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식의 귀향 / 박완서
친정 쪽은 휴전선 이북이고, 시댁 쪽은 대대로 서울에서도 사대문 안을 벗어나서 살아본 적이 없다는 걸
은근히 으스대는 서울 토박이라 명절이 돼도 돌아갈 곳이 마땅치 않다.
금년엔 좀 덜했지만 추석 때마다 전국의 도로란 도로가 엄청나게 정체하는 광경을 텔레비전으로 보면서
"돌아갈 곳이 없어서 얼마나 다행인가" 마음으로부터 그렇게 생각했고, 아이들한테까지 그것으로 생색을
내곤 했다. 마치 집 없는 거지가 남의 집 불타는 걸 고소하게 구경하면서 제 자식들에게 "너희들은 집이
없어 불날 걱정 안 해도 좋으니 얼마나 좋으냐. 다 애비 덕인 줄 알아라" 했다는 옛날이야기 속의
거지 아범처럼 말이다.
마당에서 한때 하늘을 뒤덮을 듯이 무성하던 나무들이 작은 바람에도 우수수 잎을 떨어뜨리고 있다.
흙에서 난 것들이 그 근원으로 돌아가고 싶어 하는 건 아무도 못 말린다. 사람도 설령 나고 자란 데가
흙을 밟을 수 있는 시골이 아니라 해도 추석이 되면 조상의 묘나 집안 내의 연로한 어른들을 찾아뵙고
눈도장이든 몸 도장이든 찍고 와야 사람 사는 도리를 다한 것처럼 편안해진다.
이제 많이 살아 친·인척 간에 제일 연장자가 됐으니 가만히 앉아서 자식들이나 손자들을 맞는 입장이 됐다고
해도, 도리를 못다 한 것 같은 아쉬움이 어찌 없겠는가. 아니, 그건 도리가 아니라 그리움일 것이다.
저 지는 잎들이 어찌 섭리만으로 저리도 황홀하고 표표하게 몸을 날릴 수 있겠는가.
이 세상에 섬길 어른이 없어졌다는 건 이승에서 가장 처량해진 나이이다. 만추(晩秋)처럼. 돌아갈 고향이 없는
쓸쓸함, 내 정수리를 지그시 눌러줄 웃어른이 없다는 허전함 때문이었을까. 예년에는 한 번 가던 추석
성묘를 올해는 두 번 다녀왔다.
한 번은 벌초를 겸해 대가족을 이끌고 다녀왔고, 며칠 있다 왠지 혼자 가고 싶었지만 차 없이 갈 수 없는
곳이라 운전자만 데리고 갔다. 남편과 아들이 잠들어 있는 천주교 공원묘지이다.
왜 혼자 오고 싶었는지 알 것 같았다. 그들이 먼저 간 지 여러 해가 지났건만, 갈 때마다 가슴이 에이는 듯
아프던 데가 이상하게 정답게 느껴지면서 깊은 위안을 받았다.
지대가 높아 전망이 좋은데도 산꼭대기가 아니고 골짜기라 우리 동네처럼 아늑한 것도 마음에 들었고
규격화된 작은 비석도 마음에 들었다. 비석엔 내 이름도 생년월일과 함께 새겨져 있다. 다만 몰(沒)한
날짜만 빠져 있다. 나의 사후(死後) 내 자식들은 큰 비석이나 아름다운 비명을 위해 고심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여긴 어떤 무덤도 잘난 척하거나 돋보이려고 허황된 장식을 하지 않는 평등한 공동묘지이다. 그래도
우리들 것보다 조금만 더 큰 봉분과 비석을 가진 김수환 추기경님의 묘소가 멀지 않은 곳에 있는 것도
저승의 큰 "빽"이다.
다만 차도에서 묘지까지 내려가는 길이 가파른 것이 걱정스럽다. 운구하다가 관을 놓쳐 굴러 떨어지면
혹시 저 늙은이가 살아날까 봐 조문객들이 혼비백산한다면 그건 아마 이 세상에 대한 나의 마지막 농담이
되겠지. 실없는 농담 말고 후대에 남길 행적이 뭐가 있겠는가.
십여 년 전 고 정주영 회장이 소떼를 몰고 최초로 휴전선을 넘어 고향을 방문한 적이 있다. 나는 그 역사적인
장관에 크게 감동했지만 될 수 있으면 흥분하지 않으려고 애쓰면서 다음과 같은 글을 쓴 적이 있다.
"정 회장은 정 회장답게 고향에 갔지만 나는 내식으로 고향에 가고 싶다. 완행열차를 타고 개성 역에
내리고 싶다. 나 홀로 고개를 넘고, 넓은 벌을 쉬엄쉬엄 걷다가 운수 좋으면 지나가는 달구지라도 얻어타고 싶다.
아무의 환영도 주목도 받지 않고 초라하지도 유난스럽지도 않게 표표히 동구 밖을 들어서고 싶다.
계절은 어느 계절이어도 상관없지만 때는 일몰 무렵이었으면 참 좋겠다.
내 주름살의 깊은 골짜기로 신산함 대신 우수가 흐르고, 달라지고 퇴락한 사물들을 잔인하게 들어내던
광채가 사라지면서 사물들과 부드럽게 화해하는 시간, 나도 내 인생의 허무와 다소곳이 화해하고 싶다.
내 기억 속의 모든 것들이 허무하게 사라져 버렸다 해도 어느 조촐한 툇마루, 깨끗하게 늙은 노인의
얼굴에서 내 어릴 적 동무들의 이름을 되살려낼 수 있으면 나는 족하리라."
그분이 철통 같은 분단의 장벽을 뚫고 낸 물꼬는 마침내 금강산관광 개성관광까지 이어졌고 나도
금강산관광까지는 다녀왔지만 개성관광엔 저항을 느꼈다. 어떻게 고작 6~7km 밖에 선영이 있는
고향 마을을 놔두고 개성 구경을 할 수 있겠는가. 그래서 개성관광을 제안받을 때 나 홀로 경로 이탈을 해서
고향 마을 박적골에 다녀오고 싶다는 소원을 말해봤지만 이루어지지 않았다.
돌이켜보면 내가 살아낸 세상은 연륜으로도, 머리로도, 사랑으로도, 상식으로도 이해 못 할 것 천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