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나리자의 웃음

 

 

공 덕 룡

 

 

여러 해 전, 모나리자에 관해 한 편의 글을 쓴 일이 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저 유명한 그림말이다. 모델은 15세기 피렌체의 귀족 죠콘드(Giocond)의 아내라고 전해진다.

차분하고 꿈꾸는 듯한 얼굴의 표정, 겹쳐놓은 두 손의 육감적 아름다움, 풍신한 의상의 질감(質感), 환상적 배경 등 회화가 도달할 수 있는 최고의 표현에 이르렀다 할 것이다. 특히 입가에 감도는 신비스러운 웃음은 흔히 ‘영원한 미소’라고 한다.

 

이렇게 나름대로 그림의 인상을 적었지만, 그 입가에 감도는 신비스러운 웃음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그런 탐색을 시도하지는 못하였다. 그저 ‘야릇한 웃음’이라고 덮어두었던 것이다.

최근 유럽 여행길에서 루브르 박물관에 들렀을 때, ‘모나리자’ 앞에 다시 섰다. 실로 22년 만의 대면이 된 것이다. 그 입가에 감도는 신비스러운 웃음은 여전하였다.

저 웃음은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순간 나는 당돌하게도 임신한 여인의 웃음을 떠올렸던 것이다. 당돌한 착상이지만, 어쩐지 그런 생각이 굳어져 갔다. 아이를 밴 여인의 만족감-그런 감정은 드러내어 웃을 수도 없고, 입을 다문 채 있자니 그런 야릇한 웃음을 짓게 되는 것이 아닐까? 나는 그렇게 생각하기로 하였다.

그런데 그녀의 두 눈을 살펴보니, 그 눈도 무엇인가를 담고는 있는데, 그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헤아릴 수가 없었다.

눈이 짓는 감정의 표현은 입에 비할 바는 아니다. 입은 다물거나, 열거나 둘 중의 하나이다. 다문 입술, 연 모습에 따라 감정을 드러내기는 할 것이다. 그러나 눈은 뜬 채로 여러 감정을 드러낸다. 번쩍 광채를 발하는 눈, 이야기를 걸어오는 눈, 비웃는 눈, 우수에 잠긴 눈 등등 천차만별의 눈 표정이 있다. 그런데 모나리자의 눈은 그런 어느 눈도 아니다. 눈동자는 조금 왼쪽으로 돌아 있다. 그렇다고 곁눈질하는 눈도 아니다. 무엇을 보고 있는 것일 까? 몇 발 뒤로 물러서서 내 눈을 부릅뜨고 그녀의 시선의 방향 을 쫓아 보았지만 허사였다. 혹시 아무것도 보지 않고 있는 것이 아닐까? 눈을 뜬 채 아무것도 보지 않는 눈이 있기는 하다. 어쨌든 신비한 눈이요, 야릇한 눈이다. ‘눈은 입만큼이나 말을 한다.’는 표현이 있지만, 저런 눈은 말이 없다. 역시 무엇인가를 담고 있는데 드러낼 수 없는 것-이를테면 비밀스러운 만족감이 아닐까?

생각이 여기에 미치자 나는 한 해답을 얻었다. 눈이 담고 있는 것과 입이 담고 있는 것이 같은 것일 수 있으리라는 나름대로의 짐작이었다. 눈은 부릅뜨고 입만 웃는 표정은 없을 것이다. 입을 삐죽 내민 채 눈만 웃을 수도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모나리자의 눈과 입은 무엇을 담고 웃고 있는데, 입가에 감도는 미소가 잉태를 의미하는 것이라면, 눈에 어린 웃음도 바로 그것이 아닐까….

그런데 나는 그와 비슷한 눈을 그림이 아닌 살아 있는 여인에게서 본 일이 있다. 전철 차안에서 우연히 보게 된 것이다. 3호선 전철이 금호역을 지나 굴을 빠져 나와 동호대교 위의 옥수역에 정차하였다. 맑은 햇빛이 한강물에 반사되어 차안은 유난히도 밝았다. 나는 무심코 건너편에 앉은 사람 쪽으로 시선이 갔다. 한 30대 여인이 얌전히 앉아 있었다. 그 숙녀를 눈여겨본 것은 아니다. 그저 시선이 닿았을 뿐이다. 그 순간, 그 눈은 어디선가 본 듯한 눈이라는 기억이 떠올랐다. 모나리자의 눈 바로 그것이다. 그 시선은 앞을 보는데, 그 눈은 나를 보는 눈도 아니고, 차창 너머 한강의 경치를 보는 눈도 아니었다. 그 시선은 밖으로 향해 있었지만, 눈은 밖을 보지 않고, 그녀 자신을 보는-그런 눈이었다. 즉 자기의 체내를 보는 눈이었다.

압구정역에 차가 머물자 여인은 좀 무거운 듯한 몸을 일으켰다. 아랫배가 나온 듯하지도 않았지만 나는 직감적으로 그 여인이 잉태한 몸이 아닐까-그런 생각이 떠올랐다.

만일 그렇다면 그 여인의 눈은 자신의 체내의 새 생명을 지켜보는 눈이었을 것이다. 작은 생명의 태동과 발육을 지켜보는 엄숙한 눈이었을 것이다.

이 낯선 여인의 눈매에서 모나리자의 눈웃음의 수수께끼를 풀었다-그런 생각을 하고, 벽에 걸린 모사화 모나리자를 다시 눈여겨보니, 아랫 눈꺼풀 밑에 한줄기 그늘이 져 있었다. 그 풍신한 의상도 임부가 입는 옷이 아니었을까.

 

공덕룡(1923년 7월 29일 평안남도 덕천군에서 태어남)은 교수이자 수필가로 활동한 사람이다.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하였다.

단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1964년 단국대학교 문리대학 영어영문학 교수가 되었다. 1970년 단국대학교 중앙도서관 관장, 1981년 단국대학교 영미문화연구소 소장을 역임한 그는 1987년 단국대학교 대학원 원장에 선출되었다. 1988년부터 단국대학교 문리대학 영어영문학 교수.

2006년『약한자여 그대 이름은 남자』로 제43회 한국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작품집
 

  • 도깨비와 아이스크림 (1992)
  • 수필이 뭐길래 (1995)
  • Modern Essays (1995)
  • 영미어 문학 자료사전 (1997)
  • 약한자여 그대 이름은 남자 (2004)

수필집

  • 분뇨담 (1957)
  • 서울에 고향없다 (1974)
  • 귓불을 비비며 (1985)
  • 웃음의 묘약 (1991)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