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today:
175
yesterday:
742
Total:
1,372,501


우리말 바루기

Articles 195
No.
Subject
Author
Notice [북한말 對 남한말] (가다다 순, 1207개) file
정조앤
Jun 21, 2022 902
Notice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소개
정조앤
May 26, 2022 360
Notice 헷갈리는 우리말 모음
정조앤
May 13, 2022 798
Notice 창작에 쓰면 좋은 우리 말
정조앤
Feb 22, 2022 949
Notice 한국어 맞춤법/ 문법 검사기
정조앤
Jan 25, 2019 746
Notice 한글 표준어 규정
정조앤
Jun 06, 2018 3496
Notice 한글 맞춤법 규정
정조앤
Jun 06, 2018 1360
Notice 고사성어 모음(ㄱ~ㅎ) 1 file
정조앤
Feb 20, 2018 22657
Notice 바꿔쓰면 예쁜 우리말 'ㄱ,ㄴ,ㄷ,ㅁ,ㅂ,ㅅ,ㅇ,ㅈ,ㅊ,ㅋ,ㅌ,ㅍ,ㅎ'
이현숙
Mar 19, 2016 1569
115 아름다운 우리말로 본 열두 달 이름
이현숙
Jan 02, 2022 113
아름다운 우리말로 본 열두 달 이름 1월 해오름달 - 새해 아침에 힘 있게 오르는 달 2월은 시샘달 - 잎샘추위와 꽃샘추위가 있는 겨울의 끝 달 3월은 물오름달 - 뫼와 들에 물 오르는 달 4월은 잎새달 - 물오른 나무들이 저마다 잎 돋우는 달 5월은 푸른달 - ...  
114 자주 틀리는 맞춤법 모음 1 file
정조앤
Dec 29, 2021 4640
 
