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두를 새로 지어 딸에게 신겨주고
저만치 가는 양을 물끄러미 바라보다
한 생애 사무치던 일도 저리 쉽게 가것네.

―김상옥(1920∼2004)

1970년대에 발표된 초정 김상옥 시인의 시조 한 편이다. 짧고도 간결한 삼행시라 읽기 매끄럽다. 내용상 이 작품은 하나도 슬플 것이 없다. 새 구두와 소중한 딸이 등장하는데 슬플 이유가 무엇인가. 그런데 이상하게 읽으면 눈물이 난다. 곰곰이 생각하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반짝거리는 구두를 신고 사뿐사뿐 경쾌하게 걸어갈 어린 딸은 주인공이 아니다. 이 시의 주인공은 사람이 아니라 ‘다 지나간 한 생애’이다. 그리고 그 생애를 채웠던 ‘사무치던 일’이다. 사무침이 어디 쉽게 없어질까. 그렇지만 시인은 그 모든 서러움을 세월 따라 흘려보내야 한다는 것을 알아버렸다. 그것을 알기 위해서는 마음을 깎아내고, 가슴을 오래 치고, 손발이 거칠어질 만큼의 세월이 필요했을 것이다. 작품이 발표되던 때의 시인은 50대였다. 지천명의 나이가 넘으면 나도 알게 될까. 사무치던 일을 마음에 박아 두지 않고 딸의 뒷모습을 보면서 흘려보낼 수 있을까. 이런 생각을 하게 만드는 원숙미의 작품이다.

아직은 1월, 그래서 2024년이라고 써야 할 자리에 자꾸 2023년이라고 적게 된다. 딱 1년 후에 우리는 2025년의 자리에 지나간 2024년의 이름을 적고 있을지도 모른다. 꼭 지나간 것들이 여운을 남긴다. 그렇지만 이제 1월의 마음을 끝낼 때가 되었다. 이미 지나간 것은 그저 지나가는 것이 맞다고 이 시가 말하고 있으니 말이다.

 

나민애 문학평론가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