받아쓰기 /엄현옥


 열차가 검암역을 출발했다. 인천공항을 출발하여 서울역을 거치는 KTX 경부선이었다. 아라뱃길의 풍경이 창밖으로 펼쳐질 즈음 통로 반대편의 좌석이 소란스러웠다. 볼이 통통한 아이는 안경테 장식이 화려한 할머니가 건네준 휴대전화를 받았다. 통화를 끝내고 할머니에게 말했다.


 "할머니, 엄머가 할머니랑 기차 안에서 받아쓰기 숙제 끝내고 오래요." 기다렸다는 듯 할머니의 문제 출제가 시작되었다.

" 1번 요 양 워~언."


 할머니 특유의 발음은 아이가 받아 적기에 맞춤한 속도였다. 게다가 한 음절씩 끓어 읽어주니 입모양을 따라해 보며 쓰기 시작했다.

"2번은 의 료 기~이."


 아이는 고개를 갸웃거리더니 '료'는 써본 적이 없다며 뭔지 되물었다. 할머니는 '요'가 아니라 '료'라며 강한 엑센트를 주었다. 아이에게 '료'는 아직 어려운 글자인 모양이었다. 


  할머니는 아이의 얼굴을 마주보며 입모양을 재정비했다. 최선을 다해 혀를 굴린 발음을 재차 느리게 들려주었다. 아이는 그제야 알겠다는 표정으로 뭔가를 적었다. 공책을 보던 할머니가 머리를 쓰다듬었다. 아이는 다음을 재촉했다.

  3번 '게이트 보올~.'

  '게'는 멍멍개야? 라는 물음을 시작으로 아이의 질문이 계속되었다. 할머니는 집게달린 "게'라며 검지와 중지로 집게를 만들어 애써 설명했으나 아이는 쓰기를 멈쳤다. 창틀에 발을 올리거나 탁자 밑에 떨어진 인형옷을 줍기도 했다. 출제자와 수험생 간의 미묘한 정적은 철교를 달리는 소음으로 무마되었다.


  출제를 포기한 할머니는 단잠에 빠졌다. 할머니의 작고 고른 코골이는 열차의 규칙적인 소음과 함께 절묘한 조화를 이루었다. 열차가 덜컹이며 소리를 매기면 할머니는 잔잔한 코골이로 추임새를 넣었다. 짧은 갈등의 순간이 지나자 아이는 휴대폰을 만자작거리다가 잠이 들었다. 할머니와 아이의 낮잠은 평화로웠다. 열차는 어느덧 한강을 지나 서울역에 진입했다.


  할머니의 받아쓰기 문제는 그녀의 관심사를 대변했다. 친구 서너 명은 요양원에 있을 것이며, 자신의 요통을 다스릴 의료기 하나쯤은 지금 당장 필요할지도 모른다. 노인정에서는 게이트볼 대회에 대비한 연습이 시작되었을까. 문제가 7,8번을 넘을 때면 '노인요양보험'이나 '임플란트'도 출제했을지 모른다. 아이의 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자기중심적인 출제였다.


  어디선가 보았던, 낯설지 않은 현상이었다. 사람들은 자신의 입장이 최우선이다. 그것을 위해 목소리를 높힌다. 상대방이 처한 상황은 고려대상이 아니다. 듣는 사람도 마찬가지다. 자신이 받아 적고 싶은 것만을 선별하여 적는다.


  언제부턴가 정서 상태와 의식의 흐름을 제때에 받아써야 한다는 강박이 생기기 시작했다. 근래에 더했다. 스쳐가는 생각들이 연기처럼 사라지곤 하는 증상이 심해지면서부터다. 자동이체는 통장에 기록 한 줄이라도 남겼으나 뇌가 주관한 의식의 잔재는 연기처럼 사라졌다.


  인간관계도 받아쓰기다. 상대방이 던지는 무언의 암시나 불러주는 어휘를 제대로 듣지 못하면 문항을 놓치거나 오답을 내놓는다. 재차 물어서 진의를 파악하는 번거로움을 거치지 않으면 오해의 벽을 쌓고, 끝내 벽을 허물지 못한 채 지내기도 한다. 반면 받아써야 하는 상대방의 관심사와는 무관한 주관적인 질문으로 일관한다면 관계에 오류가 발생한다.


