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사리오의 사슬 / 나가이 다카시

 

내가 결혼한 것은 대학을 졸업하고 삼 년 째 되는 해였는데 당시 조수로서 월급이 사십 원이었다. 만주 사변 당시로 물가는 싼 편이었지만 그렇다고 사십 원으로 살림을 꾸려가는 건 어려웠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한 번도 아내로부터 불평을 들은 적이 없다. 새 옷 한 벌 사 주지 않았다. 극장에 간 일도 없다. 둘이서 요릿집으로 외식을 하러 간 일도 없다. 오락이라고 해 보았자 일 년에 한 번 바다에 간 정도뿐이다. 나는 매일 밤늦게까지 연구실에 틀어박혀 있었고 아내는 살림에 전념하고 있었다.

월 사십 원의 생활은 칠 년 간 계속됐다. 가족의 옷은 전부 아내의 수제품이었다. 내 양말에서부터 와이셔츠에 이르기까지 한 땀 한 땀 정성을 쏟아 만든 것이었다. 그걸 보고 연구실의 아가씨가 "선생님은 낮에도 사모님에게 안겨 있군요."라고 했다. 아내는 화장하지 않았다. 프랑스제 입술연지도 이탈리아제 향수도 손쉽게 살 수 있는 시절이었다. 그리고 거리에는 유한마담이라고 불리는 계급의 사람들이 활개를 치고 다니는 시대였다. 식량도 썩어나도록 풍부했다. 아내는 갠 날엔 거름통을 메고 밭에서 일하고 비가 오는 날에는 바느질이랑 뜨개질로 일손을 놓지 않았다. 그리고 마을의 부인회 연합반장의 바쁜 역할도 해내고 있었다. 거기에다 나의 아내로서의 임무, 반미치광이의 시중도 들지 않으면 안 되었다.

한 가지 새로운 연구에 착수하면 나라는 인간은 변해 버린다. 연구 테마에 온통 정신을 빼앗겨 버린다. 며칠씩 도서실에 틀어박혀 선인들의 업적을 조사한다. 카드를 만든다. 그리고 그걸 정리해서는 나의 새로운 방법을 구상한다. 실험 장치를 만든다. 드디어 실험에 착수한다. 몇 개월 만에 결과가 나온다. 그걸 정리하여 논문을 쓴다. 교정을 본다. 이런 순서인데 그러는 동안에는 연구 이외의 것은 머리에 들어오지 않는 것이다. 이야기를 걸어오면 대답은 한다. 밥이 나오면 먹기는 한다. 아이가 울면 노려본다. 그러나 무슨 말을 했는지 무엇을 먹었는지 기억이 없다.

내가 대학에서 돌아오는 길에 아내가 스쳐 지나가는데 모르고 지나친 일이 두 번 있었다고 했다. 뒤에 아내에게서 그 말을 듣고 나는 '저런'하고 놀랐다. 그럴 때의 나는 허공을 쏘아보면서 입속에서 무언가 중얼중얼 하므로 어쩐지 무섭다고 한다. "마치 몽유병자를 간호하고 있는 것 같아요"라고 아내가 말한 적이 있다.

꼭 의논해야 할 집안일이 생겨도 말을 못하고, 남편의 주의를 산만하게 할 수도 없고, 두뇌를 쓰므로 특별 요리를 만들어야 하고, 자칫 방심하고 있으면 넥타이도 잊어버리고 뛰쳐나가기 때문에 몸에 걸치는 일상사도 신경을 늦출 수가 없고, 방안에 가득히 늘어놓은 조사 카드, 노트, 참고서, 사진, 휴지 등등 치워도 되는 건지 안 되는 건지 알 수가 없고, 저녁 귀가 시간은 일정하지 않고, 이런 남편의 시중을 용케도 아내는 그 연약한 팔로 해낸 것이다.

이런 아내의 노고에 대해서 내가 보답한 것은 겨우 잡지에 실린 내 논문을 보여 주는 것뿐이었다. 남들 같으면 소파에 편안히 기대고 파이프를 피우면서, 혹은 방바닥에 드러누워서 대충대충 읽는 시늉이나 하는 잡지를 아내는 단정하게 고쳐 앉아 정중히 받들고 난 다음에 페이지를 넘기는 것이었다. 잉크 냄새나는 활자가 내 이름을 찍어놓은 그 페이지, 그것은 전문 용어로 가득 차 읽어도 이해 못 하는 문장이다. 그것은 몇 페이지에 불과한 짧은 것이지만 그 속에 남편의 생명이 마치 가다랑어 포처럼 깎여 들어 차 있는 것을 아는 아내는 눈시울까지 적시면서 읽어 가는 것이었다. 그 옆에서 나는 아내 대신 어린 것을 안고 어르면서 잠시 가슴속에 온천물이 솟아나는 것 같은 생각에 잠겨 있다.

우리 집의 행복한 시간, 그것은 일요일 아침 모두 함께 성당에 미사 참례하러 가는 때였다. 나는 큰아이 손을 끌고 아내는 작은아이를 업고 밭둑길로 언덕 위 빨간 벽돌 성당에 간다. 종각에서는 우리를 부르는 종소리가 맑고 부드럽게 울려 퍼진다. 저 집에서도 이 집에서도 나들이옷으로 갈아입은 사람들이 밝은 얼굴로 나와서 같은 길에 합류했다.

스테인드글라스를 통해 비쳐드는 아침 햇살의 물결 속에 앉아서 내 목소리도 아내의 목소리도 더듬거리는 어린것 목소리도 옆자리에 앉은 늙은 농부의 탁한 목소리도 하나가 돼서 하늘에 계신 우리들의 아버지를 찬미해 올렸다. 그런 행복한 날은 이제 나에게는 오지 않는다.

