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today:
511
yesterday:
730
Total:
1,373,567


추천 수필

Articles 1,728
No.
Subject
Author
Notice 디카에세이 우산-최장순 수필가
정조앤
Jan 06, 2021 2537
Notice 수필가 반숙자 초기작품- 수필집 <몸으로 우는 사과나무> 80편 file
admin
Mar 16, 2016 17674
468 댕댕이 신 한 켤레 / 박금아
정조앤
Jun 16, 2023 85
댕댕이 신 한 켤레 / 박금아 난분분한 나뭇잎들이 만추의 스산함을 더하고 있었다. 늦은 밤, 서울대입구역에서 집으로 오는 길섶에서였다. 가막덤불 속에서 푸른 열매 몇 개가 언뜻언뜻했다. 가랑잎을 치우자, 진한 물빛이 도는 파랑이들이 눈을 동그랗게 뜨...  
467 글탓 / 김종란
정조앤
May 30, 2023 85
글탓 / 김종란 쥑일 놈, 벨아처먹을 놈, 다리몽디를 뿐지를 놈, 모질고 사나운 욕지거리가 내 앞에서 쏟아진다. 그럴수록 나는 태연하다. 입말보다 글말을 생각해야 한다. 껍데기 말은 던지고 고갱이 말을 찾아내야 한다. 처음에는 이웃 할머니가 들고 온 편...  
466 무언(無言) / 박종숙
정조앤
Apr 17, 2023 85
무언(無言) / 박종숙 아버지는 지금도 내 가슴에 커다란 거목으로 살아 계신다. 동네 입구를 돌아서면 떡 버티고 서서 마을을 지켜주던 믿음직스러운 느티나무처럼 나를 지켜주는 절대자이시다. 비록 이 세상에 살아 계시지는 않다 하더라도 보이지 않는 곳에...  
465 초생달 / 최장순
정조앤
Jan 22, 2024 85
초생달 / 최장순 "잰 며느리가 초생달을 본단다." 서쪽 하늘이 익숙한 말을 건넨다. 대숲을 건너가는 바람은 그때와 다름이 없는데 이미 이 숲을 지나 먼 곳으로 돌린 발걸음. 어머니는 왜 그토록 달에 정을 주셨을까. 그것도 초저녁 막 돋아난 저 별에게. 몇 ...  
464 고산준령을 오르며 / 변종호
정조앤
Dec 16, 2022 85
고산준령을 오르며 / 변종호 가기 싫다고 아니 갈 수도 미룰 수도 없다. 정해진 길이 아니라 예측 불가하며 가는 길이 서로 다르니 끝까지 함께 할 이도 없다. 더러 주저앉지만 다시 일어서 가야 하는 길고도 지루하며 험준한 산행이다. 폭염에 덕유산을 낙점...  
463 가로수의 마지막 여름 / 전성옥 1
정조앤
Aug 05, 2022 85
가로수의 마지막 여름 / 전성옥 이제, 저 나무들은 어디로 가게 될까. 어디서 어떤 최후를 맞게 될까. 저 측은한 팔자를 어찌할꼬…. 길을 오갈 때마다, 나무들을 볼 때마다 속이 아린다. 양정에서 부전에 이르는 오래된 도로 '부전로', 부산의...  
462 다섯 섬인지 여섯 섬인지 / 유병근 file
정조앤
May 27, 2022 85
 
