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여정  

 

 공포와 두려움에 갇힌 적이 있었다.

 내 어깨에 올리브만 한 크기의 뭔가 있다고 했다. 그저 물혹인지 악성인지 결과를 기다리는 날이 길어져서 두려움이 몰려왔다. 건강에 문제가 있을 때마다 내 삶이 왜 이리 힘들까 생각하곤 했다.

 

 미국의 에드워드 윌슨은 지구의 정복자라는 책을 저술했다. 이 책의 부제는 우리는 어디에서 왔으며, 우리는 누구이며, 어디로 가는가?’이다. 이것은 고갱의 화폭에 그려진 실존적 질문으로부터 시작한다고 했다.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우리는 무엇인가, 어디로 가는가?’라고 하는 이 철학적인 제목으로 폴 고갱이 남태평양의 타히티섬에서 10여 년간 머물렀을 때 139.1374.6cm의 크기로 올이 굵고 고르지 않은 자루용 마포 위에 이 걸작을 남겼다. 이 작품은 보스턴 미술관에 소장 중이다. 뚜렷한 윤곽선과 그림자가 없어 평평한 느낌을 주는 바탕과 강렬한 색채가 고갱 그림의 특징이다.

 

 고갱은 프랑스의 상징주의를 대표하는 예술가이지만 극심한 가난과 좋지 않은 건강으로 자살을 시도하기도 했다. 유서처럼 이 대작을 끝내려고 한 달 내내 고열에 시달리면서 밤낮을 가리지 않고 이 작품에 매달려서 한 달 걸려 1897년에 완성했다고 한다. 고갱은 친구 몽프레에게 보낸 편지에 이 작품에 관해 적었다. 이 작품에는 인간이 태어나 살면서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인생행로를 나타내고 있다. 고갱 자신의 감정과 내면을 보여 주고 인간이 갖는 깊은 고민과 불안을 표현하고 있다. 나는 이 작품을 보며 믿음과 행동이 분리되어 흔들리는 자신을 발견하고 그동안 나를 억누르고 지배해 온 두려움을 떨쳐 버리려고 애를 썼다.

 

 이 작품에는 3가지 주제가 담겨있다.

 오른쪽의 세 여인과 어린아이의 모습은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에 대한 주제를 보여 준다. 여기에서 우리는 우리 조상에게서 나왔다고만 할 것이 아니다. 우주 속으로 들어가 창조주의 계획으로 태어났다고 할 수 있다. 어깨와 팔이 아파서 힘들고 두려워 하는 현재의 삶 속에서 결국 내게 힘주시는 하나님을 찾는다.

 다음은 우리는 무엇인가?’에 대한 주제로 화면 중앙에 과일을 따고 있는 젊은 남자가 살면서 더 많은 것을 원하는 인간의 욕망을 나타내고 그를 통해 현재의 나를 바라본다. 이 그림을 보면서 나는 과연 무엇을 위해 살고 있는가를 되짚어 본다. 내가 바라는 것은 소유가 아닌 가치있는 삶을 따르고 있음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어디로 가는가?’라는 주제는 왼쪽 가장자리에 웅크리고 귀를 막고 다가오는 고통으로 괴로워하는 늙은 여인의 모습에서 두려움 속에 있는 인간의 미래를 나타낸다. 이 부분에서 나는 흔들림 없는 믿음으로 거듭나고 미래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창조주가 원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재차 확인한다.

 

 이 그림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인간이 태어나서 이루는 삶과 죽음에 대한 질문을 하고 있다. 왼쪽 윗부분에 타히티섬의 전설 속 여신, 히나의 상이 있고 여신 곁에 고갱의 죽은 딸 알린을 그렸다고 한다. 이 신의 힘으로 딸을 살리고 싶은 마음이 느껴진다. 고갱 자신도 죽음을 앞둔 시점에서 죽음이 가까운 노인을 통해 모든 것을 포기하고 운명에 맡기는 모습을 본다. 온 곳도 없고, 아무것도 아니며, 갈 곳도 없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고갱 자신도 나처럼 인생의 무게가 무거워 삶에서 벗어나고 싶었을 게다. ‘불안과 의심을 합리화하지 말고 내 믿음을 헤집어 놓은 것에서 벗어나 감사하며 가치 있는 삶을 살라고 하는 창조주의 음성을 듣는다.

 고갱은 자신의 예술적인 능력과 창의성을 살려 자신의 유언과 같은 그림을 통해 인간의 마음과 인생 여정에 관한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전달하였다.

 

 시각적인 표현과는 달리 삶의 가치와 의미, 삶과 죽음에 관한 깊은 생각을 다루고 있는 모리 교수에 관한 이야기가 떠올랐다. 고갱의 걸작이 완성된 후 100년이 지나 미치 앨봄Tuesday with Morrie라는 회고록을 썼다. 이 책에서 모리 교수가 죽기 전까지 화요일마다 14번에 걸쳐 만난 제자, ‘미치에게 남겨준 교훈이 기억난다. 무엇보다도 인간관계를 중시하여 삶의 가치를 찾고 자기 경험을 공유하여 다른 사람에게 영감을 주라고 했다. 특별히 죽음도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고 일상의 삶을 날마다 완벽한 날로 여기며 감사하며 살라는 이야기로 감동을 준 모리 교수의 말이 마음속에서 떠나지 않는다.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통해 죽음을 인식하여 대작을 남긴 철학적인 고갱의 삶과 노년에 루게릭병으로 고생하는 모리 교수의 긍정적인 삶을 발견한다. 두 사람의 인생관이 겹치면서 작은 바람에도 크게 흔들리는 내 마음을 다잡아 본다. 내 삶을 향한 끝이 없는 욕망과 유한한 존재 사이에서 일어나는 근심, 고민, 두려움의 갈등을 내던지고 목적으로 이끄는 신앙인의 삶을 떠올린다. 죽음과 공포심을 일으키는 두려움이 아니라 창조주에 대한 존경과 선하심으로 가득 채우는 외경의 두려움을 지녀야겠다. 죽는 순간까지 조물주를 경외하며 걱정과 두려움을 멀리하며 사는 것이 지혜로운 인생길로 연결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