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연못의 수련, 이 어인 일인가? / 김 훈
광릉 숲속 연못에 수련이 피었다. 수련이 피면 여름의 연꽃은 살아있는 동안의 시간 속에서 기득 차고 고요한 순간을 완성한다. 수련은 여름의 꽃이지만 작약, 모란, 달리아, 맨드라미 같은 여름꽃들의 수다스러움이 없다. 수련은 절정의 순간에서 고요하다. 여름 연못에 수련이 피어나는 사태는 ‘이 어인 일인가?’라는 막막한 질문을 반복하게 한다.
나의 태어남은 어인 일인고, 수련의 피어남은 어인 일이며, 살아서 눈을 뜨고 수련을 들여다보는 일은 대체 어인 일인가? 이 질문의 본질은 절박할수록 치매하고 치매할수록 더욱 절박해서 그 치매와 절박으로부터 달아날 수가 없는 것인데 수련은 그 질문 너머에서 핀다. 수련꽃 핀 여름 연못가에 주저앉은 자와 물 위에 핀 꽃 사이의 거리는 멀고 이 거리를 건너가는 방편은 다만 ‘보인다’라는 한 개의 자동사 이외에는 없지 싶지만, 이 의심할 수 없는 확실한 빈곤이 살아 있는 동안의 기쁨이다.
수련은 물위에 떠서 피지만, 한자로는 물 수(水)가 아니라 잠들 수(睡)를 골라서 수련(睡蓮)이라고 쓴다. 아마도 햇살이 물 위에 퍼져서 수련의 곷잎이 벌어지기 전인 아침나절에 지어진 이름인 듯싶지만, 꽃잎이 빛을 향해 활짝 벌어지는 대낮에도 물과 빛 사이에 피는 그 꽃의 중심부는 늘 고요해서 수련의 잠과 수련의 깸으은 구분되는 것이 아닌데, 이 혼곤한 이름을 지은 사람은 수련의 꽃잎을 오므린 아침나절의 봉오리 속에 자신의 잠을 포갤 수 있었던 놀라운 몽상가였을 것이다.
여름 아침의 연못에서는 수련뿐 아니라 물도 잠들어 있다. 물이 밤새 내쉰 숨은 비린 향기와 물안개로 수면 위에 깔려 있고, 해를 기다리는 물속은 아직 발현되지 않은 무수한 빛과 색의 입자들을 재우면서 어둡다. 빛과 색으로 존재하는 것들은 시간 위에 실려서 멀리서부터 다가오는데, 그 모든 생명의 과정이 살아 있는 동안 뜬 눈에 다 보이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여름의 연못은 인상주의의 낙원이며 지옥이다. 수련을 그린 모네의 화폭은 그 빛과 빛 사이, 색과 색 사이, 순간과 순간 사이의 경계를 비집고 들어가서 거기에서 새로운 빛과 시간의 나라를 열어내는데, 이 나라는 보이지 않는 것들의 지옥 위에 건설된 보이는 것들의 낙원이다.
여름 아침의 수련은 그렇게 다가오는 빛과 시간의 흐름 속에서 꽃잎을 접고 잠들어 있다. 수련이 잠들 때, 오므린 봉오리 속에서 빛과 시간과 시간과 꽃 사이에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지를 바라보는 자가 말할 수 없지만 수련의 잠은 자족한 고요의 절정을 이룬다. 그 오므림의 외양은 곤한 잠에도 그 내면은 맹렬한 깨어있음이어서 수련의 잠은 깨어나기를 기다리는 잠이 아니고 수련의 오므림은 벌어지기를 기다리는 오므림이 아니다.
수련은 빛의 세기와 각도에 정확히 반응한다. 그래서 수련을 들여다보는 일에는 이른 아침부터 저녁까지, 하루 종일의 숨 막히는 허송세월이 필요하다. 수련은 부지런한 몽상가의 꽃이다. 모네와 수련을 말하는 바슐라스의 글 <꿈꿀 권리>는 “클로드 모네처럼 물가의 아름다움을 거두어 충분히 저장해두고, 강가에 피는 꽃들의 짧고 격렬한 역사를 말하기 위해서는 아침 일찍 일어나 서둘러 일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므로 우리들의 클로드 모네는 이른 아침부터 길을 떠나는 것이다.
그렇게 많이 되찮아진 젊음, 낮과 밤의 리듬에 대한 그토록 충실한 복종, 새벽의 순간을 알리는 그 정확성, 이것이야말로 수련으로 하여금 인상주의의 꽃이 되도록 하는 이유인 것이다. 수련은 세계의 한 순간이다.”라고 적어 놓았다. 화가는 연못위에 핀 수련의 순간들을 화폭 위로 번지게 하고 철학가는 화폭 위의 수련으로부터 연못 위의 수련으로 건너간다. 비슐라르의 글 속에서는 시간에 대한 수련의 정확한 복종이 수련의 리듬을 완성시키고, 모네의 화폭에서 이 완성의 순간은 빛을 따라 흘러가고 있다. 아침 10시가 넘어서 물 위로 햇살이 퍼지면 풀과 나무의 그림자를 드리운 물빛은 더 깊고 더 투명해 진다. 물속에 숨어있던 색과 빛과 음영의 잠재태들이 발현되기 시작하는 그때, 수련은 꽃잎을 연다. 노랑머리연꽃이 열릴때 여름의 연못을 찬란하다. 수련의 짐안에서 노랑머리연꽃은 작은 꽃에 속하는데 그 꽃의 열림은 얌전하고도 영롱하다. 열려진 꽃 속에 여름의 빛이 들끓고, 그 들끓는 속은 맹렬하게 고요해서 꽃의 열림은 더욱 혼곤한 잠처럼 보인다. 그래서 수련의 잠과 수련의 깨어남은 시간에 복종하는 꽃의 리듬일 뿐, 잠도 깨어남도 아닐 것이었다. 어리연꽃의 노랑색은 어지럼증을 일으킨다.
대낮에 활짝 열린 수련은 날이 흐려지면 꽃잎을 오므리고 해가 다시 나오면 꽃잎을 연다. 그래서 여름의 연꽃은 빛을 따라서 색들이 열리고 닫히는 꽃밭이다. 여름의 빛이 물풀의 생명을 충동질해서 그 안의 색들을 피어나게 한다. 날이 저물어 , 대기 중의 빛이 모두 스러지면 수련은 야물게도 꽃잎을 오므리고 밤을 맞는데, 그때 여름 연못가의 하루는 돌이킬 수 없이 다 지나간 것이다.
*김 훈(1948- )-고려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오랫동안 기자생활을 하다 소설가로 변신. 엣세이 집으로 <내가 읽은 책과 세상>, <문학 기행> 등이 있고 소설로는 <칼의 노래>, <현의 노래>,<강산무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