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두 빚는 날
이희숙
새해 설날이 되면 떠오르는 음식이 있다. 어릴 적 엄마를 따라간 방앗간에서 몽실몽실 김이 피어나며 두 줄기로 내려오던 떡가래를 보며 입맛을 다셨다. 하얗고 보드라운 촉감은 은은한 맛이 있었다. 며칠 후 야들야들하게 굳어진 떡가래를 도마에 놓고 서툰 솜씨로 일그러진 동그라미 모양으로 비틀비틀 잘랐다. 그 떡으로 푹 곤 사골 국물에 떡국을 끓여 먹었다. 난로 위에 노릇하게 구운 후 조청에 찍어 먹었던 가래떡은 고향의 맛으로 기억된다.
시집을 가니 시어머니는 설날엔 으레 황해도식 만두를 빚으셨다. 큰 상 위에 반죽한 밀가루를 펴고 밀대로 얇게 밀어 만두피를 만들었다. 고기와 갖은 야채를 다져 넣어 만두 속을 만드는 게 손만두 비법이다. 가족이 함께 빚은 만두를 냉동실에 얼려 놓고 겨우내 끓여 먹었다. 나는 속내를 비치지 못하며 친정에서 먹던 떡국을 그리워했다.
딸과 손주가 만두를 만들고 싶다고 했다. 할머니가 만들어주던 손만두에 대한 향수가 남아 있어서리라. 새해 첫날 만두를 빚는 날로 정하고 손주, 조카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손자가 운동으로 다져진 근육의 팔로 밀가루를 반죽했다. 철썩철썩 치대며 끈기를 더했다. 부엌 아일랜드 위에 밀가루 반죽을 넓게 펼쳤다. 오랜만에 서랍 속에서 찾아 꺼낸 밀대로 힘껏 밀었다. 쫀득하고 얇게 빚으려 손자의 콧잔등에 땀이 보송보송 맺혔다. 그 위에 그릇 뚜껑으로 찍어 동그라미를 오려냈다.
다른 편에선 손녀가 고기와 양파를 다지고 두부를 으깨어 물기를 빼고 만두 속을 만들었다. 숙주와 콩나물을 구분 못한 딸 덕분에 콩나물의 머리를 떼어내는 데 시간을 소비해야 했다. 매운 양파 내음에 흐르는 눈물을 애써 참는 손녀의 모습이 기특했다. 손자가 좋아하는 김치를 많이 넣기로 했다. 소금, 후추 간을 하니 감칠맛이 더해졌다. 할머니 입에 넣어주며 “salty예요?” 간을 보아달라고 했다.
양푼에 담긴 만두 속을 숟가락으로 떠 만두피 위에 얹었다. 만두피를 맞붙여 반달 모양을 만들고 주름을 잡고 끝을 둥글게 맞물렸다. 적당량을 가운데 올리고 양쪽 끝 부문에 물을 둘러 접착하는 방법이 생각처럼 쉽지 않은가 보다. 일그러진 달, 뭉툭한 네모 모양의 만두도 어엿이 자태를 뽐내었다. 손끝에서 맛이 나온다고 하지 않았던가. 만두 속을 꾸우 꾹 눌러 배가 통통한 만두를 빚었다. 이크! 불룩한 배 한 귀퉁이가 터져 피식 손녀의 웃음이 터졌다. 땜질하며 욕심을 조금은 내려놓으려 애쓰는 듯했다. 손자는 자기가 좋아하는 음식을 많이 넣고 싶다고 했다. 우리는 새해에 바라는 것들을 넣자고 했다. 기쁨과 소망을. 그러다 가끔 불평과 실망도 들어가겠지만. 마주 바라보며 가족의 정겨운 이야기도 담아 보았다. 푸른 용의 힘찬 기운을 만두 속에 넣고 한소끔 끓여 냈다.
나는 떡국을 곁들여 떡만둣국을 끓였다. 떡과 만두가 만나 환상의 맛을 우려냈다. 밀가루 범벅인 된 손자 손녀는 입이 귀에 걸려 있다. 타인종인 사위는 뜨거운 떡만둣국을 "시원하다!"며 들이킨 후 인사한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아름다운 만두 빚는 가족의 모습이 선합니다. 딸과 사위, 손자, 손녀 온 가족이 다정하게 모여 만두를 빗는 모습, 사랑이 넘쳐나는 새해 설날의 풍경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