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소가 왜 얼룩배기죠 / 김우종

 

 

'황소 불알 떨어지면 구워 먹으려고 다리미에 불 담아 다닌다.'

이것은 재미있는 우리나라 속담이다. 감 떨어지면 널름 받아먹으려고 감나무 밑에 입 벌리고 누워 있는 사람보다 더하다. 감이야 언젠가는 익어서 떨어질 날이 있겠지만 쇠불알이 언제 익어서 떨어진담. 너무나 가당치 않은 일이 성사되리라고 믿고 기다리는 딱한 사람을 우리는 이렇게 '황소 불알 떨어지면…'이라고 빈정대었던 것이다.

그런데 황소란 무엇인가?

교도소 안에 들어가 있으면 아침마다 복도를 지나가면서 '항소 고기'라고 외치는 사람이 있다. 처음 철창 속에 갇힌 사람들은 그걸 '황소고기'라고 듣기 쉽다.

황소고기 장수가 지나가는 것일까?

감옥 안에서도 영치금으로 들여놓은 돈만 있으면 끼니때마다 흰 밥에, 불고기를 신청해서 먹을 수가 있다. 무더운 여름에는 시원한 아이스크림도 얼마든지 신청할 수 있다. 그러니까 황소고기도 황소고기를 신청한다는 소리로 듣기 쉽다. 그렇지만 그것은 황소고기가 아니라 항소고기抗訴告記, 즉 1심 판결에 불복할 사람들은 항소 신청하면 받아주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황소는 또 무엇인가? 누구나 뿔 달린 소라는 것쯤은 알고 있다. 다만 문제는 한국의 도시인은 황소가 대개 누렁소쯤으로 알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러면 털빛이 검은 놈은 황소가 아닌가?

시문학을 강의하는 시간에 어떤 학생이 '얼룩빼기 황소'에 대하여 질문을 한 일이 있다. 물론 정지용의 유명한 '향수'를 다루다가 문제가 제기된 것이다.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휘돌아나가고

얼룩빼기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작가 정지용은 옛 고향을 그리워하면서 얼룩빼기 황소가 우는 곳이라고 했다. 그러자 누렁소가 어째서 얼룩빼기냐는 의문이 제기된 것이다. '엄마소도 얼룩소 엄마 닮았네'의 얼룩소와 누런 빛의 황소는 엄연해 구별되어야 할 터인데 이상하다는 것이다.

이런 의문을 제기하는 학생은 물론 똑똑한 편에 속하는 학생이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시와 소설에는 꽃 이름 새 이름 등이 표준어 사투리가 마구 섞여서 혼란을 일으키고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이 많은데도 대개는 그냥 무심히 넘겨버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황소가 어째서 얼룩빼기냐고 의문을 제기한 학생은 진리탐구의 감각이 제대로 발달되어 있는 학생이다.

그런데 황소는 꼭 누렁소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검은 소나 누렁소나 모두 황소다.

다만 이렇게 황소를 누렁소쯤으로 대개 알게 된 것은 그럴 만한 까닭이 있다. 황소라고 우리는 누를 황黃자를 연상하게 될 뿐만 아니라 한국의 농촌에 있는 대부분의 소가 누렁소라는 것, 그리고 실제로 한자로도 '황우黃牛'라고 씀으로써 색깔 표시가 황색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황견(黃犬:누렁개, 누렁이)이니 하면서도 소의 경우에 그것은 꼭 누런 놈만이 아니라 검은 놈이든 흰 놈이든 모든 수소의 총칭이라는 것이다. 오류의 원인은 처음부터 여기에 있다. 황인종인지 흑인종인지 백인종인지 인종 차별 안 하고도 다리로 걷는 동물을 모두 한 가지 이름으로 부를 때 그냥 '사람'이라 하듯이 뿔 달린 그 짐승들도 그저 '소'라고 부르면 그만이지 왜 황소라고 했을까?

이것은 우리가 비과학적 사고의 습성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그 같은 과거의 타성을 그대로 물려받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지금 우리가 당장 대도시 한복판에서 길을 막고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마이크를 들이대고 황소의 색깔을 물어보면 그 명칭에 대한 한국인의 이해의 정도를 대번에 짐작하게 될 것이다. 대학의 강의실에서도 확신을 가진 학생이 거의 없었다면 길거리에 나가서 가두 테스트를 해도 마찬가지다.

