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은 내 삶의 지침서 / 김재희
어느 산골짜기 바위틈에 새치름히 피어 있는 구절초가 눈길을 잡습니다. 찬 이슬 살짝 내리기 시작하는 때에 피는 구절초의 꽃잎은 코끝이 싸한 향기를 품고 있지요. 건드리면 툭 터질 것 같은 울음 방울을 안고 있는 듯 모습이 참 애잔합니다.
구절초 속에 애틋한 기억이 숨어 있습니다. 아버지께선 휴일이면 산에 올라 구절초를 캐러 다니셨습니다. 그리 흔치 않는 꽃이라서 조금씩 모아 말려두면 어머니는 그걸 고아 환을 지어 내 약을 만들었지요. 그게 얼마나 소중한 약인 줄 몰랐습니다.
병약한 딸을 위해 산골짜기 구석구석을 찾아다니셨을 아버지의 노고는 전혀 생각지 못했습니다. 줄줄이 놓여 있는 약병들에 진절머리가 난 나는 구절초 약은 먹어도 그만 안 먹어도 그만인 거라는 생각에 몰래몰래 버리곤 했지요. 천금을 주고도 살 수 없는 소중한 약들, 한참 세월이 흐른 뒤에야 그 약에 대한 가치가 가슴을 저리게 했습니다.
그러나 그 약들은 그대로 버려진 것이 아니었나 봅니다. 그것들은 내 마음 한구석에 자리하고 앉아 나를 지켜보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아버지의 정성이 그렇게 쉽게 사라지지는 않았던 것이지요. 비록 아버지는 모르고 계셨지만 그 약효는 알게 모르게 내게 스며들었을 것입니다.
그 시절 나에게 유일한 낙이 하나 있었습니다. 가다가 끊어져 버린 길 앞에 퍼질러져 앉아 책을 뒤적이는 일 이었습니다. 그 속엔 없던 길이 보이고 잠든 꿈이 깨어 있고 바라볼 희망이 있었기에 늘 풍만한 세상이었거든요. 그랬기에 결코 어둡지만은 않았던 시절이었습니다.
어쩌면 버려졌던 약의 효험이 그렇게 나를 지켜주고 있었는지도 모릅니다. 그때 그 약과 맞바꾸었던 생명의 싹, 문학을 향한 열정을 키울 수 있는 터전이 마련되었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겁 없이 끼적이던 때가 참 용감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문학의 테두리 밖에서 그 안을 들여다봤을 때의 환상이 또한 참 아름다웠습니다. 글을 쓴다는 사실이 이렇게 힘든 작업인 줄 몰랐습니다. 문단에 데뷔하던 때의 흥분이 아직 가시지도 않은 것 같은데 이미 이처럼 지쳐버렸다면 저는 소질이 그리 많은 편은 아닌지도 모르겠습니다. 남들은 쉽게도 찾아내는 소재를 나는 왜 알아내지 못했는지 그저 뒷북만 치면서 고개를 끄덕이곤 합니다.
잃어버린 나를 찾겠다는 일에 하필이면 문학을 택했는지 스스로 감당 못할 역량인 줄 모르고 깝죽댄 꼴 같아서 뒤통수가 후끈거립니다. 다른 사람의 인간승리(수필승리)를 대할 때마다 제자리만 지키고 있는 내 걸음이 답답하기만 합니다. 그렇다고 놓아버리기에는 너무 아쉬움이 많습니다. 어찌 보면 길 잃은 철새가 계절 사이를 오락가락하는 것처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서성거리고만 있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그래도 글이라는 걸 포기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부모님께서 알게 모르게 제 가슴에 새겨주신 생명의 싹이니 어떻게든 키워 열매를 맺어야겠지요. 그러나 그저 그런, 볼품없는 열매들만 너절하게 늘어놓고 싶지는 않습니다. 단 몇 편이라도 글다운 글을 건지고 싶습니다.
“만근이나 되는 종은 짤랑짤랑한 가느다란 울림을 내지 않는다."라는 깊이와 “구름이 비가 되어 황하로 흘러 천리사방을 적신다.”는 은근함을 표현해 보고 싶고 “아무리 아름다운 비단이 많아도 옷을 자를 때 치수를 정확히 맞추어 자르는 것”이 아름다움을 가장 적절히 표현하는 것이라는 순리를 잘 적용해 보고 싶습니다. “환희와 슬픔을 표현함에 있어서는 문자도 같이 웃고 눈물지을 만큼의 묘사 능력이 뛰어나 한다."라는 말에도 귀 기울여보고 “꽃이 지나치게 많이 피면 가지를 손상시킨다."라는 말도 꼭 새겨 두어야겠습니다.
“아무리 미묘한 말과 아름다운 사실이라도 자리가 빗나가면 다리에다 보석을 장식하고 가슴에다 화장을 한 것 같다."라는 비유도 얼마나 중요한 말인지 가슴 깊이 간직할 거고요. 또 “공교한 표현에는 쉽게 눈을 끌지만 졸렬한 말은 감출 길이 없다. 실로 말의 티는 구슬의 티 보다 깊은 것이다.”라는 말도 깊이 담아두어야겠습니다.
“한편의 작품 가운데도 여러 가지 심정의 움직임이 통괄되어 있어 마치 30개의 바큇살이 하나의 바퀴에 집결되어 있는 것과 같아야 한다."라는 문장의 기본 원리나 조직에 관해서도 더 많은 공부를 해야겠습니다. 이외에도“말은 마음의 소리요 문자는 마음의 그림이다.” 등등의 아름다운 문장들을 꼭 닮아보고 싶습니다. 언젠가는 제게도 그런 글 한 줄 뽑아낼 수 있는 시기가 오지 않을까요?
더불어 제 삶도 그렇게 꾸며보고 싶습니다. 문장 짓기의 이론은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어떻게 살아야 할지, 어떤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아야 할지를 일깨워 주는 것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깊고 은은한 성품, 지식을 제대로 잘 이용할 줄 아는 지혜, 진실한 감정 등을 갖추고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전체의 분위기 발맞추어 나갈 줄 알며 비록 가벼운 감정일지라도 주고받는 정리를 쌓아야 한다는 교훈이 아니겠는지요.
그렇듯 수필 쓰기는 제 삶의 지침서가 될 것입니다. 작은 소재 하나가 사색으로 버무려져 수필 한편으로 승화되어 나오듯 인간사 역정이 지침서에 걸려져 환희의 웃음을 얻게 되겠지요. 정말 환한 웃음을 웃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