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야 들깨를 뽑았다.

지난해 늦봄에 절로 돋아나 여름내 향긋한 잎을 내어주고, 가을엔 꽃을 피워 초겨울까지 식탁을 풍성하게 해준 들깨였다. 보리밥 짓고 강된장 만들어 깻잎 몇 장 따 쌈 싸서 올리고, 하얀 꽃숭어리는 찹쌀풀에 발라 들깨 보숭이로 만들면 멀리서도 향이 깊었다.

겨울에 들면서 줄기를 흔들어대는 바람에는 어쩔 수 없이 몸피가 말라갔다. 이파리도 꽃도 줄더니 오래도록 기척이 없었다. 김장 머리였다. 김치를 담그고 남은 파가 많았다. 심을 곳을 찾다가 들깨를 뽑으려고 보니 뻣뻣해진 가장귀에 쌀밥 같은 꽃잎 하나가 돋아 있었다. 마침 빈 화분이 있어서 심고, 들깨는 그대로 두었다.

새해 첫날 늦은 오후였다. 베란다 창틀 난간에 새 한 마리가 앉아 있는 것을 보았는데 한참이 지나도 가지 않고 있었다. 무척이나 추웠던 날이어서 창을 열어주었다. 새는 솟구치듯 날아오르더니 베란다로 들어와 요란한 날갯짓으로 퍼덕였다. 두리번거리던 새는 들깨 우듬지에 날개를 접고서 오래도록 고요했다. 연둣빛 섞인 회색 날개에 흰 뺨과 흰 배를 하고서 목에 검은색 굵은 넥타이를 맨 모양새가 성년에 든 수컷 박새였다.

다음날부터 새는 해거름이면 날아와 자기 집인 양 머뭇거리지 않고 들어와서는 들깨 가지에 앉았다가 갔다. 어찌 알았는지 다른 새까지 날아왔다. 설날이 지나고 삼짇날이 돌아와 앞산 딱따구리가 집을 짓느라 요란스러워도, 뻐꾸기와 산비둘기가 불러 젖혀도 새는 대꾸질 한 번 하지 않았다. 앞산의 큰 나무들을 마다하고 베란다 속 작은 가지를 찾아든 연유가 궁금했다. 바람 한 점 실어 내지 못할 성싶은 여린 가지에 세상을 날다 돌아온 새의 고단한 날개가 깃들일 줄이야. 들깨는 선 채로 화석이 되었지만 새는 계속 앉았다 갔다.

열 시 방향에 있는 산목련 나무로 머리를 향하고서 먼 곳을 쳐다보는 새의 눈빛이 상념에 잠긴 듯했다. 나는 산 너머로 내리는 석양을 보며 새를 따라 아득히 먼 데를 그려보곤 했는데 그러면 내 안에도 단단한 고요가 한 줌씩 고이곤 했다.

호미질로 흙을 갈아 꽃씨도 심고 상추와 오이, 고추 등의 모종을 심을 때였지만 날마다 새가 깃들인 이상, 들깨를 파내어 버릴 수 없었다. 어느 날 보니 들깨 아래에서 새순이 올라와 있었다. 그대로 두었다가는 딱딱한 흙에 숨이 막힐 것 같았다. 들깨를 뽑으려고 했지만 꿈쩍도 하지 않았다. 스티로폼 상자 안에서도 뿌리를 깊이 내린 듯했다. 자세를 고쳐 줄기를 단단히 움켜잡고, 있는 힘껏 당겼다. 갈고리처럼 생긴 뿌리가 흙덩어리를 안은 채 뽑혀 나왔다. 몸피를 잡았던 손에 진한 내음이 났다. 내 몸에 들깨 한 포기가 옮겨 심어진 느낌이었다.

그날 밤 잠자리에 들었는데 뒤늦게 박새 생각이 났다. 흙갈이에 열중하느라 새가 왔다 갔는지 기억조차 나지 않았다. 와서 들깨가 없어진 걸 보았다면 얼마나 당황했을까. 일어나 산길로 나갔다. 다행히 버려진 채로 있었다. 들깨 대를 그러모아 베란다 본래 자리에 꽂아놓고 나니 새순들이 웃는 듯했다. 곁에 서 있는 것만으로 어미의 몸내를 맡으며 잘 자랄 수 있을 것 같았다. 내일이면 박새도 날아와 앉으리라.

놀란흙에서 피어난 들깨 향이 밤공기를 흔들었다. 일년생 풀 한 포기가 남긴 향이 이리 짙을진대 팔십여 년을 서 있었던 사람의 자리에 남는 흔적이야 오죽할까, 싶었다. 달빛 아래에 선 마른 들깨 대를 보고 있자니 요양병원 침대에 누워 계신 어머니의 다리가 떠올랐다. 평생을 숨구멍 하나 없는 가시밭에 서 있어 뼛속이 텅 비어버린 두 다리였다.

산골 처녀였던 어머니는 시집오던 날, 한 포기 풀로 섬 집 마당에 옮겨 심긴 후 그 자리에서 한 치도 비켜선 적이 없었다. 어장을 돌보고 서자의 아내로 집안일을 도맡아 하면서 자식 여섯을 낳아 기르는 동안 사시사철 불어오는 소금바람을 견뎌내야 했다. 시어머니의 금가락지를 훔친 도둑 며느리, 아비가 북으로 간 ‘빨갱이 딸’이라는 말도 속으로 삼켰다. 침묵은 어머니가 밀양 박씨 문중의 종부가 되면서부터 터득한 삶의 방식이었다. 음해와 손가락질조차도 단단한 뿌리가 되었던 걸까. 어머니를 큰바람에도 흔들리지 않는 나무로 자라게 했던 모양이다.

어장을 하는 집안에서는 시도 때도 없이 된바람이 불었다. 식솔들은 물론 섬사람들은 바닷일을 마친 밤이면 엄마를 찾아와 눈물, 콧물을 찍어내며 속내를 털어놓곤 했다. 바다에는 땅의 끝자리에서 떠밀려온 인생들이 많았다. 고향을 잃고 가족을 잃고 더는 잃을 것조차 없는 뱃사람들도 고기잡이 철이 끝나면 어머니를 찾아와 누이처럼 어머니처럼 깃들었다.

제 속에서 피워낸 향기로 오갈 데 없는 박새를 깃들이게 한 들깨처럼, 어머니가 살아낸 생은 당신이 서 있던 자리에 향기 한 줌 남기는 일이었다. 들깨가 한 그루 큰나무로 느껴졌다.

‘들깨 나무’ 그림자 속으로 발 하나 들였을 뿐인데 어머니의 전생(全生)에 든 듯하다.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