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바루기]  ‘리터’의 표기법

 

 

메이저리그를 즐기려면 ‘피트’와 ‘마일’에 익숙해져야 한다. 미국은 미터법이 자리 잡지 못한

국가다. 여러 차례 시도에도 관습을 이기지 못한 탓이다.

우리의 평수 개념이 끈질긴 생명력을 보이는 것과 마찬가지다. 땅 면적에 ㎡를 쓰라고

법률로 못 박았지만 일상에선 평(약 3.3㎡)이 혼용되는 실정이다.

1963년 계량법에 따라 척(尺)·승(升)·관(貫) 등으로 길이·부피·무게를 재는 척관법 대신 미터법을

쓰도록 했다.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미터법은 길이·너비는 미터(m), 부피는 리터(L), 질량은

킬로그램(㎏)을 기본 단위로 하는 십진법을 사용한 도량형법이다.

83년엔 건물·토지 지적에도 ‘평’을 못 쓰게 했다.

2007년엔 법정 단위 사용을 의무화했다. 부동산을 평 대신 ㎡,

금을 돈 대신 g으로 거래하도록 단속에 나섰다.

미터법에 의한 단위의 읽기와 쓰기에도 규칙이 있다.

아직도 많은 사람이 넓이 단위인 ㎡를 ‘평방미터’로, 부피 단위인 ㎥를

‘입방미터’로 잘못 읽는다. 도량형 표준화에 따라 각각 ‘제곱미터’ ‘세제곱미터’로 읽어야 한다.

건설분야에 뿌리 내린 대표적인 일본어 찌꺼기다.

평방미터를 축약한 ‘평미(平米, へいべい)’,

입방미터를 줄인 ‘입미(立米, りゅうべい)’에서 온 말이다.

 

미터법을 표기할 때 가장 많이 보이는 오류는 ‘리터’다.

요소수 사태 당시 또 한 번 혼란이 일었다. 필기체 ‘ℓ’은 바른 표기가 아니다.

혼란에 한몫하는 워드 문자표에서 ℓ기호를 삭제하는 작업부터 해야 한다.

정자체 L 또는 l이 국제적으로 공인된 기호다.

소문자 ‘l’이 숫자 ‘1’과 구별이 어렵고 몇몇 국가에서 ℓ로 변칙적으로 쓰자

1979년 이후로는 ‘L’의 사용을 권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