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망증 뒤에 찾아온 성숙한 느낌

 

 

 아무래도 내가 비정상인 것 같다. 새벽에 눈을 뜨니 어제 친구의 딸 결혼 피로연이 있었다는 생각이 번쩍 든다. 그야말로 까맣게 잊고 있었다. 내가 초청장까지 만들어 주었는데 어쩌면 이럴 수가 있나. 정작 그 시간에는 T.V.를 보면서 느긋하게 저녁을 먹고 있었다. 이해할 수 없는 블랙아웃이었다 

 
  이 일을 어떻게 해야 하나. 침대에서 벌떡 일어났다. 마음이 급하다. 이른 아침이지만 친구에게 솔직히 고백하는 카톡을 보냈다. ‘깜박 했어.’ 앙앙 우는 이모티콘 까지 넣고 보니 우리 나이에 이보다 더 이해가 되는 익스큐즈가 있을까 싶다. 
 이런 정신 상태라면 앞으로 매사에 얼마나 더 신경을 곤두세운 채 살아야할까. 옛날에는 음악을 크게 틀어 둔 채 옆자리 친구랑 이야기를 하면서도 앞서가는 친구 차를 따라가는 운전을 할 수 있었는데 요즘은 옆자리 사람이랑 이야기만 하고 가도 길을 놓친다. 엄마가 옆에 앉아서 조용히 해라. 운전만 해라 하던 말씀이 그때는 귀찮더니 이제야 이해가 된다.

  아침에 출근하는 남편이 어제 내가 풀장에 수돗물을 틀어놓고 잠그지 않아서 자기가 나가 잠궜다며 혀를 끌끌 찬다. 돌아보니 전혀 수돗물 틀어두었다는 생각 없이 잤다. 농담처럼 치매인가 봐, 했지만 심각하다는 생각이 든다. 요즘에는 오직 한가지씩만 일을 처리하고 그것을 완전히 끝내고나서 다른 일을 한다며 딴에는 조심을 했는데.

 올 해 들어 부쩍 내가 나를 믿지 못 할 때가 많다. 그래서 같은 사건을 놓고 다른 사람과 의견이 엇갈릴 때는 그냥 져 준다. 상대방이 맞을 거라며 마음을 비운다. 억울해서 펄펄 뛸 일도, 앞 뒤 순서 맞추며 따질 일도 크게 한 발 뒤로 물러서서 보니 별 일 아니다. 오해를 받더라도 이해해 달라고 변명하지 않는다. 나를 이기려는 상대방을 오히려 치켜 올려 주면서도 자존심이 상하지 않는다. 나를 온전히 체념하지 않으면 받아들이기 어려운 감정에 서서히 익숙해지고 있는 모양이다. 더 초라해지고 낮아지는 것에 대한 거부감도 없다. 바보 같은 나, 멍청한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그 때문일까. 엔간한 사람들의 실수나 잘못은 마음앓이 없이 이해하거나 덮어준다. 옛날에는 전혀 용납되지 않던 감정이 오히려 지혜로운 덕으로 느껴지니 우리의 육체만 늙는 것이 아니라 마음도 늙어 가는가 보다.

 

  87세의 나이로 미국의 대학교를 졸업한 로즈 할머니 이야기가 인터넷에서 화제다. 그녀는 힘든 대학 공부를 마치고 졸업식을 한 일주일 후에 죽었다고 한다. 장례식에 2,000명이나 되는 동급생 대학생들이 문상을 왔다고 하니 얼마나 멋진 노년을 보냈나 싶다. ‘나이를 먹는 것은 무조건적이지만, 성숙한다는 것은 선택적입니다.’ 그녀가 남긴 말을 마음에 담는다.

 

  이제 슬슬 머릿속 용량도 적어지고 기억장치도 깜박깜박 쉬고 싶어 하니 더 무엇을 기대하랴. 나의 마음문도 헐렁헐렁 열어두고 살고 싶다. 어떤 말이든 마음대로 들락거리게 하고 가끔가다 마음에 드는 녀석 있으면 그것 붙잡고 웃기도 하면서.

  어떤 노래 가사에서 그랬지.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곧 익어가는 거라고. 그러고 보니 맞다. 익은 과일일수록 맛있는 향기를 내는 것. 이제  '깜박 했어' 하는 나의 변명이 앞으로 얼마나 더 자주 사용될 지 걱정하지 않으려고 한다. 그것조차도 익어하는 한 과정이니까. 과일은 익을수록 향기를 내지 않는가. < 8/3/16 중앙일보 이 아침에>

 

<개작>

 

성숙해 지는 것은 선택이다

 

 

아무래도 내가 비정상인 것 같다. 새벽에 눈을 뜨니 어제 친구의 딸 결혼 피로연이 있었다는 생각이 번쩍 든다. 그야말로 까맣게 잊고 있었다. 초청장도 내가 디자인해서 인쇄소로 넘겼는데 어쩌면 이럴 수가 있나. 정작 그 시간에는 머리와 마음을 텅텅 비우고 T.V.를 보면서 느긋하게 저녁을 먹고 있었다. 이해할 수 없는 블랙아웃이었다.

 

이 사단을 어떻게 해야 하나. 침대에서 벌떡 일어났다. 마음이 급하다. 이른 아침이지만 친구에게 솔직히 고백하는 메세지를 보냈다. ‘깜박 했어.’ 앙앙 우는 이모티콘 까지 넣고 보니 우리 나이에 이보다 더 이해가 되는 변명이 있을까 싶다.