나의 교우는 매우 적었다. 모두 비슷한 처지의 가난한 학자들이었다. 어느 여름밤이었다. 내가 좁은 마당, 돌에 앉아서 달빛을 받고 있으려니까 해부학과의 나카무라 조교수가 한 손에 부채를 들고 훌쩍 찾아왔다. 그는 내 앞에 있는 돌에 걸터앉자마자, 도롱뇽 알에 관해서 이야기를 꺼냈다. 이런 것이 우리 집 평상에서의 화제였다. 그는 처녀 생식의 실험을 하고 있었다. 작년에 참개구리 알의 실험에서는 성공을 거두었다. 알의 어느 극을 백금 침으로 가볍게 콕콕 찔러주면 그것이 정충 진압과 같은 자극이 되는지 알은 정상적으로 분할을 시작하고 차츰 성장하여 정상적인 개구리가 되었다. 올해에도 그것을 도롱뇽의 알로 실험을 하는 중이었다. 그것에 성공하면 어떻게 해서든지 포유류로 해보고 싶은 것이다.

아내가 들통에 우물물을 길어 왔다. 그 안에 토마토가 떠 있었다. 나카무라 군은 왼손에 토마토를 올려놓고 오른손에 오이를 쥐고 그걸 난자와 정자로 가장하여 바짝 갖다 댔다가 떼었다가 하면서 계속 설명을 하면서 덥석덥석 베어 먹었으므로 어느 틈에 난자도 정자도 위장 속으로 사라져 버리고 없었다.

아내는 언제나처럼 좁은 뜰을 향해 나 있는 안방에서 셔츠에 다림질하면서 두 사람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있었다. 느닷없이 나카무라 군이 안방에다 대고 말을 걸었다.

"사모님, 머지않아 아이를 낳는 데는 남편이 필요 없을 것 같아요." 그랬더니 아내는 웃으면서 대답했다.

"그럴까요? 그건 그렇다 치더라도 부부의 목적이 아이를 낳는 일만은 아닐 텐데요." 나카무라 군은 이 대답을 듣고 빙긋이 웃었다.

나는 조교수가 되어 월급이 백 원으로 올랐다. 아내는 그래서 겨우 마음을 놓았다. 머지않아 아이가 소학교에 다니게 되므로 사십 원으로는 난감할 처지였다. 우리에게는 아직 연극 구경 같은 걸 갈 여유는 생기지 않았다.

그로부터 5년이 흘렀다. 나는 연구실에서 오랫동안 몰두하고 있던 방사선의 장해를 받아 백혈병에 걸리고 말았다. 남은 목숨이 앞으로 몇 년 되지 않는다는 진단을 받은 날 나는 신뢰하고 있는 아내에게 모든 것을 털어놓고 선후책을 생각하자고 말했다. 그때 아내는 놀라는 기색도 없이 듣고 있었다.

내가 예상하였던 대로 아내가 믿음직스러워 기뻤다. 이런 운명은 아내도 각오하고 있었다. 이런 아내라면 내가 죽은 뒤에 아이들을 훌륭히 키워 나처럼 방사선 연구에 종사하는 학자로 만들어 주겠지. 나는 사후의 근심 없이 연구의 마지막 마무리에 몰두할 수 있었다. 아내는 더욱 깊은 애정을 가지고 나를 위로해 주었다. 병세가 차츰 진행하여 공습경보가 내려 무거운 철모를 쓰거나 하면 다리가 비틀거릴 정도였다. 한번은 아내에게 업혀서 출근한 일도 있었다.

8월 8일 아침 아내는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생글생글 웃으면서 출근하는 나를 배웅했다. 조금 가다가 나는 도시락을 잊은 것이 생각나 집에 되돌아갔다. 그리고 뜻밖에도 현관에 엎드려 울고 있는 아내를 본 것이다.

그것이 이별이었다. 그 날 밤은 방공 당번이어서 연구실에서 묵었다. 다음날인 9일. 원자 폭탄은 내 위에서 폭발했다. 나는 상처를 입었다. 순간 아내의 얼굴이 떠올랐다.

환자들의 구호에 바빴던 다섯 시간 뒤 나는 출혈로 밭에 쓰러졌다. 그때 아내의 죽음을 직감했다-라고 하는 것은 아내가 끝내 내 앞에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리 집에서 대학까지 1km니까 기어서 와도 다섯 시간이면 올 수 있다. 설령 중상을 입었더라도 목숨이 있는 한은 기어서라도 기어코 나의 안위를 물으러 와 주었을 아내였다.

사흘째, 학생들의 사상자 처리도 일단락되었으므로 황혼 무렵 집에 돌아갔다. 온통 잿더미였다. 나는 금방 발견했다. 부엌이 있던 자리에 남아 있는 검은 덩어리를. 그것은 탈대로 타버리고 남은 골반과 요추였다. 곁에 십자가가 달린 로사리오의 사슬이 남아 있었다.

불에 탄 양동이에 아내를 주워 담았다. 아직 따뜻했다. 나는 그걸 가슴에 안고 묘지로 갔다. 주위의 사람들은 모두 죽어버려 저녁 해가 비치는 잿더미 위에 같은 모양의 까만 뼈가 여기저기 점점이 보였다. 내 뼈를 머지않아 아내가 안고 갈 예정이었는데, 운명은 알 수 없는 것이다. 내 가슴에 안긴 아내가 바스락바스락 인산 석회 소리를 내고 있었다. 나는 그것을 "미안해요, 미안해요."라고 말하고 있는 거라고 들었다.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