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가가 쓴 수필>


섬인 채 섬으로 서서 / 변해명

 

변2.png


남해 바다는 파도의 여운조차 없이 조용히 모습을 드러내었다. 하늘을 닮은 바다, 바다를 닮은 섬들, 그리고 섬 기슭에 정박한 작은 배들은 한 폭의 동양화를 보는 듯했다.

나는 일찍이 바다를 보았지만 이처럼 아름답고 아기자기하고 이야기가 담긴 바다를 보기는 처음이었다. 남해는 처음인데 내가 태어나고 살았던 고향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하고 언제고 돌아와 쉬고 싶은 마음을 떠올리게 하기도 했다.

남해 바다엔 파도가 없었다. 파도가 없는 바다는 격정이나 격렬함이 없었다. 그립고 안타깝게 기다리며 애태우는 흔들림이 없고 마음을 비운 넓은 가슴과 흔들리는 모든 것들을 표용하고, 따뜻함으로 머무르게 하는 몸짓만 있어 보였다. 그 앞에서 오랜만에 도시를 잊을 수 있었다. 도시의 냄새를 털고 도시의 생각을 털고 온통 푸르기만 한 세상 속으로 들어가 바다의 일부가 될 수 있었다.

나는 지금까지 도시의 바다에서 서성거렸다. 그 바다에는 파도가 높아 그 파도 속에서 파도를 타며 일상을 풀무질했다. 파도는 나를 잠시도 쉴 수 없도록 아픔에 뒤채이게 했고 격렬한 몸짓으로 질주하게 했으며 한사코 해변으로 다가서게 했다. 그런 몸짓이 덧없고 또 물거품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면서도 그 바다에서 그 몸짓을 그만 두지 못했다. 그 흔들림, 질주, 고뇌 그런 것들이 무엇인지 모르지만 배를 젓는 어부의 억센 팔뚝처럼 흔들림에 의지하여 그 모험과 자극을 밀어내며 광대처럼 살아왔다.

나는 남해 바다에서 그것을 버렸다. 50의 고개를 넘어선 장년의 가슴처럼 휴식과 처연함과 넉넉함을 지니고 있는 바다에서 언제나 섬으로 떠돌던 외로움도 달랠 수 있었다.

남해 바다는 섬들을 쓸어안고 섬들을 어르며 가슴을 열고 있었다. 그 너그러운 표정이 그 바다의 많은 섬들조차 외로워 보이지 않게 했고 나의 외로움조차 지울 수 있는 여유를 주었다.

우리 일행을 안내하던 김 선생님은 그런 내 마음을 헤아리기라도 한 듯 바다가 잘 보이는 이곳저곳으로 자리를 바꾸며 술잔을 거듭하듯 바다에 취하는 기분을 만끽하게 했다. 어느 날, 훌쩍 도시를 떠나 남해로 돌아간 그분의 얼굴에는 이미 도시의 먼지가 없었고 해풍에 그을은 모습이 바다를 닮고 있었다.

바다를 지켜보는 동안 해가 서서히 바다로 내려오며 푸른 캔버스에 붉은 물감을 뿜기 시작했다. 낙조를 에워싸고 흩어지는 바다는 모성의 빛을 연출하고 있었다.

일출의 빛과 일몰의 빛이 하나의 모성의 빛이라면 태어난 곳과 돌아갈 곳이 하나의 모성의 품임을 생각하게 한다. 바다로 돌아가는 일몰의 여운이 저토록 아름다울 수 있다니. 우리 삶도 저렇게 아름답게 저물 수 있기를 옷깃을 여미며 기원해 보았다.

파도는 남해바다에 둥지를 틀고 태어나 먼 바다를 향해 질주하다 방랑과 자유를 만끽하고 , 덧없고 허망함을 깨닫자 비로소 초연한 모습으로 돌아와 모성의 품에 안긴 것일까. 이 바다에서 일출을 보고 떠난 사람이 지금 돌아와 일물을 보고자 함은 파도와 같은 몸짓일까.