  주변을 둘러보면 내가 받아써야 할 것 천지다. 상대적이지만 직장에서는 직원들의 마음으로 받아쓸 수 있으면 좋은 상사다. 가족의 표정에서 파생되는 것들도 습관처럼 받아쓰게 된다. 글씨로 쓰이지 않지만 행간에 넣는 기록도 많다. 오고가는 계절의 경이로움을 받아쓰지 않을 수 없으며 영화가 주는 잔잔한 감동을 외면할 수 없다. 삶이 들려준 내면의 소리와 사물들이 건네는 고조곤한 속삭임, 무의식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빼놓고는 글을 쓸 수 없다.


  삶은 받아쓰기 연속이다. 라이너 마리아 릴케는 바람결에 들려오는 소리를 받아쓴 것이 자신의 문학이라고 했다. 나는 시간이 전하는 것들을 받아쓰곤 한다. 습관과 고정관념의 굳은 살을 빼면 어제 보았던 대상이 다른 의미로 다가온다. 바람의 소리, 시간의 소리에 귀 기울인다.


  열차는 광명을 벗어나자 비로소 제 속도를 내기 시작한다. 받아쓰기를 포기한 할머니와 손녀의 낮잠도 본 궤도에 진입했다.



엄현옥 수필가-7번째 수필집 <받아쓰기> 출간60여편-“내면의 깊이있는 성찰과 인c담아”
관리자  |  ch2300@hanmail.net
폰트키우기폰트줄이기프린트하기메일보내기신고하기
승인 2017.08.28  11:15:09
트위터페이스북미투데이네이버구글msn

  
 
장흥출신으로, 수필가와 문학평론가로 활동하는 엄현옥 수필가의 제7수필집 <받아쓰기>(수필과비평사)가 출간됐다.

내면의 깊이 있는 성찰과 인생에 대한 고찰을 담은 60여 편의 수필들이 실려 있는 수필집이다. 
엄현옥 작가는 현재 인천문인협회 부회장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문단에 활약해 국제펜클럽 한국본부와 한국문인협회 이사, 수필과비평작가회 회장을 역임하고 제15회 인천문학상(2003), 신곡문학상(2005), 민들레수필문학상(2012), 한국산문문학상(2016) 등을 수상한 바 있다. 엄 작가의 수필집 <받아쓰기>는 갯별 같아라, 열차가 달려온다, 서쪽 하늘, 받아쓰기, 망자로 사는 것의 어려움의 5부로 구성돼 있으며 작품 갯벌 같아라에서 보듯 “갯벌의 흡인력은 한번 발을 내디디면 결코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고 삶은 속도가 버겁다고 이탈하거나 쉽사리 발뺌할 수 있다. 갯벌의 점성은 인연을 
  
 
소홀히 여기지 않는 사람의 심성이다”와 같이 일상의 한 순간을 놓치지 않고 관조하며 우리 삶에 가치를 부여하는 문학성을 지니고 있다.

고등국어(상) 교과서(김병권 외, 더텍스트, 2010)에 수필작품 ‘얼룩 동사리’가 수록되기도 한 작가는 1회 푸른인천문화제 환경백일장 장원(1994)과 새얼문화재단(이사장 지용택) 주최 학생어머니백일장 어머니부 시부문 장원(1995)을 하는 등 환경의 소중함을 문학을 통해 널리 알리고 있다.

현재 인천의 국공립서창나무어린이집 원장이며 한국문학특구인 전남 장흥의 천관산문학공원에 작품 ‘나무’ 문학비가 세워지기도 한 엄 작가는 <받아쓰기> 책머리에서 “수필은 가슴의 구멍을 언어로 메우기 위한 가내수공업으로 삶을 이해하고 세상을 통찰하고자 했으나 수공업의 장인이 되는 길은 요원하다”며 아동교육과 문학에 정진을 다지고 있다.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