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수필가 100인선 엿보기] 사연 많은 야합수夜合樹 - 한석근 |

   사연 많은 야합수夜合樹   -   한석근


   지난해 비교적 빠르게 찾아온 덴빈과 산바SANBA 태풍 때 분재원 한편에 심어놓은 정원수 큰 가지가 부러져서 그 품새가 꼴상사납게 되었다. 분재원 마당에는 이 나무 아니어도 여러가지 희귀종의 정원수가 있지만 그래도 다른 나무들보다는 가장 아꼈던 정원수였다.
   우리 산야에 흔하게 자생하는 나무이기도 하지만 옛 문헌의 기록을 보면 재미로운 대목들이 많다. 농촌에서는 소가 잎사귀를 잘 먹는다고 해서 ‘소찰밥나무’ 라 부르기도 하지만, 전라도 지방에서는 ‘소쌀밥나무’ 라 부른다니 경상도와 비슷하게 부르는 이름이다.
   이 나무가 많이 심어지는 곳은 가정의 정원수보다는 공원수나 가로수로 이즈음엔 더욱 사랑을 받고 있다. 늦은 6월부터 피기 시작하여 곳에 따라 여름이 다 가도록 꽃피는 나무이다. 꽃도 훌륭한 약재로 쓰이지만 껍질이 더욱 약효가 좋아 한방에서는 꼭 필요한 약재이다.
   이 나무는 여러 가지로 불려지는 이름이 있는데, 그것은 나뭇잎이 많은 특색과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낮에는 톱니같이 조밀하게 붙은 양쪽으로 갈라진 잎이 저녁이 되면 가운데로 겹쳐지면서 하나로 포개어진다. 마치 신선초의 잎을 닮은 셈이다. 그래서 붙여진 이름이 여러 가지로 불리어지고 있다.
   보편적인 학명은 자귀나무라 하지만 합환수合歡樹, 합혼수合昏樹, 야합수夜合樹, 유정수有情樹, 망우수忘憂樹, 청상수靑裳樹, 맹갈수, 오뢰수, 황혼수 등으로 불린다. 이외에도 애정목愛情木이라고도 부르는데, 요순시대 성군이던 순舜임금이 창오에서 죽자 두 아내이던 아황娥皇과 여영女英도 후난성 상강에서 소식을 듣고 피를 토하며 죽었다. 이 두 여인의 영혼이 애정목(자귀나무)으로 변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온다. 또한 재미나게 붙여진 이름들을 들여다보면 생각하기에 따라서 다르기도 하겠지만, 밤이 되면 남녀가 합해지는 것은 기쁨을 나누는 일이어서 합환이라했다. 그래서 전통 혼례 때 신랑신부가 서로 잔을 바꾸어 마시는 술을 합환주라 했다. 입이 포개어져 정이 넘친다는 유정수, 근심을 덜어주는 망우수도 그래서 붙여진 이름이다.
   동의보감에는 ‘합환피合歡皮는 성질이 한열寒熱에 치우치지 않고 평平하며 맛이 달고 독이 없다. 오장을 편하게 하고 마음과 뜻을 안정시키며 근심을 없애고 즐겁게 한다’고 했다. 즉 불안증, 우울증, 건망증, 실면失眠,근심을 없애고 즐겁게 한다고 했다. 즉 불안증, 우울증, 건망증, 실면증, 다몽多夢증, 이유 없이 화가 치미는 분노와 심장의 두근거림을 자각적으로 느끼는 동계動悸와 정충情冲의 증상에 합환피가 좋다. 결과적으로 합환피는 심장의 주효약제로 다루어진다. 불안한 정신을 안정시키고 답답한 울증을 푸는 안신해울安神解鬱의 우울증과 건망증을 치료해 주는 영약이기도 하다.
   이런 약효가 뛰어나고 부부 간 금슬이 좋은 나무를 뉘라서 싫어하랴만 수형 좋은 대체목을 골라서 다시 정원수로 심었더니 남빛과 자주색이 섞인 꽃들이 가지마다 주저리 피어서 즐거움을 더해준다.
   옛날 중국에 두고杜羔란 사람의 아내 조씨는 매해마다 자귀꽃을 따서 말려 잘 갈무리 해뒀다가 남편이 화를 내거나 마음이 불안할 때 조금씩 꺼내 술에 타서 마시게 했다. 마음을 편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어 부부 간에 금슬이 좋았다고 전해온다.
   최표가 쓴 고금주에는 ‘사람이 분을 참지 못하고, 화를 내면 이를 가라앉히도록 청상을 주었는데, 그것이 자귀나무이다. 뜰에 자귀나무를 심으면 사람이 화를 내지 않게 된다’고 한다. 양생론에서 혜강은 ‘자귀나무는 화를 가라앉히고 원추리는 근심을 잊게 한다’고 했다. 죽림칠현의 한 사람이니 헛된 이야기는 아닐 성싶다. 따라서 종기를 가라앉히는 느릅나무 껍질같이 효능이 좋고 타박상과 뼈를 잇는 효과도 뛰어나다니 한 그루씩은 심어 볼 만하다.
   서양에서는 어두워지면 잎을 합쳐 애인처럼 껴안고 잠이 든다고 해서 미모사트리라 부르고 일본인들은 네모노끼(잠자는 나무)로 부른다.
   근래에 와서 이 나무마저 수난을 겪고 있다. 바닷가에 자생하는 해당화와 산섶의 느릅나무, 산뽕나무(상황목) 등은 이미 멸종되다시피 가지는 잘리고 등걸은 벗겨지고, 뿌리는 파헤쳐져서 씨를 말리고 있다. 몸에 좋다면 인육이라도 먹을 것 같은 우리 사람들의 남획에 절대적인 보호가 필요하다.
   이렇듯 인체에 좋고 가정의 부부생활에 활력을 불어넣는 정원수이건만 시대를 잘못 만나 비극을 맞고 있는 사연 많은 야합수를 다시 잘 보살펴야겠다.



한석근 님은 《시와 의식》(1987) 수필 등단, 《월간문학》(1988) 수필 등단, 《시대문학》(1994) 시 등단   
수필집: 『고향의 달빛』, 『그리운 곳 가고 싶은 나라』, 『비상을 꿈꾸는 대륙』, 『귀신고래와 명포수』,『나무들의 합창』 등
   시  집: 『홀로 우는 바다새』, 『솔숲에 이는 바람소리』, 『문화유적 답사시』
   칼럼집: 『어설픈 목소리』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