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절은 숲속에서
새 울음소리를 듣고

반나절은 바닷가에서
해조음 소리를 듣습니다

언제쯤 내 울음소리를
내가 듣게 되겠습니까.

 

―조오현(1932∼2018)

 

‘내 울음소리’는 현대 시조이다. ‘시조’라는 말을 듣고 나면 조금 더 보인다. ‘한나절은 숲속에서’, ‘반나절은 바닷가에서’ 이런 표현들이 리듬감 있게 읽혔던 이유가 보인다. ‘언제쯤’이라는 세 글자가 종장의 첫 글자수를 지킨 결과임도 보인다.

 

‘내 울음소리’를 쓴 사람은 시인이면서 스님이고 구도자였다. 이 말을 듣고 나면 조금 더 이해할 수 있다. 시에 등장하는 ‘숲’의 자리에 스님의 암자가 있던 설악산을 놓을 수 있다. ‘바닷가’라는 단어를 읽으며 동해안을 연상할 수도 있다. 결정적으로는 마지막 구절을 깊이 이해하게 된다.

 

사실, 초장과 중장만 읽으면 자연 속 행복한 마음을 노래한 시인가도 싶다. 그런데 아니다. 진정한 마음의 소리를 들으려면 영혼의 귀를 뚫어야 하고, 지혜의 눈을 떠야 한다는 말이었다. 내 마음의 소리도 듣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벗고 깨달음을 찾아 나선 자의 말이다.

 

스님께서는 무엇을 들으셨는지, 듣고 나서 어떠했는지 궁금한 이유는 우리도 간절히 원하기 때문이다. 참된 나를 찾는 것은 삶의 큰 과제이고 문제다.

 

\나민애 문학평론가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