끔하게 글 쓰는 방법
|
이현숙 |
Jan 04, 2018 |
1697 |
154 |
여백도 문장, 사이사이 ‘숨쉴 틈’ 끼워라
|
이현숙 |
Oct 13, 2023 |
179 |
짧고 쉬운 글이 주목받는 시대가 됐습니다. 꼭 에스엔에스(SNS)가 아니더라도 짧은 글로 내 생각을 정확히 전달해야 상대방과의 원활한 소통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이런 짧은 글을 통해서 나 자신을 알리는 것도 중요해졌죠. 왜 짧은 글일까요? 일단, 읽는 사...
|
153 |
사전을 읽다/ 김정화
|
이현숙 |
Oct 12, 2023 |
152 |
사전을 읽다/ 김정화 사전 읽는 재미에 푹 빠졌다. 그것도 평소처럼 휴대전화 앱을 클릭하는 것이 아니라 종이책에 죽죽 밑줄 그어가며 되읽는다. 예전의 작은 글씨 사전은 침침해진 눈을 핑계로 접은 지 오래지만, 요즈음에는 크고 굵은 글자가 새겨진 단행본...
|
152 |
 |
당신의 글, 단 한 문장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까 / 손소영 방송 작가
|
정조앤 |
Sep 27, 2023 |
279 |
당신의 글, 단 한 문장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까 [한겨레S] 손소영의 짧은 글의 힘 주제가 있는 글 스스로 간결하게 요약 안되면 본인도 뭘 전달할지 모르는 것 머릿속에서 정리 어렵다면 말로 표현해보는 것도 방법 게티이미지뱅크 요즘 글쓰기 인공지능(AI)이...
|
151 |
 |
극단적인 의식의 흐름 기법으로 쓰인 아찔한 걸작
|
이현숙 |
May 26, 2023 |
346 |
극단적인 의식의 흐름 기법으로 쓰인 아찔한 걸작 본문 요약봇 텍스트 음성 변환 서비스 사용하기 글자 크기 변경하기 SNS 보내기 인쇄하기 윌리엄 포크너 '소리와 분노' 윌리엄 포크너. 한국일보 자료사진 윌리엄 포크너의 대표작 '소리와 분노&...
|
150 |
 |
매력적인 글쓰기의 8S 법칙[Monday HBR]
|
정조앤 |
May 06, 2023 |
1080 |
매력적인 글쓰기의 8S 법칙[Monday HBR] 좋은 글을 읽으면 우리 뇌에는 보상회로로 알려진 영역에 도파민이 흐른다. 맛있는 음식, 기분 좋은 목욕, 포근한 포옹처럼 잘 쓴 글은 우리에게 즐거움을 주고 계속해서 읽고 싶게 만든다. 간결한 설명문이든 복잡한 ...
|
149 |
비평의 종류
|
정조앤 |
Feb 22, 2023 |
831 |
비평의 종류 1) 전기비평 작가의 삶과 작품이 어떤 관련성을 맺는가, 한 작가의 작품이 다른 작가의 작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작품과 작가의 세계관 인생관 정치관 문학관, 좁게는 그의 교육, 생활수준, 독서, 가족 상황, 교우 애정을 다루되 작품과 직접...
|
148 |
반숙자 선생님의 수필 강의 요약
|
정조앤 |
Jan 16, 2023 |
457 |
반숙자 선생님의 수필 강의 요약 수필이란? 나(시각, 청각, 취각, 미각, 촉각) 5관을 통해서 본받은 인상들을 내 생각으로 걸러서 표현한 글. 정신적인 5관도 있다. 이성적 감성을 집합해서 걸러서 내놓는 글. 수필은 36세 이후의 문학이라고 한다. 정신적 자...
|
147 |
수필의 길을 가서 행복했다 / 곽흥렬
|
정조앤 |
Jan 14, 2023 |
331 |
<나의 문학 자전> 수필의 길을 가서 행복했다 / 곽흥렬 아버지는 글쓰기 신봉자였는가 보다. 아직 학교에도 들어가기 전이었던 일곱 살 때, 나는 아버지의 손에 이끌려 앉은뱅이책상 앞에 앉혀졌다. 연필조차 제대로 쥘 줄 모르는 어린아이가 무얼 옳게 알기...
|
146 |
왜 간결체인가? / 김창식
|
이현숙 |
Dec 04, 2022 |
563 |
왜 간결체인가? / 김창식 1. 간결체의 장점 글 쓰는 이에게 문체는 정체성이다. 누구에게든 자기도 모르는 사이 습관이 든 고유한 문체가 있다. 한편 명 문장가 중에는 소재와 주제에 따라 문체가 미묘하게 달라지는 경우도 있어 일률적으로 어느 것이 좋은 문...