이런 정신 상태라면 앞으로 매사에 얼마나 더 신경을 곤두세운 채 살아야할까 두려워진다. 옛날에는 음악을 크게 틀어 둔 채 옆자리 친구랑 이야기를 하면서도 앞서가는 동료 차를 따라가는 운전을 할 수 있었는데 요즘은 옆자리 사람이랑 이야기만 하고 가도 길을 놓친다. 엄마가 옆에 앉아서 조용히 해라. 운전만 해라 하던 말씀이 그때는 귀찮더니 이제는 이해가 된다.

 

아침에 출근하는 남편이 혀를 끌끌 찬다. 어제 내가 풀장에 수돗물을 틀어놓고 잠그지 않아서 자기가 나가 잠갔다고 한다. 돌아보니 전혀 수돗물 틀어두었다는 의식 없이 잤다. 농담처럼 치매인가 봐, 했지만 심각하다는 생각이 든다. 요즘에는 한가지씩만 일을 처리하고 그것을 완전히 끝내고나서 다른 일을 한다며 딴에는 조심을 했는데. 세상은 오직 한 분야에만 몰두하던 심플 테스킹 시대에서 여러 가지 일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멀티 테스킹 시대로 바뀌고 있는데 나는 오히려 역주행을 하고 있다.

 

올 해 들어 부쩍 내가 나를 믿지 못 할 때가 많다. 그래서 같은 사건을 놓고 다른 사람과 의견이 엇갈릴 때는 그냥 져 준다. 상대방이 맞을 거라며 마음을 비운다. 억울해서 펄펄 뛸 일도, 앞 뒤 순서 맞추며 따질 일도 크게 한 발 뒤로 물러서서 보니 별 일 아니다. 오해를 받더라도 이해해 달라고 변명하지 않는다. 나를 이기려는 상대방을 오히려 치켜 올려 주면서도 자존심이 상하지 않는다. 나를 온전히 체념하지 않으면 받아들이기 어려운 감정에 서서히 익숙해지고 있다. 더 초라해지고 낮아지는 것에 대한 거부감도 없다. 바보 같은 나, 멍청한 나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 그 때문일까. 엔간한 사람들의 실수나 잘못은 마음앓이 없이 이해하거나 덮어준다. 나이가 들수록 사람을 담는 마음의 그릇은 작아지는 반면 몸에 근육이 빠지듯 인간관계에서 오는 감정의 색은 바래는 걸까. 옛날에는 전혀 용납되지 않던 감정이 오히려 지혜로운 덕으로 느껴진다. 우리의 육체만 늙는 것이 아니라 마음도 늙어 가는가 보다.

 

옆집 제니의 아버지는 편지 한 통을 남기고 돌아가셨다. 내가 만일 죽거든……. 으로 시작된 글은 남겨두고 가는 아내에 대한 걱정이었다. 어머니 주치의 이름과 전화번호, 상용하는 약과 약국 이름은 물론 단골 미장원, 일요일마다 가던 마켓, 즐겨 찾는 음식점 이름과 주소가 있었다. 비닐지붕이 날아간 온실에 덩그마니 남은 화초인 양 힘없는 몸을 소파에 기댄 채 하루 종일 멍하니 계시는 어머니를 예견이라도 한 것일까. 아내를 두고 떠나는 애달픈 마음의 무게가 절절하게 느껴졌다. 작은 일에도 다투면서 버럭버럭 화를 내던 아버지의 심사가 연민으로 바뀐 지 오래되었다 한다. 노년의 끝자락에서 육체가 닳은 것처럼 마음의 모양도 닳은 것이었을까.

 

87세의 나이로 미국의 대학교를 졸업한 로즈 할머니 이야기가 요즘 인터넷에서 화제다. 손주뻘보다 더 어린 아이들 틈에 끼여서 힘든 대학 공부를 마친 그녀는 평생 꾸었던 꿈을 이룬 기쁨을 오래 누리지도 못했다. 아쉽게도 졸업식을 한 일주일 후에 평화로운 모습으로 눈을 감은 것이다. 그녀의 장례식에는 2,000명이나 되는 대학 동급생들이 문상을 왔다. 80대 노인의 친구들이 20대 아이들이라니 얼마나 신선하고 열린 노년을 보낸 것인가. ‘나이를 먹는다는 것과 성숙한다는 것에는 정말로 큰 차이가 있답니다. 나이를 먹는 것은 무조건적이지만, 성숙한다는 것은 선택적이지요.’ 그녀가 남긴 말이 새삼 마음에 와 닿는다.

 

나도 이제 슬슬 머릿속 용량도 적어지고 기억장치도 깜박깜박 쉬고 싶어 하니 더 무엇을 기대하며 ‘나’를 ‘나’라고 고집할 수 있을까. 로즈 할머니처럼 마음문도 헐렁헐렁 열어두고 살고 싶다. 어떤 말이든 마음대로 들락거리게 하고 가끔가다 마음에 드는 녀석 있으면 그것 붙잡고 웃기도 하면서.

어떤 노래 가사에서 그랬지.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곧 익어가는 거라고. 그러고 보니 맞다. 익은 과일일수록 맛있는 향기를 내는 것. 이제 '깜박 했어' 하는 나의 변명이 앞으로 얼마나 더 자주 사용될 지 걱정하지 않으려고 한다. 그것조차도 익어하는 한 과정이니까. 과일은 익을수록 향기를 내지 않는가.

햇볕 눈부신 하늘을 날아가는 나비처럼, 찰랑거리는 봄 여울의 물고기처럼 그렇게 나를 자유롭게 풀어주고 싶다. 

 

<2017 문학 에스프리 여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