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today:
171
yesterday:
742
Total:
1,372,497


우리말 바루기

Articles 195
No.
Subject
Author
Notice [북한말 對 남한말] (가다다 순, 1207개) file
정조앤
Jun 21, 2022 902
Notic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소개
정조앤
May 26, 2022 360
Notice 헷갈리는 우리말 모음
정조앤
May 13, 2022 798
Notice 창작에 쓰면 좋은 우리 말
정조앤
Feb 22, 2022 949
Notice 한국어 맞춤법/ 문법 검사기
정조앤
Jan 25, 2019 746
Notice 한글 표준어 규정
정조앤
Jun 06, 2018 3496
Notice 한글 맞춤법 규정
정조앤
Jun 06, 2018 1360
Notice 고사성어 모음(ㄱ~ㅎ) 1 file
정조앤
Feb 20, 2018 22657
Notice 바꿔쓰면 예쁜 우리말 'ㄱ,ㄴ,ㄷ,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이현숙
Mar 19, 2016 1569
53 자주 틀리는 맞춤법 file
성민희
Apr 21, 2018 774
 
52 국립국어원 온라인 소식지
정조앤
Mar 27, 2018 268
* 우리말과 관련된 정보가 많습니다 국립국어원 온라인 소식지 사이트; 바로가기 / http://news.korean.go.kr/index.jsp  
51 효과를 효꽈로 발음해도
이현숙
Feb 08, 2018 417
이제 효과를 효꽈로 발음해도 된다   ‘효꽈(효과·效果)’ ‘관껀(관건·關鍵)’ ‘교꽈(교과·敎科)’의 된소리 발음이 표준 발음으로 새롭게 인정됐다. 국립국어원은 표준국어대사전 수정 내용 40건을 최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안간힘은 ‘안깐힘’ 말고도 ‘안간힘’...  
50 .카페라테/주스- 바른표현
이현숙
Feb 21, 2024 68
다음 중 외래어 표기가 바른 것은? ㉠커피숍에서 많이 찾는 메뉴 가운데 하나가 ‘카페라테(cafe latte)’다. 커피에 우유를 섞은 음료를 가리킨다. 그런데 커피숍 메뉴판을 보면 대부분 ‘까페라떼’라 적혀 있다. 외래어 표기법을 정확...  
49 바른 말 ‘애먼 사람’
정조앤
Jan 25, 2018 878
엄한 사람이 큰 피해를 봤다"에서와 같이 오해를 받는 경우 '엄한 사람'이라고 표현하곤 한다. 그러나 이는 잘못된 말이다. '엄한'은 '엄하다'를 활용한 표현으로, '엄한 사람'은 규율 적용이나 예절에 철저하고 바른 이를 의...  
48 ‘너가’는 바른말이 아니다 file
이현숙
Jan 08, 2018 207
 
47 까칠하게는 표준어인가 아닌가
이현숙
Jan 08, 2018 234
까칠하게’ 살 수 있을까   까칠하게 사는 것은 한 해 더 미뤄야 할 듯하다. ‘까탈스럽다’가 표준어로 추가됐다는 소식을 접하고 든 생각이다. “까칠하게 구네”는 올바른 표현이 아니나 “까탈스러운 입맛”은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여태 ‘까탈스럽다’가 표준말이...  
46 '잘생기다'와 '못생기다'는 형용사일까
이현숙
Dec 17, 2017 443
'잘생기다'와 '못생기다'는 형용사일까, 동사일까.   두 단어를 포함해 '낡다', '잘나다', '못나다' 등 5개 어휘를 놓고 난데없이 품사 논쟁이 일고 있다. 논쟁은 국립국어원이 지난 1일 3분기 표준국어대사전 수정 내용을 공개하면서 불거졌다. 국립국어원은 ...  
45 게와 께.. ( 할게, 할께? 따줄게, 따줄께?)
이현숙
Nov 26, 2017 12711
1. ‘ㄹ+게’는 께로 발음되므로 ‘ㄹ+께’를 ‘ㄹ+게’로 고쳤지만 모두 께로 발음되는 것은 아니다.     예) 드물게, 길게, 굵게, 멀게, 더 들게나 등   2. 동일한 시기에 변경된 ‘~읍니다 -> ~습니다 ’ 의 경우 소리나는 대로 표기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는데, ㄹ+...  
44 자칫 잘 못 쓰기 쉬운 말
이현숙
Aug 28, 2017 1341
자칫 잘 못 쓰기 쉬운 말 ▲ 건넛방과 건넌방  건넛방 : 건너편의 방  건넌방 : 안방에서 대청을 건너 있는 방  ▲ 각가지와 갖가지  각가지 : (명사) 여러 가지 많은 종류  갖가지 : (부사) 가지가지(따로 따로) ▲ 귀걸이와 귀고리  귀걸이 : ① 귀에 걸어 추위...  
43 <한 편의 시같은 순 우리말>
이현숙
Aug 18, 2017 823
  <한 편의 시같은 순 우리말>     온새미로-가르거나 쪼개지 않고 생김새 그대로 자연그대로 언제나 변함없이 푸르미르-청룡 가시버시-부부를 낮잡아 이르는 말 비나리-<민속> 걸립을 업으로 삼는 사람 윤슬-햇빛이나 달빛에 비치어 반짝이는 잔물결   물바늘...  
42 수의 표기 file
이현숙
May 29, 2017 567
 
