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릇을 읽다 / 강표성

 

시간의 지문들이 쌓였다. 침묵과 고요가 오랫동안 스며든 흔적이다. 때깔 좋던 비취색이 누르스름한 옷으로 갈아입어도 처음 품었던 복(福)자는 오롯하다. 홀로 어둠을 견딘 막사발을 들여다보니 그 안에 고인 시간이 주르르 쏟아진다.

한때, 골동품에 마음이 기운 적 있다. 눈요기라도 할 겸 옛 물건을 기웃거리기 시작한 건 고향 집의 그림들을 털린 후에 생긴 버릇이다. 우리가 도시로 이사한 후 누군가 사랑채의 그림들을 귀신같이 도려내 가버렸다. 이에 눈 밝은 큰집 오빠가 쓸 만한 물건들은 서울로 옮겼다는 소식이 뒤따랐고, 한참 뒤에야 시골집에 내려간 나는 살강 한쪽에 엎어진 그릇 하나를 품고 왔을 뿐이다.

무시로 쓰던 막사발 그대로다. 이름 있는 도자기도 아니요, 대를 뛰어넘을 만큼 햇수가 묵은 것도 아닌, 어린 시절 밥상머리를 지키던 그대로 투박하고 담담하다. 한때 고봉밥 옆의 넉넉한 국 사발로, 살얼음 서걱거리던 동치미 그릇으로, 갈증을 풀어주던 막걸릿잔으로 쓰였을 터이다.

먼지를 걷으니 사발에 고인 실금들이 일어선다. 있는 듯 없는 듯 자잘한 선들이 서로를 감싸고 있다. 거기 무심한 세월의 때가 무늬 아닌 무늬가 되었다. 그릇이 뜨거운 울음을 삼킬 때마다 아릿한 선으로 스며들었나 보다. 제 열기를 어쩌지 못해, 단단한 몸피에 빗금을 새기면서 얼마나 힘들었을까.

어머니 가슴에 빗금이 서리기 시작한 것은 결혼 이후였을 것이다. 유복한 집 막내딸답게 보름달처럼 환했는데 할머니 앞에서는 날로 이마가 숙었다.

할머니는 어디서나 당당했다. 밝은 온기는 따뜻하게 서늘한 냉기는 차갑게 분별할 줄 아는 성품이 그릇으로 치면 유기그릇 같았다. 수천 번의 망치질과 담금질을 거친 후에 두드리고 펴고 다시 공글린 방짜 그릇처럼 은근하면서도 기품이 있었다. 번듯하고 환한 모습이 정경부인 같았다.

한 가지 흠이라면, 쉬 녹이 슬어 푸르죽죽해지는 거였다. 할머니는 밖에서는 늡늡하다가도 안으로 들면 마음이 눅눅해졌다. 올망졸망 모여있는 손녀들을 보면 당신의 지난 세월이 역류했는지도 모른다. 그 시절에는 사내아이들은 훈장 들여 공부시키면서 딸들은 어깨너머로 언문이나 익혔다고 한다. 들판 너머 호말 탄 왜놈 순사가 떴다 하면 얼굴에 검댕이 바르고 울타리 아래로 숨어들었다. 험한 일 피하려 일찍 출가했다고 달라진 것은 없었다. 말 그대로 뒤웅박 팔자였다. 젊은 나이에 초년 과부가 되어 유복자나 다름없는 아들을 키우느라 몸과 마음이 구멍 뚫린 고목처럼 녹아내렸다. 세상을 살아내며 힘들 때마다 여자로 태어난 게 죄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손녀가 줄줄이 다섯이라니. 저 애물단지들을 어떡한다? 커나가는 애들을 늘품 있는 눈길로 바라보면 좋을 터인데 그리 늡늡하기가 힘들었다. 짠하다 싶다가도 할머니 입에서는 속말이 튀어나오곤 했다. ‘아무 씰 데 없는 지지바덜’과 ‘빌어먹을 가시나덜’이 노래 후렴처럼 따라붙었다.

어머니 가슴은 수시로 금이 갔다. 딸을 줄줄이 사탕처럼 낳은 게 ‘죄 아닌 죄’였다. 백면서생인 아버지는 세상일에 초연했고, 어머니 혼자 동동거리다가 뜨거운 말을 삼켜야 했다. 그럴 때마다 가슴엔 빗금이 늘어갔다. 여자로 태어난 게 죄다, 이 말을 딸들에게는 물려주고 싶지 않아 입을 앙다물고 힘껏 달렸으나 삶은 널뛰기나 다름없었으니.

막사발을 다시 본다. 사발 둘레에 자잘한 금들이 어른거린다. 다른 것들은 자연스레 이어지는데 유독 한 줄만 움푹하다. 갈색으로 깊게 파인데다 결도 다르다. 흉터 같기도 하고 어찌 보면 난초 한 잎 휙 스친 거 같다. 사선으로 늘어진 이파리가 아슬아슬하다. 조금만 힘을 주면 깨지고도 남았을 터인데 그릇은 용케 버티고 있다.

그 무늬에 얼굴 하나 얹힌다. 어려서부터 구석 차지로 외돌던 여동생이다. 형제들의 액을 다 짊어진 듯 유독 힘들게 컸다. 오월 바람처럼 훨훨 날아다니고 싶었으나 현실에 갇혀 몸과 마음이 어두워졌다. 세월보다 더 빨리 삭아가는 딸, 약봉지를 친구 삼아 휘청휘청 걸어가는 그 뒷모습을 지켜보는 어머니의 가슴은 얼마나 사무쳤을지. 어릴 때 좀 더 보듬지 못했나 싶어, 사금파리 같은 딸을 등짐 지고 애면글면하며 생의 내리막길을 걸어가야 했던 어머니다.

당신은 흙으로 돌아가셨다.

그릇은 이제 자유롭다. 자기 앞의 생을 끌어안느라 누렇게 바랬지만 듬직하고 따스하다. 빗금과 빗금을 잇대어 안을 보듬고, 거친 틈새조차 그만의 문양으로 쓸어 담았다. 생의 차가움과 뜨거움을 자신의 무늬로 삭혀낸 것이다. 그 안에 보이지 않는 말들이 수북하고, 깊어질 대로 깊은 마음이 무념무상으로 담겨 있다. 낡고 금이 간 막사발 하나, 어느 골동품보다 당당하다.

참 먼 길을 걸어온 어머니가 거기 계시다.

출처 - pinteres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