뿌연 하늘 아래     -    김인호


   초등학년 때 봉이 김선달이 대동강 물을 팔아먹은 객담에 크게 웃어본 적이 있다. 그런데 40여 년 전 대학시절에 생수를 담아 파는 상술을 보고 20세기 봉이 김선달 같은 사업이라고 생각, 누가 사서 먹을까 의아해했다. 지금은 생수가 세계 어디를 가도 필수식품이 되었다. 인간의 칩거는 강을 끼고 시작, 문명의 발상지는 물의 역사와 같아 사막의 오아시스는 환상의 꿈으로 생명줄이다. 그러나 물은 자연이 주는 무료식품으로 산속 옹달샘이나 계곡 사이 시냇물을 마신다고 누가 뭐라고 하지 않는다. 때로 지역마다 쏟아지는 하늘의 선물이 일정한 강수량이 있어 해마다 빗물을 모아 마시기도 한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자연이 주는 생명수에 대해 고맙고 감사함을 모르며 산다. 그러나 1차 산업에서 2, 3차 산업시대로 진화 발전하며 과학문명이라는 이름으로 20세기 단기간에 오염이라는 작품을 발굴하였고 자연환경의 그 순수함에 스스로 멍에를 씌웠다. 뜨거워지는 지구온난화는 산업재해로 표면을 열기와 열풍으로 물들이고 또 뒤이어 이를 지구 환경 보호로 해결해 보려는 일부 단체의 노력은 나라마다 경제 성장력과 맞물려 힘든 악순환만 되풀이되고 있다.
   이른 아침 생수병을 들고 평소처럼 양재천변을 걷기 시작한다. 겨울의 끝자락은 코끝이 시리다. 이어폰을 따라 흐르는 봄의 심포니는 조만간 만발할 꽃잎들을 화사하게 그려준다. 음률을 타고 흐르는 아침의 혈류는 생명감을 깨우며 에너지가 솟아오른다. 새로운 하루의 시작임을 알리는 옅은 내 머리 속 상념은 행복감으로 일렁일 때이다. 그러나 여명을 타고 실제 내 시야에 비치는 오솔길은 안무에 깔려 흐릿하다. 새벽안개는 아침이슬처럼 상쾌감을 준다. 그런데 매캐한 냄새를 풍기는 기류에서 목 속이 텁텁하다. ‘미세먼지인가?’ 나는 1km 못 미쳐 반환 길로 들어섰다. 그때서야 아침안개가 아니고 하늘이 뿌애져 있음을 보고 입을 막았다. 아침 녘 실개천 숲길이 먼지로 뒤엉켜 있다니 순간 당혹함이 몰려왔다. 여기가 이럴진대 도심 속은 어떻게 될까. 때맞추어 방송과 미디어문자는 초미세먼지 ‘매우 나쁨’을 알리며 안전을 위해 마스크 착용을 권한다며 부산하다. 콧속이 찐득거려 답답해지며 목 속이 꺼끌꺼끌하여 생수를 한 모금 마시며 헹구어 뱉는다. 괜히 새벽 산보를 한답시고 운동화 끈을 고쳐 맨 어수선함을 탓해 본다. ‘이럴 줄 몰랐지!’ 한심해하며 독가스를 피하듯 손바닥으로 입·코를 틀어막고 서둘러 아파트 집으로 향한다. 새벽을 잃어버린 아쉬움이 괜히 억울하기까지 하다.
   초미세먼지(PM 2.5) 미세먼지(PM 10)가 입방미터 당 190마이크로그램(76이상이 매우 나쁨) 이상으로 6일 이상 지속된다며, 이에 유관 사망자 수가 연 2만 명이라니 가히 터널 속 생활 환경과 같은 것이다. 그런데 이 초미세먼지는 혈액뇌차단벽(blood brain barrier)을 통과하여 뇌졸중(brain stroke)과 심질환으로 58%로 사망한다며 상식선인 호흡기계 질환(염증, 폐쇄성, 폐암)보다 많다는 것은 바이러스보다 미세한 독소물질로 보아야 한다. 독가스를 살포한 아우슈비츠 학살은 나치 독재자들이 저지른 참사라고 한다면 오염 공기로 사망하게 이르게 한 것은 누구 탓인가. 산업 배기가스가 저지른 재해가 몰고 올 엄청난 재앙을 알면서도 자연파괴를 무시하고 우선순위를 멀리한 정책 입안자들 아닐까….
   나는 기억한다. 해질 저녁 무렵 샘물가에서 흙먼지 탈탈 털고 멱물하고 일어설, 골목길 집마다 보일 듯 말듯 피어오르는 푸른빛 연기들 속에 구수한 저녁밥 내음. 투명한 노을 속에 달음질하며 술래잡기하던 동네 아이들의 환호는 산소 가득한 자연과의 호흡이었다. 졸졸 흐르는 동네 밖 시냇가에 꽃잎 띄우며 가재와 물고기와 숨바꼭질하는 순간들, 그곳에는 물과 공기가 한데 어울린 아름다운 자연이 숨어 있었다.
   인간의 호흡기는 먼지가 많아도 코털과 기관 점막 섬모로 폐포까지 스며들지 못하도록 방어기전이 있다. 그런데 초미세먼지는 인체의 필터장치가 무용지물이다. 혈액 속으로 퍼지고 뇌도 침범한다고 하니 일반 마스크로는 소용없다. “외출하지 말고 실내에 있도록….” 그러나 집 안마저 ‘나쁨’ 수준이니 숨쉴 수 없는 상태가 된 셈이다. 어쩌다 이 지경까지 왔는가. 지형적으로 중국의 독성 먼지가 날아오고 화학공장 배기가스와 디젤 배기 탓이라 하나 결국 환경오염에 대처하지 못한 인간사회의 자득이다. 여기에 봄철 황사까지 겹치면 어떻게 할 것인가.
   일인당 국민소득이 2006년 2만 달러에서 12년 만에 3만 달러가 되었다고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날, 서울 거리는 149마이크로그램 최악의 초미세먼지 연속 5일째였다. 2018 바티칸 발표 세계행복보고서에서 행복지수 1위는 핀란드 다음 노르웨이, 덴마크, 아이슬란드, 네덜란드, 캐나다, 뉴질랜드, 스웨덴, 호주 순이고 한국은 57위로 작년보다 2계단 순위가 떨어졌다. GDP 와 행복지수와 비례하지 않는다지만 적어도 거꾸로 가진 말아야 할 텐데, 수림과 청명한 환경을 지켜낸 나라들의 국민이 행복한 삶을 즐긴다는 느낌은 지울 수 없다.
   금수강산에 뒤덮인 미세먼지와 오염된 공기, 우리는 아무 부담 없이 마셔왔던 공기의 가치를 뒤늦게 깨닫고 있다. 산업화로 잠식된 후유증에서 자연 친화의 미래로 가는 길은 얼마나 멀고 힘들지 모른다. 생수生水처럼 유료일지라도 산소나 맑은 공기를 담아 둔 생기生氣통을 메고 수시로 흡입하며 자구책이라도 쓸 수밖에 없는가?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