113 쉼표 기능 15개
이현숙
Sep 08, 2021 134
쉼표 기능 15개 반점(,), 모점(,) 가로쓰기에는 반점, 세로쓰기에는 모점을 쓴다. 문장 안에서 짧은 휴지를 나타낸다. (1) 같은 자격의 어구가 열거될 때에 쓴다. 근면, 검소, 협동은 우리 겨레의 미덕이다. 충청도의 계룡산, 전라도의 내장산, 강원도의 설악...  
112 은는이가 / 정끝별
이현숙
Aug 27, 2021 147
은는이가 / 정끝별 당신은 당신 뒤에 '이(가)'를 붙이기 좋아하고 나는 내 뒤에 '은(는)'을 붙이기 좋아한다 당신은 내'가' 하며 힘을 빼 한 발 물러서고 나는 나'는' 하며 힘을 넣어 한 발 앞선다 강'이' 하면서 강...  
111 카셰어링과 그린카
이현숙
Aug 18, 2021 104
카셰어링→자동차 공유, 자동차 공유 서비스 그린카→친환경차 환경 문제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자동차 문화에도 여러 가지 변화가 생겼는데요, 대표적인 사례가 ‘카셰어링’입니다. 한 대의 차를 여러 사람이 나누어 빌려 쓰는 것, 좀 더 ...  
110 '가스라이팅' 이란
이현숙
Aug 14, 2021 529
가스라이팅 가스라이팅(gaslighting) 또는 가스등 효과(gas燈效果)는 심리적 조작을 통해 타인의 마음에 스스로에 대한 의심을 불러일으키고 현실감과 판단력을 잃게 만듦으로써 그 사람에게 지배력을 행사하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패트릭 해밀턴(Patrick H...  
109 ‘일절’과 ‘일체’ 구분하기
이현숙
Jun 10, 2021 131
품격 있는 정치언어를 찾기 힘들다. 독설을 넘어 막말이 난무한다. 논리보다 감정에 호소하다 보니 부사 사용도 잦다. 그중 하나가 ‘일절’과 ‘일체’다. “그 문제엔 일체 관여하지 않았어요.” “인사에 일체 개입한 ...  
108 음식과 관련된 순우리말
이현숙
Jun 12, 2021 5732
음식과 관련된 순우리말 [ㄱ] *감투밥; 그릇 위까지 수북하게 높이 담은 밥. *감화보금; 농어나 숭어 같은 생선의 살을 난도하여 펴서, 채소를 놓고 말아 쪄서 토막토막 썰어 놓은 음식. *강고도리; 물치의 살을 오이 모양으로 뭉쳐 말린 식료품. *강조밥; 좁...  
107 뿐과 만큼의 차이
이현숙
Jun 03, 2021 111
질문:'뿐'이나 '만큼'은 명사 뒤에 오면 조사이고, 관형형 어미 뒤에 오면 의존 명사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광장 쪽에서 들려오는 만세 소리", "영배는 찬성하는 쪽에 속했다."에서의 '쪽'과 같은 의존 명사는 명사 뒤에 오든...  
106 외래어 발음의 오용
이현숙
May 31, 2021 169
V] 외래어 발음의 오용 외래어 표기와 발음에 대한 것도 문제가 많으나 다음과 같은 것에 유의해야 한다. (1)경음, 장모음 표기 금지. 7받침만 허용: 외래어 표기에 경음 표기를 금하고(단, ‘껌, 빵, 빨치산’ 등 일부 어휘는 예외. 또한 중국어는 ...  
105 접사는 붙여 쓰고 의존명사는 띄어 쓴다.
이현숙
May 17, 2021 1757
★접사는 붙여 쓰고 의존명사는 띄어 쓴다. 다만 한 단어로 사전에 등록된 경우 한 단어이므로 붙여 쓴다. '띄어쓰기'는 한 단어이고, '띄어 쓴다'는 두 단어이다. ​ 1. ‘다만’ 다음에는 쉼표를 찍는다. ‘그리고/그러나/그런...  
104 기둥에 머리를
이현숙
May 10, 2021 342
“기둥에 머리를 받치다\받히다\바치다” 중에서 어느 것이 맞는 표현입니까? 정확한 표현은 "기둥에 머리를 받히었다" 일상 생활에서 혼동하기 쉬운 '받치다'와 '받히다'는 서로 다른 말입니다. '받치다'는 '받다&...  
103 고운 우리말 바르기
이현숙
Apr 26, 2021 565
ㅂ 바론: 바른의 옛 우리말로 바르게 바림: 그라데이션 바오: 보기 좋게. 바오: 보기 좋게 벗: 친구 베리, 벼리: 벼루 벼리: 일이나 어떤 글의 뼈대가 되는 줄거리, 중심이 되어 살렴 별찌: 유성 별하: 별처럼 높이 빛나는 사람이 되길 보담: 누구보다 나은 삶...  
102 고운 우리말 바르기1
이현숙
Apr 26, 2021 246
ㄱ 가라사니: 사물을 판단할 수 있는 지각이나 실마리 가람: 강 가람슬기: 강처럼 푸르게, 그리고 슬기롭게 가랑비: 조금씩 내리는 비 가론: 말하기를, 이른 바(所謂). 가시버시: 아내와 남편의 우리말 가온: 가운데 가온길: 정직하고 바른 가운데 (가온대: ...  
101 '-에요'와 '-예요' 확실하게 구분하는 법.
이현숙
Apr 22, 2021 897
'-에요'와 '-예요' 확실하게 구분하는 법. 받침이 있으면 '-에요' 받침이 없으면 '-예요' '아니다'는 무조건 '-에요' 사람 이름은 무조건 '-예요'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맞춤법 중 하나인 '-에...  
100 꽃비와 비 꽃
이현숙
Apr 18, 2021 163
안개처럼 가늘게 내리는 안개비, 안개보다는 굵고 이슬비보다는 가는 는개, 는개보다는 굵고 가랑비보다는 가는 이슬비, 이슬비보다 더 굵게 내리는 비가 가랑비, 이것이 빗방울의 굵기(또는 가늘기)에 따른 가는비의 서열이다. 이밖에 실같이 내리는 실비, ...  
99 깊이를 더해주는 우리말
이현숙
Apr 15, 2021 249
깊이를 더해주는 우리말, '그득하다'와 '가득하다' '가득하다'와 '그득하다' 모두 표준말 '나지막하다' '커다랗다' '야트막하다' '두툼하다' 내리쬐는 햇볕에도 결이 있어 볕의 시기와 계절...  
98 아름다운 우리말
이현숙
Mar 23, 2021 208
1. 구레나룻 구레나룻은 구레와 나룻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말이다. '구레'는 소나 말의 머리에 씌우는 '굴레'의 옛말이고, '나룻'은 '수염'의 고유어이다. 그러므로 구레나룻은 굴레처럼 난 수염이라는 뜻이다. 귀밑에서 턱까...  
97 사물에 관한 우리말
이현숙
Feb 14, 2021 165
사물에 관한 우리말 보람 드러나 보이는 표적. 다른 물건과 구별해두는 표시나 표지. ‘보람’은 오늘날 ‘어떤 일에 대한 좋은 결과’를 뜻하는 말로 그 쓰임이 축소되었다. 하지만 이 밖에도 ‘약간 드러나 보이는 표적’ 또...  
96 물에 관한 우리말 3
이현숙
Jan 16, 2021 943
물에 관한 우리말 개숫물 그릇을 씻은 물, 또는 생활폐수 개숫물은 원래 음식 그릇을 씻은 물을 뜻하는 말이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그릇 씻은 물뿐만 아니라 일반 가정에서 버리는 생활폐수를 모두 일컫는 말이라 할 수 있다. 옛날에는 개숫물이 강으로 흘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