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문객(文客)이 되라 / 박양근

-명검(名劍)은 장인이 만들지만 명필(名筆)은 문사가 만든다-

 

“학자의 잉크는 순교자의 피만큼 순결하다.” -이슬람의 속담

잉크를 순교자의 피에 비유한 이슬람의 명언처럼 검의 무뢰한 힘보다 글의 숭고한 진실을 역사는 더 중시한다. 그 까닭은 인류의 역사가 전쟁의 연속일지라도, 학자와 문인이 없으면 인류의 문명과 문화는 이내 사라지기 때문이다. 권력판이 문사를 어떡할 수 없음은 지금까지 세상에 발표된 무진장한 책이 말해준다.

 

일상 세상은 갖가지 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판은 일이 벌어지는 자리라는 뜻으로 싸움판, 씨름판, 정치판, 돈판, 노름판, 먹자판, 춤판 등이 있고 ‘판을 엎는다’ ‘판을 키운다’라는 겹어도 있다. 판을 주름잡은 사람을 〜잡이, 〜꾼으로 부르지만 고상하게는 사(士)라 부른다. 그중에서 문무를 대표하는 사람이 문사(文士)와 무사(武士)이다.

 

판중의 판은 목숨을 거는 싸움판이다. 칼잡이들의 세계를 무림(武林)이라고 하는데 세상강호에는 나무숲처럼 강자들이 참으로 많다는 뜻이다. 무림의 주인공인 협객은 무술이 뛰어나고 호방하고 의협심이 있는 검객으로서 스승을 모시고 동료와 호형호제하며 강호제일의 무림파에 속하기를 원한다. 일정(一定)한 소속이 없는 떠돌이 검객을 낭인이라 부르지만 그들도 고수검객으로 인정받기를 꿈꾼다.

 

펜을 들고 문장을 다투는 세계를 문단이라고 한다. 문단은 문단권력 싸움판이 아니라 문학정신의 사조를 지칭하는 말이다. 문단을 무림에 비유하는 까닭은 조그마한 철 조각에 불과한 펜이 촌철의 무기라는 데 있다. 촌철살인은 날카로운 말이나 한 치의 쇠붙이로 상대편의 급소를 찌름을 비유한 말이다.

 

'펜은 칼보다 강하다.’

학문과 문학에서 즐겨 인용하는 이 말은 글의 영향력을 표현하는 말로써 칼의 무력에 대칭된다. 보통 펜의 무게는 10-20g, 길이는 13-16cm에 불과하다. 약 60cm의 길이와 1Kg 가량인 고대 로마시대 단검, 보통 90cm인 사무라이의 검에 비하면 질량과 길이에서 미미하기 이룰 데 없지만 그 파급력은 칼보다 엄청나다. 잘 쓰면 사람과 나라를 구하지만 못쓰면 흉기가 된다. 칼로 혼자 망하지만 펜으로 쓰인 문장은 수백 명의 목숨을 동시에 좌우한다. 칼은 시신의 묘지를 만들지만 잉크와 펜은 시문을 짓는다. 칼이 잔혹한 복수살인을 우선시한다면 펜은 순결한 자기희생을 감내한다. 칼은 펜이 없으면 진정한 항복을 받아내기 어렵지만 펜은 칼 없이 적을 복종시킬 수 있다. 그래서 펜이 칼보다 강하다고 말하며 무인 위에 문인의 자리를 만들었다.

 

