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today:
568
yesterday:
730
Total:
1,373,624


추천 수필

Articles 1,728
No.
Subject
Author
Notice 디카에세이 우산-최장순 수필가
정조앤
Jan 06, 2021 2537
Notice 수필가 반숙자 초기작품- 수필집 <몸으로 우는 사과나무> 80편 file
admin
Mar 16, 2016 17674
1548 고마운 악처들 / 김소운
정조앤
Sep 16, 2018 365
고마운 악처들 / 김소운 아는 이의 댁에, 짖을 적마다 모가지에서 풀무 소리를 내는 늙은 개 한 마리가 있다. 도시에서 개를 기른다는 것은 집을 지키자는 것이 주목적이다. 더러는 애완용으로 개를 두는 이도 있으니, 만성 천식증에 걸린 이 노견은 어느 모로...  
1547 돌탑에 이끼가 살아있다 / 김종희
정조앤
Mar 27, 2017 365
돌탑에 이끼가 살아있다 / 김종희 <고인돌의 루트>를 따라 삶과 문화의 족적을 좇아가는 프로그램을 본다. 야산에 흩어진 돌의 군락을 고인돌로 밝혀내고 민족과 문화의 이동을 풀어가는 내용이다. 돌 하나에 우주를 담고, 그 속에 암호 같은 흔적을 해석하는 ...  
1546 덕자 만나다 / 구활
정조앤
Dec 27, 2020 364
덕자 만나다 / 구활 덕자는 못 만날 줄 알았다. 만날 가망이 없었다. 덕자가 살고 있는 곳은 대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전라도여서 길이 너무 멀었다. '죽을 때까지 못 만나면 어쩌나'하고 생각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못 만나도 그만이지'하고 포기해 버리...  
1545 자작나무 숲에 떨어진 별똥별 / 구활
정조앤
Sep 08, 2018 363
자작나무 숲에 떨어진 별똥별 / 구활 자작나무 숲길을 걷는 꿈을 간혹 꾼다. 연전에 강원도 인제 원대리의 눈 내린 자작나무 숲길을 한 바퀴 돌아본 것이 자작나무와 맺은 인연의 전부일 뿐인데 왜 꿈길에서 그곳을 헤매고 다니는 걸까. 꿈에 만나는 숲길은 강...  
1544 바위 아래 개 두 마리 / 존 버거
정조앤
Jun 17, 2019 362
바위 아래 개 두 마리 / 존 버거 토니오는 내 가장 오랜 친구 중 하나다. 우리는 거의 반세기 동안 서로 알고 지냈다. 지난 해 함께 건초를 옮긴 어느 더운 날, 목이 말라 음료수와 커피를 마시면서 그에게서 들은 얘기다. 이제 내가 아는 한, 소물이꾼 안토닌...  
1543 지중해의 여름 / 한복용
정조앤
Jun 16, 2018 360
지중해의 여름 / 한복용 푸른 물감을 맘껏 풀어놓은 듯한 지중해 해변에 나는 지금 앉아 있다. 이글거리는 아스팔트를 따라 호텔에서부터 십여 분쯤 걸어 나왔다. 멀리 타우루스산맥이 건너다보이고 바람은 그곳으로부터 줄기차게 불어온다. 망연히 서서 산 정...  
1542 붓 한 자루 / 맹난자
정조앤
Feb 20, 2018 359
붓 한 자루 / 맹난자 가난한 침선공이 바늘을 의지하듯 나는 평생을 붓 한 자루에 기대어 살아왔다, 미술이나 음악처럼 비싼 재료나 고급 악기가 요구되지 않는 문학은 다만 붓 한 자루면 가능했기 때문이다. 돈이 들지 않는 독서 또한 고단孤單한 내게 유일한...  
1541 당신의 의자 / 이정림
정조앤
Mar 13, 2017 359
당신의 의자 / 이정림 우리 집에는 의자가 많다. 혼자 앉는 의자, 둘이 앉는 벤치, 셋이 앉는 소파…. 언제부터 우리 집에 그렇게 의자가 많이 생겼는지 알 수가 없다. 분명 소용이 있어서 사들였을 텐데, 정작 우리 집에는 한 개만 있으면 족하지 않던...  
1540 편지 / 변해명
정조앤
May 18, 2020 358
편지 / 변해명 육필로 써 보내는 편지에선 그 사람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편지 겉봉만 보아도 그리움이 피어나고, 목소리가 떠오르고, 그 사람의 체취를 느끼게 된다. 보낸 사람의 이름을 읽는 순간 반가움과 고마움에 가슴이 떨리고 나를 잊지 않고 기억해 ...  
1539 봄날 / 이필선 file
정조앤
Feb 19, 2019 358
 