이것은 애초에 이름을 붙일 때부터 잘못된 것이고 그것을 사용해 온 한국인 다수가 잘못을 저지른 것이다. 아무리 하찮은 짐승이라고 하더라도 검은 놈 흰 놈까지 황색을 의미하고 황소라고 한데 묶어 부른 것부터가 잘못이다. 일 시켜 먹다가 잡아먹으면 그만인데 흰 놈을 검다 한들 어떻고 검은 놈을 누렇다 한들 어떠냐는 적당주의와 비과학적인 사고가 이런 혼란을 빚어낸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또 하나 보탠다면 황소가 암놈이냐 수놈이냐, 아니면 암수 구별없이 부르는 누렁소의 총칭이냐 하는 것에 대해서도 역시 모르는 사람이 많다.

'황소 불알 떨어지면 구워 먹으려고…'라는 속담에서처럼 황소는 수소지만 한국인은 황소 불알이 정력에 좋은지에 대해서만 관심이 있을 뿐이지 '암놈 황소'라는 말도 있는지에 대해서는 무지한 편이다.

이 같은 한국인 자신의 모습에 대해서 우리는 흔히 이렇게 말한다. 누렁소든 흰 소든 그냥 소면 그만이지 왜 그렇게 따질 필요가 있는 것이냐고. 우리는 그렇게 안 따지고도 잘 살아왔지 않느냐고 반문하는 것이다.

그렇지만 우리는 결코 그 같은 인식의 애매모호성과 적당주의를 지니고서 잘 살아온 것이 아니다.

지금 우리는 어디서나 교통지옥을 고생하고 있다. 남의 나라와 다른 것은 우리가 앞을 제대로 내다보지 않고 적당주의로 미래를 진단해 본 데 있다. 그래서 예측이 빗나가는 바람에 길을 다시 넓히고 땅 속을 파 들어가면서 예산을 낭비해 오고 있다.

이것만이 아니다. 김치를 담그더라도 아주머니들은 무슨 재료를 얼마쯤 넣는지 확실한 지식이 없다. 물론 자신들은 그러고도 김치를 잘 담가 왔지만 며느리나 딸자식들에게 그런 전문 지식을 전수시키려니 쉽지 않다. 소금만 해도 그저 적당히 한 줌 두 줌이지 몇 그람이라는 것이 없으니까 그렇다. 그러다 보니 김치의 본고장인 한국으로 일본산 김치가 수입되고 또 그것이 전 세계 시장으로 퍼져나가는 것이다. 그러니까 우리는 결코 그 같은 애매모호한 지식과 과학적 사고로 잘 살아온 것이 아니다. 남들은 선진국인데 그 선진국은 못 따라가고 살아왔다는 것 자체가 그만큼 경제적 문화적 수준의 후진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까?

한국인은 세 사람만 모이면 고스톱판을 벌인다고 한다. 그 화투장 정월에는 소나무에 앉은 학이 있다. 송학은 여기만이 아니라 병풍에도 흔히 있다. 이미 세상을 떠난 작가 이범선의 초기작 <학마을 사람들>에도 높은 소나무 꼭대기에 둥우리를 틀고 살던 학이 이야기의 실마리와 결말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학의 서식처나 생활환경은 소나무와는 관계가 없다. 학은 호수나 바닷가 갈대숲 같은 곳에 집을 짓고 갯지렁이 등을 먹고 산다.

우리가 이렇게 애매모호한 지식을 갖고 사는 것은 사실은 부끄러운 일이다.

'이름 모를 산새가 우지짖고….'

한국의 작가는 이런 표현을 잘 쓴다. 멋진 표현을 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자기 나라 자연환경에 대한 무식을 드러내는 표현일 뿐이다. 이 같은 애매모호성과 과학적 사고의 결핍이 크게는 국가의 백년대계를 망칠 것이요. 개인 생활에선 가끔 '선무당 사람 잡는'' 실수를 범하게 할 것이다.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