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문장으로 유혹하라
모든 신문기사는 첫마디에 생사가 갈린다. 글의 생명은 잘 쓰는 게 아니라 독자가 잘 읽느냐에 달렸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신문기사는 스트레이트와 스트레이트 기사가 아닌 것으로 구분된다. 스트레이트기 사는 신문기사의 전형으로 육하원칙에 의거, 사실 만을 중점적으로 전달하는 형식이다. 이 형식의 특징은 역피라미드에 있다. 역피라미드형 기사란 기자가 송고한 기사를 편집하는 과정에서 기사 분량을 얼마든지 조절할 수 있도록 기사의 내용을 역피라미드로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맨 나중의 단락부터 잘라내며 분량을 조절해가도 핵심의 전달에는 이상이 없다.
스트레이트 기사의 첫 단락은 그러므로 기사의 전부라 할 고갱이다. 이 고갱이를 기자들은 ’ 리드’라 부르는데 리드문을 쓰기에 기자들의 능력이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스트레이트 기사가 아닌 보다 자유분방한 형식의 기사라 해도 첫 단락이 중요하기는 마찬가지다. 기사에 대한 독자의 관심을 끌고 이 관심을 유지, 글을 끝까지 읽게 만드는 유혹의 힘이 첫 단락에서 발휘되기 때문이다.
아리스토텔레스에서 헤밍웨이를 거쳐 대입 논술에 이르기까지 첫 단락에 대한, 나아가 첫 문장에 대한 중요성은 모든 글쓰기에서 중시되는 덕목이다. 블로그도 트윗터도 회사 인트라넷에 올리는 게시글도 첫 문장으로 독자를 사로잡지 못하면 곧바로 ‘킬’된다. 첫 문장, 첫 단락의 힘으로 다음 문장, 다음 단락을 읽게 하지 못하면 글 창은 닫혀버리고 독자는 어느새 다른 곳으로 가버린다.
다음은 신문기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고압선처럼 치명적인 유혹의 힘을 발휘하는 첫 문장, 첫 단락쓰기의 방법이다.
1. 임팩트있는 첫마디
헤밍웨이가 권했다. 첫 문장은 짧고 힘 있게 써라고. 첫 문장은 짧고 강렬한 임팩트가 전부다. 유혹은 짧을수록 강렬하다는 말은 진리다.
지금도 펜팔을 기억하는 사람이 있을까. (2010년 11월 10일 - 김상헌, 디지털3.0, 매경)
느닷없다. 이 디지털시대에 펜팔이라니. 그래서 궁금하다. 다음 문장이. 무슨 얘긴지.
2. 관심을 끄는 개념을 설명하며 시작하기
개념은 기사의 핵심이다. 개념을 이해시키면 다른 내용은 저절로 이해된다.
환율·에너지 문제 등 논의 세계 경제의 큰 밑그림을 그리게 될 서울 G20 정상회의가 11일 개막한다.
(2010년 11월 10일 - 소년한국일보)
3. 최근 이슈로 시작하기
최근의 이슈는 누구에게나 관심사다. 당연히 계속 읽을 수 밖에 없다.
아이폰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오빠 믿지’라는 애플리케이션(앱)이 등장했다.
(2010년 10월 25일 - 디지털타임스)
4. 격언이나 속담, 고사성어로 시작하기
무슨 소리를 하려고? 아는 얘기니까 계속 읽게 된다.
고장난명(孤掌難鳴)은 외로울 고(孤), 손바닥 장(掌), 어려울 난(難), 울 명(鳴)의 성어이다. 한 손바닥으로는 소리를 내지 못한다는 뜻으로, 우리 속담 “두 손뼉이 맞아야 소리가 난다”의 한자 성어이다. 이 말은 혼자 힘으로는 무슨 일을 이루기 어렵다는 것을 나타낸다. (2010년 11월 10일 - 광주드림신문)
5. 에피소드로 시작하기
구체적인 에피소드만큼 마음을 끄는 게 있을까? 그것도 유명인사의 에피소드라면. 유명인의 에피소드로 첫 문장을 시작하니 궁금할 밖에. 그래서? 그다음엔?
신세계 정용진 부회장(@yjchung68)은 트위터에 ’I’m at 커피지인’이라는 단문을 자주 올린다.
(2010년 11월 3일 - 스포츠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