1538 다시 수필이다/ 정성화 file
정조앤
Jun 11, 2021 357
 
1537 함수로 바라본 자유와 도(道) / 전병덕
정조앤
May 22, 2016 356
함수로 바라본 자유와 도(道) / 전병덕 비가 내린다. 거센 장대비다. 예보에도 없던 장대비가 줄기차게 쏟아져 내린다. 그렇게 비는 저물녘 한 시간 가까이 마구 퍼부어 내렸다. 베란다에서 내다보이는 왼쪽 문암산과 오른쪽 응봉 등성이가 빗줄기와 내려앉은 ...  
1536 탱고, 그 관능의 쓸쓸함에 대하여 / 맹난자
이현숙
Mar 25, 2016 356
봄이 이울자 성급한 덩굴장미가 여름을 깨운다.   아파트 현관문을 나서다가 담장 밑에 곱게 피어난 장미 꽃송이와 눈이 마주쳤다. 투명한 이슬방울, 가슴이 뛴다. 그리고는 알 수 없는 통증이 한 줄기 바람처럼 지나가는 것이다. 6월의 훈향이 슬며시 다가와 ...  
1535 자코메티의 계절 / 문경희
정조앤
Dec 09, 2020 355
자코메티의 계절 / 문경희 겨울 연밭은 폐사지 같다. 스산하다 못해 괴괴하다. 여며 싸고 친친 감아도 몸보다 마음이 체감하는 기온으로 뼈마디가 시려온다. 이따금 얼어붙은 수면을 박차고 오르는 철새들의 따뜻한 인기척이 아니라면 무엇으로 이 냉기를 견...  
1534 꽃은 여전히 아름다운데 / 김훈
정조앤
Mar 02, 2020 355
꽃은 여전히 아름다운데 / 김훈 옆집에서 마당에 매화나무를 심었다. 올 봄에 꽃이 피었는데, 구름 같았다. 내 방에서 이 나무가 잘 보인다. 그래서 옆집에서 심은 나무는 내 집 마당에 심은 나무와 같다. 구태여 돈 들이고 수고를 들여서 제 집 마당에 나무를...  
1533 지팡이 소리 / 허세욱
정조앤
Mar 12, 2019 354
지팡이 소리 / 허세욱 할아버지는 내가 태어나기 십 년 앞서 세상을 뜨셨다. 기미년 만세 사건 때 왜경의 참혹한 고문을 당하시고 그 길로 신병을 얻어 돌아가셨다니, 그게 내게는 한으로 깔렸고, 할아버지 제삿날마다 오열하시는 아버님의 곡을 통해 내게는 ...  
1532 베껴먹다 / 마경덕
이현숙
May 24, 2018 351
베껴먹다 / 마경덕   어머니는 할머니를 베껴 먹었고 나는 어머니를 베껴 먹고 내 딸은 나를 베껴 먹는다. 태초에 아담도 하나님을 베껴 먹었다. 아담 갈비뼈에는 하와가 있고 내가 있었다. 지구에 사는 모든 여자들은 하와의 사본이다. 금성 목성 토성 화성……...  
1531 참새가 그리운 아침/ 한경선
정조앤
Mar 27, 2017 351
참새가 그리운 아침 / 한경선 호사스럽게도 이 아침에 맘껏 게으름을 피우고 있다. 아이들은 방학을 했고, 새벽밥을 먹고 쫓기듯 들녘으로 나서야 할 농번기도 아니다. 어른들이 아침을 재촉하기에는 너무 이르다. 이불 속에서 이미 달아난 잠의 뒤끝을 잡고 ...  
1530 내 안의 빈집 / 심선경
정조앤
Jun 08, 2020 349
내 안의 빈집 / 심선경​ ​ ​ 해거름에 나선 뒷산 산자락에 쑥부쟁이 꽃이 흐드러지게 피었다. 숲 속 산책로의 가래나무 가지 사이, 낯선 거미집 하나가 달려있다. 가던 길을 멈추고 불안한 시선을 조심스레 그물망에 건다. 무심코 날다 걸려들었을 큰줄흰나비...  
1529 바람기 많은 달 / 구활
정조앤
Apr 23, 2018 349
바람기 많은 달 / 구활 달은 바람기가 많다. '휘영청'이란 낱말만 봐도 달이 감추고 있는 속뜻을 알만하다. '휘영청'이란 달의 수식어는 무엇을 갈구하는 여인네의 낭창낭창한 가녀린 허리 곡선을 연상시킨다. '휘영하다'는 말은 뭔가 허전하다는 뜻이다. 허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