461 젊은 가장의 하루/ 조성현
정조앤
May 23, 2022 85
젊은 가장의 하루/ 조성현 밤 11시가 넘었다. 그녀는 앞섰고 나는 뒤를 따랐다. 조금 전 그녀가 한 말은 “따라오세요” 한마디뿐이었다. 지나는 골목은 깊은 어둠에 덮여 있었다. 다만 전봇대에 걸려있는 백열등과 낡은 집 문간방 창문을 비집고 ...  
460 내 앞의 문 / 성낙향
정조앤
Jun 05, 2022 85
내 앞의 문 / 성낙향 손이 비트는 방향으로 노상 순하게 돌아가던 문고리였다. 내 의지대로 열리고 닫히던 문이었다. 당연히 그럴 거라고 여겼던 문고리가 난데없이 저항했을 때, 마치 그것으로부터 격렬하게 거부당하는 느낌이 들었다. 문의 완강한 저항, 나...  
459 웃는 보살 / 남정언
정조앤
Mar 23, 2022 85
웃는 보살 / 남정언 솔바람 길은 언제나 열려 있다. 혼자 걷거나 여럿이 걸어도 좋다. 운문사 가는 길은 반듯하게 닦은 도로와 물소리 바람 소리가 이끄는 계곡 따라 사리암으로 이어지는 길이 있다. 어느 길을 가더라도 호흡이 힘들지 않다. 여름 야생화는 ...  
458 구멍 뚫린 나비의 비상 / 박일천
정조앤
Feb 21, 2022 85
한 여인이 미소 짓고 있다. 웃는 것인지 애수에 잠긴 표정인지 도무지 종잡을 수 없는 모나리자의 미소다. 갸름한 얼굴에 오뚝한 콧날, 빛나는 눈동자. 야무진 입술 사이로 흘러나오는 소설보다 더 애절한 이야기. 차분히 말하다가도 어느 순간 말없이 허공을...  
457 서리 맞은 화단 / 김태길
정조앤
Feb 21, 2022 85
서리 맞은 화단 / 김태길 마루 끝에 걸터앉아 볕을 쪼인다. 뜰의 손바닥만 한 화단이 된서리나 겪은 듯이 초라하다. 칸나 두 폭만이 아직도 싱싱한 잎을 지니고 있을 뿐, 나머지는 거의 전멸 상태에 있다. 떡잎 진 옥잠화, 흔적만 남은 채송화, 패잔병처럼 축 ...  
456 텅 빈 충만함을 찾아 / 임미리
정조앤
Feb 05, 2022 85
텅 빈 충만함을 찾아 / 임미리 “무소유 길”이라고 쓴 이정표가 저기 보인다. 저 길 끝쯤에 불일암이 있다는 의미다. 언제부턴가 한번 가봐야지 하는 마음이었는데 이제야 오게 되었다. 너무 늦게 왔다는 생각을 한다. 하지만 이제라도 암자를 찾게...  
455 미곡 소분기(米穀 小分記) / 조이섭
정조앤
May 19, 2021 85
미곡 소분기(米穀 小分記) / 조이섭 주방 구석에 어제 없던 물건 하나가 눈에 띄었다. 한 말들이 쌀자루가 목에 타이를 질끈 동여매고 있었다. 아마도 시골 사시는 사돈이 보내온 것일 게다. 나는 맞벌이하는 아들네 집에 쌍둥이를 돌보러 다닌다. 이 나이에 ...  
454 평상학개론 / 김인선
정조앤
Feb 07, 2023 85
평상학개론 / 김인선 평상은 나누는 걸 좋아하는 우리의 자리였다. 식구들을 불러 모아 저녁밥을 퍼주었고 이웃이 오면 긴 이야기에 귀를 기울였다. 앉으면 앞산이 보였고 누우면 별들이 쏟아졌다. 아이들 따라 밤하늘의 반짝임을 헤아릴 땐 한없이 순수했고,...  
453 아버지의 계절 / 박모니카
정조앤
Nov 01, 2023 84
아버지의 계절 / 박모니카 마당가 토란잎에 이슬방울이 송글거린다. 토란 줄기가 딛고 있는 질펀한 흙 위에는 어디로 튈 줄 모르는 청개구리 한 마리, 앞다리를 모으고 있다. 어둠이 깔려있는 새벽, 동틀 기미인지 하늘 끝이 꿈틀거린다. 이미 붉은 볏을 단 해...  
452 모서리를 매만지다 / 송복련
이현숙
Oct 20, 2023 84
모서리를 매만지다 / 송복련 내 말이 떨어지기가 무섭게 남편이 화를 벌컥 낸다. 예민한 부분을 건드린 것인가. 애써 평온한 척했지만 속은 무던히 끓고 있었나 보다. 이번 명절은 복잡한 심사로 차례를 지내러 가지 못했다. 조상에 대해 면목이 없어 마음이 ...  
451 너물 비짐밥 / 염정임
정조앤
Jul 19, 2023 84
너물 비짐밥 / 염정임 통영이 제 이름을 찾았다. 수십 년 동안 충무라는 이름으로 불리다가 통영이라는 본래의 이름으로 다시 불리게 된 것이다. 부모님의 고향인 그곳은 내 기억의 우물 같은 곳. 어린시절, 방학이 되면 마산에서 배를 타고 외갓집이 있는 통...  
450 나비의 출근길 / 강천
정조앤
Nov 22, 2022 84
나비의 출근길 / 강천 배칠배칠 나비 한 마리가 사거리 건널목으로 날아온다. 막 해 뜨는 시간, 나비가 나돌아다니기에는 아직 이른 때다. 힘이 실리지 않은 날갯짓이 어딘지 어수룩해 보인다. 지난밤 잠자리를 잘못 골라 아침 산책 나온 사람의 발길질에 내...  
449 우리에게도 아직 '3초'가 남아 있다 / 배연국 file
정조앤
Oct 14, 2022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