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벼락 맞던 날 / 김서령

 

어릴 적 내 이름은 웅후였다수웅자 뒤후자뒤에 사내동생을 낳으라는 염원이 담긴 작명인데그건 나만의 소유는 아니었다내 이름은 고모 이름 후웅을 거꾸로 뒤집은 것이었다고모의 고모는 웅후’, 고모는 후웅’, 나는 웅후’. 대를 거듭하며 우리 집안 딸들의 이름은 반복됐다딸의 이름은 이를테면 사내동생이 태어날 길을 터주는 전령 노릇을 맡긴다는 임명장이었다여러 입에 자꾸 불리면서 이름은 일종의 주문이 돼버렸다그 효력은 탁월해 고모에게는 아버지가내게는 남동생이 생겨 대문 앞에 떠들썩하게 고추를 매단 금줄을 치는 날이 왔다각자 남동생이 태어나던 날우리 숙질은 30년의 간극이 무색하게 똑같은 방식으로 사랑어른들에게서 사랑스럽게 머리가 쓰다듬어졌다이전에 나는 그저 결손을 증명하는안타까움을 환기하는 존재일 뿐이었다설령 칭찬을 들어도 고추나 하나 달고 나오지이것아.”라는 탄식 끝에 툭 떨어지는 손끝이 우연히 내 머리에 닿았을 뿐이라고 느꼈다.

 

1974년 1월 1친구 희경과 나는 이른 아침 소금벼락을 맞았다대구의 어느 우동집 앞이었다우리는 문안에 들어서지도 못하고 허옇게 소금을 뒤집어썼다막 터뜨리던 웃음을 절반쯤 입에 물고 속수무책 서로 마주보는 사이 상황이 파악됐다그날 이후 우리에겐 장사하는 집에 이른 아침 발길을 하지 않는 자동제어장치가 생겨났다그건 자동이니만큼 스스로 알아서 착착 작동했다자동장치는 날 향해 이렇게도 말했다넌 남을 불쾌하게 만들 소지가 있어조심해까닥하다간 소금벼락을 뒤집어쓰게 돼사람은 살면서 생존의 지혜를 절로 얻게 마련이다그 후 내 머리는 배가 고프면 식당문 안으로 동행한 남자를 슬그머니 먼저 밀어넣도록 프로그램화됐다그 바람벽 뒤에 서 있으면 웃음소리가 웬만큼 커도 방정맞거나 요사스럽지 않았다같은 소리라도 명랑하거나 귀여워 보일 가능성이 세배 정도 커졌다앞세울 남자에게 붙일 이름은 알고 보니 이미 숱하게 마련돼 있었다보호막울타리그늘혹은 주인가장호주!

 

호주제 폐지의 목소리가 드높아졌을 때 내가 먼저 떠올린 것은 30년 전 희경과 함께 맞던 소금벼락이었다그날 우리는 손을 꼭 잡고 걸었다곁에 서로가 없었다면 분을 참기 어려웠을 것이다오후에 우리는 그 식당에 다시 갔다희경이 따졌다. “아줌마도 여자면서 도대체 왜 그러세요?” 주인은 사람 좋게 웃었다. “그러니까 여자를 죄인이라 카제.” 한사코 쥐어주는 오뎅 두개를 우리는 거절했다항의가 고작 그 정도에 그친 건 아줌마가 죄인죄인” 하며 자꾸 손바닥을 싹싹 비볐기 때문이다죄인은 실은 어머니가 노상 입에 달고 살던 익숙한 말이었기 때문이다나중에 어머니를 장례 지내면서 눈이 퉁퉁 붓게 우는 동안 내 발목을 죄고 있던 족쇄가 덜컹 소리를 내며 풀리는 소리를 들었다이젠 내 맘대로다원죄에서 해방됐어!

 

막상 살아보니 세월은 순식간에 흘러갔다나를 웅후라고 부르는 사람들도 세상을 떠났다허전했지만 그만큼 홀가분하기도 했다남동생에게는 지금 딸이 둘 있다동생의 딸은 이제 더 이상 후웅일 필요가 없다후웅 고모는 한 주일에 두어 번 내게 전화하신다. “니 아무개한테 아들 낳으라고 전화했나아들을 안 낳으면 큰 낭패 아이라그라믄 세상이 머가 되노니가 좀 졸라 봐라.” 재촉하신다그러면서 음성에 점점 기운이 빠지는 걸 감추지 못하신다나는 동생을 조르지 않는다삶은 더 이상 의무가 아니다반드시 해야 하는 일의 가짓수가 많을수록 생은 무거워진다나는 중간고리다내 딸과 조카들의 삶에서 죄인이란 말이 없어지게소금벼락에서 해방되게 도와줘야 할 의무가 지금 내게 있다.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