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라이팅

 

가스라이팅(gaslighting) 또는 가스등 효과(gas燈效果)는 심리적 조작을 통해 타인의 마음에 스스로에 대한 의심을 불러일으키고 현실감과 판단력을 잃게 만듦으로써 그 사람에게 지배력을 행사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패트릭 해밀턴(Patrick Hamilton)의 연극을 원작으로 한 1944년 미국의 영화 〈가스등〉(Gas Light)에서 유래한 말이다.

 

가스라이팅은 정신적 학대(emotional abuse)의 한 유형으로, 가스라이팅은 가정, 학교, 군대, 직장 등 일상 생활에서 주로 발생할 수 있다.

 

정치계나 연예계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가스라이팅 구사자들은 상황 조작을 통해 상대방의 자아를 흔들어서 자신의 영향력을 증폭시켜 상대방을 자유자재로 다루거나 그 사람이 가진 재산 등을 탈취할 수도 있다. 가스라이팅 피해자는 자신에 대한 신뢰감을 잃어가게 되고 결국에는 자존감이 없어진다. 가해자들은 상대방의 공감능력을 이용해서 상대방을 통제할 수 있다. 이런 심리술을 이론화한 로빈 스턴은 미국에서 20여 년간 심리상담가, 교사, 우드헐리더십연구원으로 일하면서 수많은 상담을 진행해온 리더십 강사 및 컨설턴트였다.

 

주로 친밀한 관계에서 이루어지나 이러한 관계는 수평적이기보다 비대칭적 권력으로 누군가를 통제하고 억압하려 할 때 나타난다. 관심과 간섭의 경계에 있는 경우도 많아 법적 처벌까지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상당수다.

 

 

영화 '가스등'

 

# 영화 Gaslight (1944년)

 

가스라이팅이라는 용어는 가스등 (1944년 영화)에서 유래한다. '그것은 사랑이 아니다'의 작가이자 미국 정신분석 심리치료사인 로빈 스턴은 1948년에 잉그리드 버그먼샤를르 보와이에가 주연한 영화로 만들어지기도 했던 가스등(Gas Light)의 제목을 인용해 가스라이팅(Gaslight Effect)이라는 심리학 용어를 만들었다. 미국에서는 1944년, 한국에서는 1948년에 개봉했다.

 

가스라이팅은 1938년 영국에서 공연된 연극 '가스등'에서 유래했다. 영화로도 각색된 이 연극은 아내의 재산을 노리고 결혼한 남편이 온갖 속임수와 거짓말로 멀쩡한 아내를 정신병자로 만드는 과정을 그렸다. 남편은 집안의 가스등을 일부러 희미하게 해놓고 아내가 어둡다고 할 때마다 "당신이 잘못 본 것" "왜 엉뚱한 소리를 하느냐"고 계속 핀잔을 준다(tell her off). 또 주변 환경과 소리까지 교묘히 조작해서 현실감을 잃도록 해 갈수록 스스로를 믿지 못하고 자책하며 가해자에게 의지하게 만든다. '가스등 효과(Gaslight Effect)'라는 심리학 용어는 여기에서 생겨났다. 이런 행위를 하는 자는 '가스라이터'라고 한다.

 

 

# 파트리시아 에반스(Patricia Evans)의 주장에 따르면 가스라이팅 학대 방법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이러한 행위가 점진적으로 이어지면서 피해자는 자존감이 낮아지고 가해자의 생각에 동조하게 된다는 것이다.

  • 거부 : 피해자의 의견을 거부하거나 이해하지 않는다.

  • 반박 : 피해자의 기억을 불신한다.

  • 전환 : 피해자의 생각을 의심한다.

  • 경시 : 피해자의 요구나 감정을 하찮게 여겨지게 만든다.

  • 망각 : 실제로 발생한 일을 잊은 척 하거나 부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