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gn In

today:
137
yesterday:
742
Total:
1,372,463


좋은 글

Articles 109
No.
Subject
Author
Notice 계절 변화 알리는 알람, '24절기'의 모든 것
정조앤
Jan 31, 2022 192
Notice 논어 - 공자의 가르침
LenaLee
Jan 29, 2022 710
89 봄맞이/ 법정
정조앤
Mar 13, 2017 142
봄맞이/ 법정 나는 금년에 봄을 세 번 맞이한 셈이다. 첫 번째 봄은 부겐빌리아가 불꽃처럼 피어오르던 태평양 연안의 캘리포니아에서였고, 두 번째 봄은 산수유를 시작으로 진달래와 산벚꽃과 철쭉이 눈부시도록 피어난 조계산에서였다. 그리고 세 번째로는 ...  
88 낙화 2
최근자
Mar 17, 2017 124
낙화                             이형기   가야 할 때가 언제인가를 분명히 알고 가는 이의 뒷모습은 얼마나 아름다운가   봄 한철 격정을 인내한 나의 사랑은 지고 있다. 분분한 낙화 결별이 이룩하는 축복에 싸여 지금은 가야 할때     무성한 녹음과 그리...  
87 [2017 매일 신춘문예/수필] 나침반-김순애
정조앤
May 21, 2017 317
나침반 김순애 여행 가방에서 나온 꾸러미가 제법 묵직해 보였다. 얼마나 정성 들여 포장을 했을까. 겹겹이 싸인 비닐을 풀고 포장지를 벗기는 남편의 손놀림이 조심스럽다. 상기된 낯빛이 새 장난감을 얻은 아이와 같다. 나침반이었다. 하나같이 세월의 흔적...  
86 [2017 경남신문 신춘문예 '수필' 당선작] 반쪽 지구본- 안은숙
정조앤
May 21, 2017 241
[2017 경남신문 신춘문예 '수필' 당선작] 반쪽 지구본- 안은숙 거리를 배회했다. 아무 생각도 하지 않았다. 다만 느리게 아주 천천히 걸었다. 저녁 어스름에 해가 뉘엿뉘엿 저물어 갔다. 돌아갈 곳이 있다는 게 어쩌면 참 다행이라 여겨졌다. 골목 어...  
85 [단편소설] 고향 / 루쉰
정조앤
Sep 27, 2017 1347
고향 / 루쉰 1. 20여년과 2천여리 나는 혹독한 추위를 무릅쓰고 2천여 리나 떨어진 먼 곳에서 고향으로 돌아왔다. 20여 년 동안이나 떠나 있었던 곳이었다. 마침 한겨울이라 그런지 고향이 가까워지면서 하늘은 잔뜩 찌푸렸고, 차가운 바람이 선창 안에까지 윙...  
84 귀뚜라미 전설 / 유혜자
이현숙
Oct 31, 2017 234
귀뚜라미 전설 / 유혜자           귀뚜라미는 시인보다 먼저 때묻지 않은 순수한 언어로 가을의 시를 읊조린다. 새벽에 뜰에 나서면 불꺼진 밤에 시를 읊다 떠난 귀뚜라미의 흔적처럼 말갛게 맺힌 이슬방울. 어딘가 숨어서 귀뚜라미는 읊조렸던 시에 대한 평...  
83 행복해 지고 싶은가, 마음의 근육을 키워라
이현숙
Dec 09, 2017 163
행복해 지고 싶은가, 마음의 근육을 키워라   스트레스 없는 일상은 없다. 완벽한 삶도 없다. 학자들은 여기에 더 심한 말을 보태기도 한다. “행복이란 것은 없고 행복한 성격이 있을 뿐”이라고. 『꾸뻬씨의 행복 여행』을 쓴 프랑스 정신과 의사 프랑수아 를...  
82 산책 / 맹난자
이현숙
Jan 08, 2018 79
산책 / 맹난자        눈이 보는 대로 귀가 듣는 대로 마음에 물결이 일 때가 있다.   그런 날은 몸이 벌떡 일어나 마음더러 산책을 나가자고 한다. 동생이 형의 손목을 잡아 이끌듯이 몸이 마음을 데리고 집을 나서는 것이다. 중국 육상산陸象山이나 왕양명...  
81 구멍가게 오후 3시/이미경
이현숙
Jan 12, 2018 251
[펜화 작가 이미경]의 구멍가게 오후 3시 오후 3시는 여백의 시간. '구멍가게 오후 3시'를 새로 시작한다. 액정 화면에서는 누리기 힘든 차 한 잔의 여유. 찻집 주인은 서양화가 이미경(48)씨다. 20년째 전국 방방곡곡의 구멍가게를 찾아다니며 펜으로 섬세한 ...  
80 참된 친구 / 신달자
정조앤
Feb 20, 2018 235