우리의 그림자도 길게 눕더니 이내 어둠 속으로 빠져들었다. 온종일 서로가 마주 보며 끝내 손잡지 못하는 아픔을 안고도 언제나 그랬듯이 두 팔을 벌리려는 섬들도, 아슬아슬하게 외나무다리를 건너며 서로 다가서려 했던 섬들도 저마다 가슴을 여미고 어둠 속에 윤곽을 그러내고 있었다. 그것은 섬들이 안고 있는 고독으로 보였다. 아무리 바다가 가슴을 열고 그 품에 안으려 해도 안길 수 없는 섬들의 고독. 그것은 내가 바다 위에서 나를 처음 보는 것 같은 아픔이었다. 저 섬들처럼 나도 하나의 섬으로 서 왔다. 한사코 두 팔을 벌려 손잡고 싶어 가슴을 태우고 다른 섬 곁으로 다가서려던 서성임. 나는 바다의 섬들을 보며 섬이 지닌 고독을 확인한다.

기슭에 등을 대고 정박한 소년의 배도 어둠을 가득 싣고 고요한 일몰을 맞고 있었다. 이제는 서두름도 설레임도 없이 해변에 누워 하늘만 보는 배는 그 많은 추억의 편련들로 해서 위로를 받는 것 같았다. 소년은 그 배를 보며 길고 힘들던 항해를 되돌아보리라.

나는 어릴 때 부르던 노래가 생각이 나서 소년의 배를 향해 나직이 불렀다.

“내 나이 어릴 때 내 입은 가볍고 바다 위에 떠돌기 나 참 원했네. 지금 남천 바라보면 늘 들리는 소리 그 작은 뚜나 나를 부르네….”

판도라의 상자를 소중히 안고 있는 소년의 눈빛이 어둠 속에서 반짝인다. 그에게서 싯달타에게 ‘강물의 노래’를 불러주던 노인의 모습을 발견하고 숙연해졌다.

해가 지고 있었다. 그 고요하고 아름다운 바다도 어둠 속으로 지워지고 있었다. 섬들도 그 어둠 속으로 사라져가고 있었다. 남해의 숨결이 나를 삶의 끝까지 밀어내고 당기는 동안 어둠 속에 빠져들고 있었다.

이제 나는 돌아가 나의 바다의 파도를 잠재우려 할 것이다. 섬인 채 섬으로 서기를 두려워하지 않으며 일몰이 오기 전 한 척의 작은 배를 내 바다기슭에 대어보려 할 것이다.

어디선가 채나물새가 밤을 썰고 있었다.


변해명 (邊海明)

<문학가. 현대문학가. 수필가 >

서울출생.<한국문학> 수필 등단.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졸업. 한국문인협회, 국제펜클럽 한국본부, 수필문우회 회원, 한국수필가협회, 한국여성문학인회 이사 등을 역임.

수필집 '먼 지평에', '외로운 영혼에 불을 밝히고' 등 다수

수필선집 '그림자 춤', '주인없는 꽃수레',

4인수필집 '시간의 대장장이'.

수상;'한국문학상', '심곡문학대상', '수필문학상', '현대수필문학상'


변.png


 수필쓰기는 사진 찍기가 아니라 초상화 그리기와 같다. 

 내 모습을 사진에 담았을 때와 초상화로 그려졌을 때의 모습은 상당한 거리가 있음을 보게 된다. 사진은 나의 사실적인 모습의 복사지만 초상화는 내 얼굴의 특성을 가려 화가의 상상력에 의해 재현해낸 모습이다. 어느 부분은 생략되고, 어느 부분은 강조되고, 나의 개성을 잘 들어내는 부분을 찾아 특징을 살려 나의 모습을 담아내는 것이다. 즉 내 초상화는 화가라는 작가의  의도에 따라 창작해 낸 작품인 것이다. 그 초상화의 모습도 사진의 모습처럼  틀림없이 내 모습이지만 사진과 달리 초상화에서는 그린 사람의 의도가 개성과 상상력과 창조정신과 함께 들어나게 된다. 

 수필이 작품이 된다는 것도 경험의 소재를 가지고 자신이 표현해 내고자  하는 내용을 상상력에 의해 작가의 의도가 문학어로 재구성될 때 작품이 된다.

<변해명-수필에서의 체험과 상상력 중에서 일부 발췌>


<유숙자 선생님의 추천 수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