글쟁이가 되려면 이왕 문인이 아니라 문사(文士)가 되라. 문사는 학자나 문필가나 선비를 뜻한다. 진정한 글쟁이들은 강호 검객들이 생사의 검술을 겨누듯이 글판에서 이름을 건 문장 대결을 벌린다. 재야 문단에 알려진 글쟁이들과 필력(筆力)의 승부를 펼치고 글에 살고 글에 죽는(筆生筆死) 공모전에 응모하고 작품집을 발표하여 진문(眞文)의 비법을 전수한다. 일부 글쟁이들이 상금의 유혹에 빠져 낭인처럼 이름을 갈며 방랑하지만 진정한 문사는 자신의 이름을 목숨보다 중히 여겨야 한다. 문즉인(文則人). 문장에 작가의 이름을 붙이는 이유는 명장이 자신이 만든 검에 이름을 새기는 것과 같다. 이것이 오직 최고의 문장으로 순수의 승부를 한다는 문사정신의 표시이다. 글을 쓰는 사람에게 붙이는 여러 명칭이 있다. 문인, 문사, 작가, 문필가, 문객... 그렇더라도 필진(筆陣)을 이루는 도구는 붓이나 펜뿐이다. 종이(紙), 붓(筆), 먹(墨), 벼루(硯)라는 문방사우(文房四友)가 있었지만 언제부터인가 잉크와 펜과 종이로, 다시 컴퓨터와 A4 용지로 축소되었다. 지금은 스마트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든 글을 쓸 수 있다. 하나의 스마트폰 안에 전 세계가 들어가 있고 동서고금의 모든 문필문객들의 글이 들어간다. 모든 글쓰기원칙이 들어있다. 강의실, 서재, 식당, 지하철, 버스 칸, 카페는 물론 바다, 들판, 산중, 강변, 황톳길조차 펜을 들면 글판이 된다. 그러면서도 글판의 혼은 달라지지 않는다.

 

모든 글쟁이가 펜의 혼을 가진 문객이 되는 것은 아니다. 검객들은 적과 단칼승부를 벌리지만 문인들은 펜을 세우고 오직 자신과 싸운다. 촌설살인, 일필휘지에 적수가 있는가. 오직 '글 너 죽을래, 아니면 나 죽일래'라는 동귀어진(同歸於盡)의 필살기(必殺氣)가 있을 뿐이다 그 펜의 정신이 문객을 만든다.

 

조선시대 3대 검객중의 한 사람인 검선(劍仙) 김광택의 검술을 “칼무리가 움직일 때 꽃이 떨어져 쌓이는 것 같고 몸이 칼에 숨겨졌다'고 하였다. 그는 차고 단단한 칼의 살기를 봄바람 같은 생명의 기운으로 바꾸었다. 이것이 무림 고수의 검을 두고 ‘칼이 춤춘다’고 하는 말한다.

 

글판에서 부리는 펜의 위세도 마찬가지다. 종이라는 공간을 비우면서 채우고, 황량함에서 생명감이 솟아나게 하고 짐짓 물러섰다가도 송곳처럼 날카롭게 돌진하여 찌른다. 문장과 행간조차 몸의 기운에 따라 빠르고 느리게, 부드럽고 강하게 흐르되 필력과 생의 공력(功力)이 조화되도록 한다. 무엇보다 인자하고 중후한 품성으로 사회 정의를 구현한다. 조선의 박지원, 허균, 정약용, 이용휴, 이덕무 등은 비운의 떠돌이였으나 무사의 무도(武道)같은 문도(文道)’를 성취한 문장 문객들이다. 주방장의 칼이나 부엌칼로는 암수(暗數)를 부릴 뿐 문장의 흉을 낼 수 없다.

 

문필계에서 절대고수는 아니라도 고수쯤은 된다는 말을 얻으려면 펜과 하나가 되어야 한다. 자신과 펜이 하나가 된다는 것은 자든 깨든 내공과 외공을 함께 키우고 정중동(靜中動)과 동중정(動中靜)을 자유자재로 오가는 것이다. 문장과 사유, 인문정신과 선(禪)의 경지, 강즉유하며 유즉강한 강유(剛柔)의 조화, 무엇보다 심안과 영성의 배양하도록 한다. 그 때 “붓(펜)이 가는대로 글을 쓴다”는 길이 열린다.

 

진정한 문객도 마찬가지다. 오직 “천하제일필(天下第一筆)”이라는 진인사대천명의 심정으로 글을 쓴다면 상과 이름이 저절로 찾아온다. 좋은 스승과 의로운 문도(文道)를 찾고 꽃구름처럼 가볍게 청계의 물처럼 심신을 닦아라. 한편의 글을 옳게 마감하지 못하면 방문을 걸어 잠근다는 옥쇄의 각오를 가져라 그 결단이 당신의 펜을 명필(名筆)로 만든다. 진검(眞劍)승부는 상대를 향하지만 진필(眞筆)승부는 오직 자신을 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