참된 친구 / 신달자 나의 노트에 너의 이름을 쓴다. '참된 친구' 이것이 너의 이름이다. 이건 내가 지은 이름이지만 내가 지은 이름만은 아니다. 너를 처음 볼때 이 이름의 주인이 너라는 것을 나는 알았다. 지금 나는 혼자가 아니다. 손수건 하나를 사도 '나...  
79 월당(月當) 조경희(趙敬姬)의 삶과 문학
정조앤
Apr 14, 2018 283
조경희의 삶과 문학/수필과비평/2005.9.10월호/조경희추모 특집 월당(月當) 조경희(趙敬姬)의 삶과 문학 최원현/수필문학가. 칼럼니스트 http://essaykorea.net 그리움의 꽃 한 다발을 들고 - 월당(月當) 조경희(趙敬姬)의 삶 삶에서 만남과 헤어짐을 빼면 뭐...  
78 책 읽을 시간이 없다고요?
이현숙
May 26, 2018 114
<img src="http://static.hubzum.zumst.com/2018/05/03/13/66cdb5f5b092430fa216739d01556469.jpg" style="width:100%;" alt="성인 40%, 1년에 책 1권도 안 "><img src="http://static.hubzum.zumst.com/2018/05/03/13/ba9191981e234ede8418418d2ec4cc91.jpg"...  
77 유언 / 로댕
정조앤
Aug 19, 2018 186
유언 / 로댕 그대들의 선인(先人)인 모든 대가(大家)를 충심으로 경애하라. 예술가에게는 미(美)가 일체다. 오직 힘써 연마할지어다. 예술은 결단을 요구한다. 선(線)이란 것은 존재하지 않고 다만 볼륨(volume) 만이 존재한다. 그대들이 그릴 때, 윤곽에는 개...  
76 류시화가 깨달은 것은/ 김덕권
이현숙
Nov 03, 2018 225
[김덕권의 훈훈한 세상] 인도 여행 중 시인 류시화가 깨달은 것은? 배움에는 끝이 없다. 한자어로 ‘학무지경’(學無止境)이라고 한다. 남송(南宋)의 대신 장구성(張九成)은 강직하고 충성심이 강한 인물이었다. 그는 나라를 위...  
75 내 마음의 군불/도종환
정조앤
Jan 15, 2019 150
내 마음의 군불 도종환  군불 때는 요령을 제대로 터득하려면 눈물 깨나 흘려야 한다. 아무렇게나 나무를 쌓아놓고 불을 붙인다고 해서 불이 붙는 게 아니다. 불이 옮겨 붙을 만한 작은 나무를 아래에 놓고 바람과 불길이 넘나들 공간이 있도록 서로 어긋나게...  
74 웃음설 - 양주동 2
정조앤
Jan 15, 2019 188
웃음 설 / 양주동 백 사람이 앉아 즐기는 중에 혹 한 사람이 모퉁이를 향하여 한숨지으면 다들 마음이 언짢아지고, 그와 반대로 여러 사람이 침울한 얼굴을 하고 있는 사이에도 어느 한 사람의 화창한 웃음을 대하면 금시 모두 기분이 명랑해짐이 사실이다. 그...  
73 뜬세상의 아름다움浮菴記 - 정약용
정조앤
Jan 15, 2019 203
뜬세상의 아름다움浮菴記 - 정약용 박 무 영 옮김 화순(和順) 사는 나경(羅炅)인데 자는 창서(昌瑞)다(원주). 나산처사 나 공은 연세가 거의 팔십인데도 홍안에 푸른 눈동자로 태연자약한 품이 신선 같으시다. 다산의 암자로 나를 방문하여서는 이렇게 말씀하...  
72 네 잎의 클로버 / 이어령
정조앤
Jan 31, 2019 327
네 잎의 클로버 / 이어령 현대인에게 있어 행복은 잃어버린 숙제장(宿題帳)이다. 누구나 이제는 행복이란 문제에 대해서 깊이 생각하기를 주저한다. 그것은 하나의 장식 문자(裝飾文字)가 되어 버렸다. 사기 그릇 뚜껑이나 아이들 복건이나 시골 아이들의 금박...  
71 바다 위의 하늘에서 / 신영복
정조앤
Jan 31, 2019 192
바다 위의 하늘에서 / 신영복 - 여행은 떠남과 만남입니다. 그리고 돌아옴입니다. - 여행한다는 것은 크게 두 가지의 의미를 갖는 것입니다. 떠남과 만남입니다. 떠난다는 것은 자기의 성(城)밖으로 걸어나오는 것이며 만난다는 것은 물론 새로운 대상을 대면...  
70 포도나무 아래서#1~#73 신이현 작가 부부의 알콩달콩 이야기 칼럼 1
정조앤
Apr 03, 2019 973
신이현 작가   ※프랑스인 남편 도미니크 에어케 씨와 충북 충주에서 포도와 사과 농사를 짓고 와인을 만드는 작가 신이현 씨가 부부의 알콩달콩 이야기를 담은 칼럼을 연재합니다. [포도나무 아래서]〈1〉‘코레’ 농부가 된 프랑스 남편 신이현 ...