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풍(家風) 김우현

 

 

 

사람마다 개성이 다르듯이 가정마다 가풍도 다르다. 조용한 집안, 활기찬 집안, 훈훈한 집안, 잇속을 심히 따지는 집안, 인심 좋은 집안, 콧대 높은 집안, 서민적인 집안 등 그 유형은 이루 다 헤아릴 수가 없다.

 

가풍이란, 한 집안 구성원들의 공유의 생활관이 알게 모르게 표출된 그 집안 특유의 생활양식이다. 그러니 어떠한 가풍 속에서 자라났으며, 어떠한 가풍 속에서 살고 있는가에 따라서 그 사람의 됨됨이를 짐작할 수 있다. 가풍이 사람을 만든다는 말은 이에서 비롯되었다.

 

물질문명보다는 정신문화를 귀히 알던 시대의 사람들은 가풍을 매우 중시했는데, 요즘에 와서는 그것을 예사로 아는 경향이 많다. 예사로 알든 말든, 가정이라는 단위가 사회 속에 존속하는 한 가풍은 형성되기 마련이고, 그 결과가 가정 밖으로 파급되니, 그게 문제다. 나도 오십이 되면서부터 꽤 진지하게, 내 집 가풍으로 특징지어지는 것이 무엇일까 하는 생각을 간혹 해 보게 된다.

 

팔자걸음으로 의젓함을 뽐내는 식솔食率은 하나도 없을 뿐만 아니라, 아이들과 우리 내외가 어울려서 테니스를 할 정도이니 아주 고풍스러운 집안이라고는 할 수 없겠고, 아직도 높임말과 예삿말이 아무 저항 없이 잘 구분되어 쓰이고, 아이들은 어버이의 훈계를 제법 다소곳한 태도로 받아드리니 퍽 현대적인 집안이라고도 할 수 있겠다.

 

심히 화가 났을 때에는 그렇지도 않지만, 평상시에는 우리 내외가 서로 존대하고 있으니 자기’, ‘식의 짭짤한 재미가 넘치는 집안이 아닌 것은 확실하고, 올봄에 대학에 들어간 막내인, 하나뿐인 딸과는 엉덩이 치기를 해서 줄밖으로 밀어 내는 게임을 할 정도이니 썩 기품이 높은 집안도 아니다. 2 1녀가 서로 싸움질 하거나, 우리 내외가 으르렁거리는 일이 별로 없으니 투사형의 가풍도 아니고, 온 집안 식구가 조용히 책 읽는 광경도 흔하지 않으니 선비형의 가풍도 아닌 것이 분명하다. j로 줄 돈 받을 돈 하며 아옹다옹하는 일 없으니 상혼이 왕성한 집안이라도 할 수 없고, 남을 돕는 일에 발 벗고 나서는 식솔도 없으니 자선적이거나 봉사적인 집안이랄 수도 없다. 아비가 높은 관원이 아니라서 남 앞에서 으쓱거릴 일이 없고, 아이들 또한 꼬마 탤런트 노릇도, 신문지상에 얼굴이 나올 만한 기특한 일도 한 적 없으니 우쭐거릴 건더기가 없다.

 

싫은 일을 당하면 언짢아하고, 기쁜 일이 있으면 좋아라하고 잘한 일은 칭찬하고 잘 못한 일은 꾸짖고 하는 범상인 으로서의 다반사가 꾸역꾸역 펼쳐지는 속에서 나와 나의 식솔들은 살아가고 있다. 끼니때마다 많은 이야기들이 오가지만, 아주 유식하거나 고상한 말은 별로 없고, 그저 보고 듣고 느끼고 한 일들이 대체로 화제의 주종을 이룬다.

 

본래부터 4대 정승의 후예도, 천노賤奴의 자손도 아닌 터라 평범할 수밖에 없겠으나, 너무나 평범하고 너무나 특색 없는 그 점이 바로 우리 집 가풍의 특색인 것만 같다. 철저하게 평범한 것은 역시 특색이거나 특징일 수 있다. 그래서 그런지 우리 집 권속들은 남을 함부로 우러르지도, 함부로 깔보지도 않는 묘한 기질들을 지니고 있다. 나는 그런 점들을 시정할 생각이 없다. 오히려 자신들만큼의 인간의 값어치는 다른 누구라도 다 지니고 있다는 생각을 더욱 굳히며 살아 주기를 바란다.

 

가풍은 저절로 형성되기는 하겠지만, 노력하면 한만큼 좋은 것이 된다. 여기서 말하는 노력이란 교육을 뜻한다. 교육성과는 교육받는 쪽에 대한 강요만으로는 잘 이룩되지 않는다. 교육하는 쪽의 자제自制와 자계自戒, 자기 계발이 더욱 요청된다.

 

나는 특징 없는 우리 집 가풍에다 무엇인가 하나를 첨가 시키고 싶다. 명랑이 가풍이어도 좋고, 근검이 가풍이 되어도 좋고, 끈기가 가풍이 되어도 좋지만, 그것들보다 더 요긴한 것이 있다. 어떠한 경우에라도 남을 곤란하게 만드는 일을 하지 않는 사람이 되게 하는 가훈이 바닥에 깔린 가풍이 그것이다. 이것이 우리 집안의 가풍이 되기를 바라고, 또 모든 가정의 가풍의 근간이 되기를 바란다.

 

profi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