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 채만식

 

근일 품귀로, 이하 한갓 전설에 불과한 허물은 필자가 아니다. 

명천(明川) 태가(太家) 비로소 잡았대서 명태(明太), 본명은 북어(北魚), 입이 험한 사람은 원산(元山) 말뚝이라고도 칭한다.

수구장신(瘦軀長身), 피골이 상접, 벽곡(僻穀)이라도 하고 친구의 형용이다.

 

배를 타고 내장을 싹싹 긁어내어 싸리로 목줄띠를 꿰어 쇳소리가 나도록 바싹 말랐다. 눈을 모조리 뺐다. 천하에 이에서 더한 악형도 있을까. 모름지기 명태 신세는 되지 일이다. 

조선 십삼 () 방방곡곡 명태 없는 곳이 없다. 아무리 궁벽한 산골이라도 구멍가게를 들여다보면 팔다 남은 한두 쾌는 하다못해 마리라도 퀴퀴한 먼지와 더불어 한구석에 놓여 있다. 조선 백성이 얼마나 명태를 흔케 먹는지 미루어 알리라. 참으로 조선 사람의 식탁에 오르는 것으로 명색이 어육(魚肉)이라 이름하는 가운데 명태만큼 만만한 것도 별반 없을 것이다. 굉장히 차리는 잔칫상에도 오르고 ,

", 고기는 무얼 허나! 명태나 마리 사다가……."

하는 쯤의 허술한 손님 대접의 밥상에도 오른다.

 

사람이 먹고 사람 대접만 하는 것이 아니라 ()읽는 경상(經床)에도 명태 마리는 반드시 오르고, 초상집에서 문간에다 차려 놓는 사잣밥상에도 짚신 켤레와 더불어 마리의 명태가 반드시 오른다(그런 보면 귀신도 조선 귀신은 명태를 좋아하는 모양이야!).

 

어린 아들놈 처가 세배 보내면서 떡이야, 고기야, 장만하기 번폐스러우면 명태나 사다 괴나리봇짐 지워 보내기도 하고, 바깥양반이 출입했다 불시로 들어온 저녁 밥상에, 시아버님 제사 쓰려고 벽장 속에 매달아 두었던 명태 마리를 아낌없이 꺼내다가 끓이는 아낙도 종종 있다.

 

상갓집에 경촉(經燭)에다 명태 얼러 부조하기도 하고, 섣달 세밑에 듬씬 세찬을 가지고 들어온 소작인에게다 명태 쾌씩 들려 주어 보내는 후덕한 지주도 더러 있다. 명태란 그러고 보니 요샛날 케이크 상자, 과실 꾸러미 이상으로 이용이 편리한 물건이었던가 보다.

 

망치로 두드려 죽죽 찢어서 고추장이나 간장에 찍어, 막걸리 안주로는 덮을 없는 것이 명태다. 쪼개서 물에 불렸다 달걀을 씌워 제사상에 괴어 놓는 전라도 풍속, 서울서는 선술집에서 흔히 보는 찜이 ()가는 명태 요리일 것이다. 잘게 펴서 기름장에 무쳐 놓으면 명태 자반이요, 굵게 찢어서 달걀 풀고 끓이면 술국으로 일미다.

끝으로 군소리 한다.

 

사십 전인지 오십 전인지 북미로 이민 조선 사람 사람이 하루는 어디선지 어떻게 하다가 명태 마리가 생겼더란다. 오래 그리던 고토(故土) 미각인지라 항용 생각기에는 마리의 명태를 천하 없는 귀한 음식인 듯이 보는 당장 먹어 치웠으려니 하겠지만, ()! 사람은 그를 놓고 앉아 보기만 하더라고.

 

 - <신시대> 1943 1 / <채만식 전집> (창작과비평사, 1989)에서 재수록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