41 잘못 쓰고 있는 말 몇 가지
이현숙
May 15, 2017 459
일상 잘못 쓰고 있는 말 몇 가지     1.미치다 -자동사(주어 다음에)        예)그런 행동은 학생들에게 크게  영향이 미치는 일이니 우리 모두 각별히 주의하자.    2.끼치다 - 타동사(목적어 다음에)        예)남에게 폐를 끼치지 말아라.             그것...  
40 '몇일'은 틀리고 '며칠'만 맞다
성민희
Apr 26, 2017 234
'몇일'은 틀리고 '며칠'만 맞다. 한글 맞춤법은 둘 이상의 단어가 어울려 이뤄진 말은 각각 그 원형을 밝혀 적게 돼 있다. 단 어원이 분명하지 않은 것은 원형을 밝혀 적지 않는다. 만일 '며칠'이 '몇+일(日)'에서 온 말이라...  
39 숨겨진 아름다운 우리말
이현숙
Mar 27, 2017 1197
  숨겨진 아름다운 우리말   가리온 : 털이 희고 갈기가 검은 말. 라온(나온) : 즐기다, 즐겁다. 뜸: 한 동네 안에서 따로따로 몇 집씩 한 데 모여 있는 구역 안날 : 바로 전 날 열구름 : 지나가는 구름   채꾼 : 소를 모는 아이 거지 주머니 : 여물지 못한 과...  
38 그릇에 관한 우리말 1
이현숙
Feb 13, 2017 1432
갱지미 놋쇠로 만든 국그릇 고내기 자배기보다 운두가 높고 주둥이가 넓은 오지 그릇 고지 누룩이나 메주를 디뎌 만드는 나무틀. 밑없는 되처럼 생겼다. 굽달이 굽(그릇이나 잔 밑에 붙어서 그 그릇이나 잔이 흔들림없이 놓여지게 하는 둥근 받침)이 달린 그...  
37 [우리말 바루기] ‘실고’ 갈까? ‘싣고’ 갈까?
이현숙
Oct 10, 2022 122
[우리말 바루기] ‘실고’ 갈까? ‘싣고’ 갈까? 다음 괄호 안에 알맞은 말은? 차를 배에 (실고, 싣고) 갔다. 실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낱말이지만 막상 적으려고 하면 헷갈리는 것이다. 원형이 ‘싣다’라는 것은 알지만 &lsqu...  
36 우리말로 된 바람의 이름
이현숙
Jan 29, 2017 1832
순 우리말로 된 12가지 바람 1. 실바람 - 초속 0.3∼ 1.5m. 실버들 가지를 가볍게 흔들 정도의 바람. 지경풍(至輕風). 2. 남실바람 - 초속 1.6∼3.3m. 나뭇잎이 살랑거리며 해면은 잔물결이 뚜렷이 일어남. 경풍. 3. 산들바람 - 초속 3.4∼5.4m. 깃발이 가볍게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