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해 봄 / 도종환
그해 봄은 더디게 왔다
나는 지쳐 쓰러져 있었고
병든 몸을 끌고 내다보는 창밖으로
개나리꽃이 느릿느릿 피었다. 생각해보면
꽃 피는 걸 바라보며 십 년 이십 년
그렇게 흐른 세월만 같다
봄비가 내리다 그치고 춘분이 지나고
들불에 그을린 논둑 위로
건조한 바람이 며칠씩 머물다 가고
삼월이 가고 사월이 와도
봄은 쉬이 오지 않았다
돌아갈 길은 점점 아득하고
꽃 피는 걸 기다리며 나는 지쳐 있었다.
나이 사십의 그해 봄
- 시집『사람의 마을에 꽃이 진다』(문학동네, 2006)
........................................................................
봄꽃의 상징은 역시 개나리와 진달래다. 개나리와 진달래가 유독 정겨운 것은 화려하진 않지만 해맑은 빛으로 옹기종기 무리지어 피워낸 그 소박한 아름다움 때문이리라. 서울은 아마 지금쯤이겠는데 이곳 대구엔 지난주부터 개나리가 만개했다. 지난주 비 내리고 낮의 온도가 후끈한 사이 집과 병원을 오가는 길 강둑에 와락 핀 개나리가 눈길을 끈다. 그 옆으로 목련도 화사하게 벌어졌다. 등고선이 그려지는 골마다 스멀스멀 진달래도 볼 수 있겠다. 다음 달 13일 투표일 무렵엔 만화방창으로 봄의 절정을 맞을 것이다.
황지우 시인의 ‘꽃피는, 삼천리금수강산’이란 시에 보면 온갖 꽃들이 온갖 곳에서 다 피고 있다. 진달래는 ‘파주 연천 서부전선 능선마다’ 피고, 백목련은 ‘방배동 부잣집 철책담 위로’ 피고, 철쭉은 ‘지리산 노고단 상상봉 구름 밑에’ 피고, 라일락은 ‘이화여자대학 후문 뒤에’ 피고, 안개풀꽃은 ‘망월동 무덤 무덤에’ 피고, 수국은 ‘순천 송광사 명부전 그늘에’ 피고, 그 뭣이냐 칸나는 ‘수도육군통합병원 화단에’ 피고, 아무튼 그 밖의 ‘경북 도경 국기 게양대 바로 아래’ 핀 무궁화까지 총망라하여 숨 가쁘게 다 핀다.
요긴하게 꼭 피어야할 곳에서 최선을 다해 피어서 이제 곧 삼천리금수강산을 이룰 것이다. 그 가운데 ‘미아리 점집 고갯길에’ 헤프게 핀 개나리와 수유리 묵은 동네 돌축대 아래로 길게 늘어진 개나리는 내가 서울로 올라오기 전 해마다 보았던 것과 영락없이 같은 꽃이었다. 사람 떠나고 지붕이 폭삭 내려앉은 성주군 선남면 오도리 초가 곁에 엉망진창으로 피어있던 꽃도 개나리였고, 내 나이 열다섯 즈음 대구 방천 뚝방에 도회로 줄행랑 친 계집아이처럼 눈부시게 피었던 꽃도 노란 개나리였다.
그런데 도종환 시인의 ‘나이 사십의 그해 봄’은 ‘개나리꽃이 느릿느릿’ 피는 게 불만이었던 모양이다. 시인의 나이를 갖고 계산하면 대충 20여 년 전이다. ‘그해 봄’의 화신이 실제로 늦게 올라왔는지, 아니면 마음의 병 때문에 봄이 더디게 온다고 느낀 것인지는 확실치 않으나 당시 시인은 해직교사 신분이었다. 쉬이 오지 않는 봄이 시인을 더욱 지치게 한 것 같다. 그때의 사정은 ‘꽃 피는 걸 바라보며 십 년 이십 년 그렇게 흐른 세월만’ 견뎠으리라. 봄꽃이 모든 이에게 마냥 기꺼운 것만은 아니었다.
내게도 개나리 피는 걸 보며 흐른 세월이 늘 환할 수는 없었다. ‘응답하라1994’를 되돌려보면 그해 김일성이 진짜로 죽었고, 성수대교가 폭삭 주저앉았으며, 아현동에선 대형 가스폭발사고가 있었다. 서태지와 이이들의 ‘교실이데아’가 쉼 없이 라디오 전파를 탔으며, 드라마 ‘서울의 달’이 사람들을 TV모니터 앞으로 불러들였다. 그땐 ‘돌아갈 길은 점점 아득하고 꽃 피는 걸 기다리며’ 우리 모두가 지쳐갈 무렵이었다. 나는 지금 병원에서 기다리는 개화와 함께 내달 13일엔 조바심내지 않아도 만화가 방창하는 환한 봄을 다시 소망한다.
권순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