|
145 |
문학인이 꼭 알아 둬야 할 문학용어
|
정조앤 |
Nov 14, 2022 |
755 |
문학인이 꼭 알아 둬야 할 문학용어 ■ 가면극(假面劇) : 가면을 쓰고 하는 연극 정교한 형식을 지닌 궁정 오락으로서 시극 음악 무용 화려한 의상 무대 장관으로 구성. ■ 가전(假傳) : 사물을 의인화하여 전기체로 서술한 서사시적 문학 형태의 하나로 고려 중...
|
144 |
신화로서 수필과 수필가의 꿈 /박양근
|
정조앤 |
Nov 07, 2022 |
362 |
새로 쓰는 수필론 신화로서 수필과 수필가의 꿈 박 양 근 스위치 온 : 수필은 우주의 소행성 수필은 21세기의 신신화(Neo-Myth)다. 수필은 시적이고 소설적이며 드라마틱하다. 절제의 언어이므로 시적이고, 서사적이므로 소설적이고 우주의 삶을 담아내므로 드...
|
143 |
 |
글쓰기 공부의 첫걸음 / 김인환
|
정조앤 |
Nov 02, 2022 |
7097 |
|
142 |
마무리 쓰기/문장표현사전, 장재성
|
이현숙 |
Oct 20, 2022 |
7284 |
마무리 쓰기 1. 끝이 좋으면 전체가 산다. 첫머리보다 중요한 게 이 끝맺음이다. 독자들의 머리엔 이 마지막 것만이 남기 때문이다. 읽은 다음에 손해 본 듯한 마무리는 필자도 독자도 바라지 않는다. "읽은 수고가 헛되지 않았구나"라는 이점을 안기는 결말...
|
141 |
단락의 첫 문장 들여다보기 / 엄현옥
|
정조앤 |
Oct 19, 2022 |
417 |
단락의 첫 문장 들여다보기 / 엄현옥 [수필과 비평 10월호 월평] 문장은 작가의 정신세계를 보여주는 하나의 형식이다. 문장은 작가의 면면을 보여줄 뿐 아니라 그것이 쓰이고 읽히는 시대와 세태를 반영한다. 나아가 그 글이 문학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결정적...
|
140 |
 |
[좋은 글의 요건] 소재와 표현+구성하기
|
정조앤 |
Oct 14, 2022 |
535 |
[좋은 글의 요건] 소재와 표현+구성하기 글을 쓴다는 것은 자신의 생각을 짜임새 있게 글로 표현하는 것이다. 지레 겁을 먹는 사람들도 있지만, 글을 쓴다는 것은 결코 어렵기만 한 일은 아니다. 여기서는 글을 쓴다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서 함께...
|
139 |
 |
나의 혼, 나의 문학 / 최명희
|
정조앤 |
Oct 07, 2022 |
459 |
|
138 |
문학과 음악은 연인 관계다 / 양영길
|
이현숙 |
Sep 26, 2022 |
382 |
문학과 음악은 연인 관계다 / 양영길 결혼식장에서는 하객들이 많이 모여 시끄러울 수밖에 없다. 이 시끄러운 공간에 은은한 음악을 흘려놓지 않으면 결혼식장이 아니라 복잡한 시장 바닥과 그다지 다를 바가 없을 것이다. 또 예식이 시작되어 사회자의 &ldquo...
|
137 |
신변 소재의 문예화 - 인간미와 인간성 회복을 중심으로 / 오창익
|
정조앤 |
Sep 02, 2022 |
217 |
신변 소재의 문예화 - 인간미와 인간성 회복을 중심으로 / 오창익 수필의 신변소재라면 작자 중심의 일상사를 이름이다. 자식, 부모, 형제 등의 가족사이거나 만남과 헤어짐, 그리고 병고와 죽음 등의 생활사로 결코 빛 곱고 질감 있는 글감들이 아니다. 그래...
|
136 |
릴케 '가을날' 단상 / 이덕형
|
이현숙 |
Aug 23, 2022 |
218 |
릴케 '가을날' 단상 / 이덕형 (경북대 독어독문학과 교수) 조석으로 소슬바람 불어오니 가을이 오기는 온 모양이다. '시절이 하 수상하여' 자연의 섭리마저 어찌 되나 싶었는데, 다행이다. 곧 추석, '더도 덜도 말고 한가위만 같아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